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구강의료기기 시장 동향
  • 상품DB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22-11-03
  • 출처 : KOTRA

중앙 정부의 정책적 유도와 지원에 따라 구강의료업 전체 시장 빠르게 확대

중고급 구강의료기기 대부분 수입에 의존

상품명 및 HS CODE

<구강의료기기 HS 코드>

품목

HS 코드

치과용 드릴엔진 및 부품

9018.4100

치과기기가 설치된 치과용 의자

9018.4910

치과용 기구

9018.4990

[자료: 2022년 중국 수출입세칙]

 

시장 동향

중국 국민소득 증가, 소비 수준 향상, 인구 고령화 추세에 따라 구강 건강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고, 구강의료 관련 시장 규모도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특히 최근 몇 년간 정부 차원에서 구강의료 지원 정책을 집중 시행하면서 중국 구강 의료 산업은 발전의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다.  

구강의료 산업 관련 중국의 주요 정책 추진 방향은 아래와 같다. 

- 진료소 허가 기준을 낮추고 의사의 多지점 진료를 권장하며 사립 구강의료기구의 설립을 지지하여 시장의 자원 배치 작용을 충분히 발휘

- 구역과 지역 배치를 통해 각 구역과 지역의 종합 치료 능력 제고

구강 건강 검진을 상시화 건강 검진에 포함시기고 구강 건강 교육을 전개하며 국민들의 구강 건강과 예방 의식 제고

전문 치과의 인재를 전면적으로 배양하여 구강 의료업의 발전 추진 


<중국 구강의료업 발전 관련 정책>

시간

정책

발표 부문

주요 내용

2016


국가 만성병 종합 예방 시범구 건설 관리 방법

국가위생
계획위원회

유아원과 학교에서 구강 보건 등 건강 교육을 전면 진행하며 아동 구강 질병 고위험군체를 대상으로 패치나 국부 염소 사용 보급

2017


만성병 예방 치료 중장기 계획(2017-2025년)

국무원

유아원과 소학교의 구강 관리 교육 강화하여 치아 질환 및 충치 예방

2017


의사 영업 등록 관리 방법

국가위생
계획위원회

의사의 다 지점 진료와 사립 진료소 설립을 허용

2019


구강 건강 행동전(2019-2025년)

국가위생
건강위원회

사립 구강 의료 및 건강 서비스기구 권장, 지지

2019


개혁 시범구 진료소 기준(2019년 수정본)

국가위생
건강위원회

2010년 버전 대비 인원 배치, 면적 등 요구 조건이 낮아짐

2021


국가구강의학센터 설립에 관한 통지

국가위생
건강위원회

베이징대학 구강병원 등 국가구강의학센터를 설립하여 전국 구강산업의 발전 견인

2021


중국 아동 발전 강요(2021-2030년)

국무원

아동 구강 보건을 강화하고, 12세이하 아동 충치율 25%이내로 공제

2022


노인 건강 서비스 전면 강화에 관한 통지

국가위생
건강위원회

노인 구강 건강 관련 행사를 조직하여 구강 건강 지식 보급과 구강 질환 예방을 결합

2022


임플란트 의료 서비스 비용과 소모품 가격 특별 관리 실시

국가의료
보장국

임플란트 소모품에 대해 중앙 집중식 구매(VBP) 실시

[자료: 국무원, 국가 위생건강위원회, 국가 의료보장국, KOTRA상하이무역관 정리]


2021년 중국 구강의료업의 시장규모는 약 1,507억 위안이며, 향후 지속적으로 빠르게 성장(2022년-2026년 복합 성장률 15.6%)하며 2026년에는 3,182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0년-2026년 중국 구강의료업 시장 규모 추이>

(단위: 억 위안, %)

[자료: iResearch]

 

현재 중국 구강의료기관은 주로 종합병원 구강과, 구강전문병원, 체인 구강진료소 및 개인 구강진료소 등 네 종류가 있다. 2020년 기준 구강의료 기관 수는 약 10만 개로 이 중 개인 구강진료소가 전체의 82.5%를 차지하며, 종합병원 구강과 13,400개(13.4%), 체인 구강진료소 3,200개(3.2%), 구강전문병원 940개(0.9%) 순이다. 

<2020년 중국 구강의료기관 특징>

(단위: 개, %)

유형

수량

비중

전문의 수량

치과의 수준

설비

서비스

개인 구강진료소

82,455

82.5%

적음

일반

불균형

편리함

종합병원 구강과

13,400

13.4%

많음

높음

완비

일반

체인 구강진료소

3,200

3.2%

일반

높음

완비

편리함

구강전문병원

945

0.9%

많음

높음

완비

편리함

[자료: iResearch, KOTRA상하이무역관 정리]

 

이 중 사립 구강병원은 최근 몇 년간 년 평균 복합성장율 20%의 급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0년 기준 중국 공립 구강병원 수는 160개로 전년 동기 대비 1.2% 하락한 반면 사립은 780개로 7.9% 증가했다.  

<2012년-2020년 중국 구강전문병원 수>

(단위: 개)

[자료: iResearch]

 

수입 동향

중국의 구강의료기기 수입은 전반적으로 상승세로 특히 2017년부터 2019년사이 크게 증가했다가 2020년은 코로나19 사태 영향으로 소폭 하락했다. 2021년에는 수입량 1억 755만개로 전년 동기 대비 9.7% 증가, 수입 금액 2억 6,720만 달러 21.2% 증가하며 성장세를 회복하였다.

<2017년-2021년 중국 구강의료기기 수입 현황>

(단위: 천 달러, 만 개)

[자료: 신통관망, KOTRA상하이무역관 정리]


치과용 드릴엔진 및 부품(HS 코드 901841)의 주요 수입국은 일본, 독일, 스위스, 한국으로 2021년 기준 일본이 전체 수입액의 46.5%를 차지하고 독일, 스위스, 한국이 각각 34.4%, 8.5%, 6.2% 비중을 차지했다. 2021년 한국의 수입 금액은136만 달러, 전년 대비 4.5% 증가로 평균 증감률 45.4% 대비 저조하였다.

<HS 코드 901841 수입 동향>

(단위: 천 달러, %)

순위
(2021년)

국가명 수입 금액 수입 시장 점유율 증감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1-8월)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1-8월)
(21/20)
1 일본

11,923

7,660

10,246

6,394

53.0%

50.6%

46.5%

50.0%

33.8%

2 독일

6,883

5,019

7,577

4,631

30.6%

33.1%

34.4%

36.2%

51.0%

3 스위스

1,735

570

1,861

559

7.7%

3.8%

8.5%

4.4%

226.5%

4 한국

837

1,299

1,357

852

3.7%

8.6%

6.2%

6.7%

4.5%

5 오스트리아

556

407

565

229

2.5%

2.7%

2.6%

1.8%

38.8%

6 베트남

0

0

300

0

0.0%

0.0%

1.4%

0.0%

-

7 영국

22

43

60

61

0.1%

0.3%

0.3%

0.5%

39.5%

8 이스라엘

49

27

29

30

0.2%

0.2%

0.1%

0.2%

7.4%

9 미국

31

3

17

0

0.1%

0.0%

0.1%

0.0%

466.7%

10 대만

365

109

8

0

1.6%

0.7%

0.0%

0.0%

-92.7%

총계

22,481

15,147

22,022

12,790





45.4%

[자료: 한국무역협회]

치과기기가 설치된 치과용 의자와 치과용 기구 (HS Code 901849)의 주요 수입국은 독일, 스위스, 한국, 미국으로 2021년 기준 독일이 전체 수입액의 19.1%를 차지하고 스위스, 한국, 미국이 각각 18.4%, 16.2%, 8.8% 비중을 점하였다. 2021년 한국의 수입 금액은 3,954만 달러, 전년 대비 80.2% 증가로 평균 증감률 19.7% 대비 대폭 증가하였다. 


<HS 코드 901849 수입 동향>

(단위: 천 달러, %)

순위
(2021년)
국가명 수입 금액(천 달러) 수입 시장 점유율(%) 증감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1-8월)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1-8월)
(21/20)
1 독일

50,926

41,880

46,688

23,271

21.7%

20.5%

19.1%

15.3%

11.5%

2 스위스

40,868

31,206

44,940

31,982

17.4%

15.3%

18.4%

21.0%

44.0%

3 한국

21,623

21,945

39,535

29,602

9.2%

10.8%

16.2%

19.5%

80.2%

4 미국

24,744

18,811

21,587

13,973

10.5%

9.2%

8.8%

9.2%

14.8%

5 베트남

15,094

17,278

19,774

12,300

6.4%

8.5%

8.1%

8.1%

14.4%

6 일본

13,268

9,797

12,697

7,656

5.6%

4.8%

5.2%

5.0%

29.6%

7 이스라엘

7,645

7,049

10,483

5,571

3.3%

3.5%

4.3%

3.7%

48.7%

8 스웨덴

6,463

7,784

8,790

3,936

2.8%

3.8%

3.6%

2.6%

12.9%

9 이탈리아

8,563

7,028

8,198

3,996

3.6%

3.4%

3.4%

2.6%

16.6%

10 프랑스

9,736

5,974

6,227

3,831

4.1%

2.9%

2.6%

2.5%

4.2%

총계

234,940

203,947

244,175

152,116





19.7%

[자료: 한국무역협회]


관세율 및  인증·수입규제

<구강의료기기 관세율>

구분

한중 FTA

RCEP

MFN

일반 세율

9018.41.00

0.0%

0.0%

4.0%

17.0%

9018.49.10

2022년: 0.8%
2023년: 0.4%
2024년: 0.0%

3.6%

4.0%

17.0%

9018.49.90

0.0%

0.0%

4.0%

17.0%

[자료: 중국 자유무역구 서비스]

 

수입 규제

(신고 및 등록) 의료기기는 분류관리를 실시하며 제1류 의료기기는 제품신고()관리, 제2류 및 제3류 의료기기는 제품등록(注)관리를 실시한다.

제1류: 위험도 낮음. 일반 관리로 안전성 및 유효성 확보 가능

제2류: 중급 위험도.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엄격한 통제 관리가 필요

제3류: 위험도 높음. 특별조치로 엄격한 통제 관리를 진행하여 안전성 및 유효성 확보

'의료기기 감독 및 관리 규정'에 따르면 중국에 의료기기를 수출하는 해외 생산 기업은 중국에 설립된 대표 기관 또는 중국 내 기업 법인을 대리인으로 지정하여 등록 또는 신고 신청 자료를 국무원 약품 감독 관리 부서에 제출해야 한다. 구강 의료기기는 '수입 의료기기 등록/신고 증서(医疗器械注/证书)를 취득해야만 수입할 수 있다.

 

(중국어 설명서, 중국어 라벨) '의료기기 감독관리 조례' 규정에 따르면 수입 의료기기에는 중국어 설명서와 중국어 라벨이 있어야 한다. 설명서 및 라벨은 조례의 규정 및 관련 의무 표준의 요구 사항을 충족해야 하며 설명서에는 의료기기의 원산지, 해외 의료기기 등록자 및 신고자가 지정한 중국 국내 기업 법인의 이름, 주소 및 연락처 정보가 명시되어야 한다. 중국어 설명서와 라벨이 없거나 설명서 또는 라벨이 규정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수입할 수 없다. 

 

(목적지 검사) 구강의료기기(HS 코드 90184100, 90184910, 90184990)은 법적 검사 상품에 속하며 목적지 검사 실시, 신고후 세관에서 항만 세관 감독 구역외로 반출 승인을 취득함. 그 다음 기업에서 자체로 운송 및 보관하며 국내 판매 또는 사용지 세관에서 검사를 실시하여 합격 후 판매 및 사용할 수 있다.

 

시사점

중국 구강의료 산업은 발전 시기가 늦은 편으로 중고급 구강의료기기 소모품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또한 중국 정부의 정책적 유도와 지원에 따라 중국 구강의료 시장 규모 및 수입 시장 지속적으로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우리 기업의 진출 전망이 밝은 분야이다. 

자료: 국무원, 국가 위생건강위원회, 국가 의료보장국, iResearch, 신통관망, 중국 자유무역구 서비스, KOTRA상하이무역관 정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구강의료기기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