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탄소중립시대 속 중동의 에너지 전환 가속화
  • 트렌드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이정모
  • 2022-10-25
  • 출처 : KOTRA

UAE, 탄소중립 달성 위해 오일머니 기반 청정∙재생에너지 개발 가속화

풍부한 일조량과 발전비용 저감으로 태양광 발전이 지배적

미래 주요 에너지원으로 수소 개발에 집중

세계적인 탄소중립 기조와 더불어 중동지역 내에서도 탈탄소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다. KOTRA 및 유관기관이 두바이 물∙에너지∙기술∙환경 전시회 WETEX 2022와 연계하여 주관했으며 현지 전문가들이 연사로 참석한 에너지전환 세미나 내용을 기반으로 UAE 및 중동지역의 에너지전환 트렌드와 주요 프로젝트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세계적 탈탄소 기조와 중동 내 에너지전환 가속화

 

2015년 12월 12일 파리에서 진행된 21차 UN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1)에서 196개 당사국이 만장 일치하여 지구의 평균 기온 상승을 2℃ 이하(가급적 1.5℃)로 유지하는 파리협정(Paris agreement)이 채택되었다. 이후 각국은 기온 상승의 주원인인 탄소 배출을 줄여 결과적으로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하고 있다. 특히 2022년 발발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가 초래한 에너지 공급난으로 국제유가가 최고 117.5달러(브렌트유)까지 치솟으며 기존 에너지원 의존도에 대한 경각심을 높였고 대체에너지의 필요성을 절감케 했다. 러시아산 천연가스 의존도가 높은 유럽을 중심으로 에너지 절약 및 대체에너지 개발 움직임이 빠르게 일어나고 있다.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는 2050년까지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 약 37Gt을 감축할 수 있다고 예상했으며, 이를 위해선 국제사회의 에너지 생산, 소비 방식에 큰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는 재생에너지 기반 전력 발전 및 사용 증가, 에너지 효율 개선, 전기화(electrification), 바이오 에너지, 그린수소, 탄소포집기술 등을 통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을 위한 기술적 방안>

[자료: IRENA]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국제적 노력이 이어지는 가운데 다수 국가들이 동참하고 있으며 중동 국가도 예외는 아니다. 중동 국가들은 고온 기후의 영향으로 에어컨 등 연료 사용이 많아 1인당 탄소 배출량이 높은 편에 속하여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IRENA에 따르면, 2020년 기준 MENA 지역 내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38.1GW이며 이집트, 모로코 등지에선 풍력에너지 발전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태양에너지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높은 일조량의 기후적 요건과 더불어 태양에너지 발전단가가 점차 낮아지고 있어 태양에너지 프로젝트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한편, 대표적인 산유국인 UAE와 사우디아라비아는 그간 축적해 온 오일머니를 수소·태양광 등 청정에너지 개발에 투자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대규모 신도시 건설 프로젝트인 네옴시티(Neom) 내 4GW 규모의 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등) 설비를 건설해 하루 평균 650t의 그린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세계 최대 그린수소 생산시설을 건설할 예정이다. UAE 또한 모하메드 빈 라시드 알 막툼 태양광발전소(Mohammad Bin Rashid Al Maktoum Solar Park), 알 아즈반(Al Ajban) 태양광발전소 등 대규모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며 국영석유회사(ADNOC), 국영에너지회사(TAQA) 등을 중심으로 수소·암모니아·탄소 포집 기술 개발을 이어나가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을 반영하듯 COP 27가 오는 11월 이집트에서 COP 28은 2023년 UAE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전 세계 대규모(Utility-scale) 태양광 프로젝트의 균등화 발전비용(LCOE)이 85% 감소 (자료 : IRENA)

  · 균등화 발전비용(Levelized Cost of Energy)이란 발전설비 운영 기간에 발생하는 모든 비용을 수치화해 나타낸 값으로 에너지원별 발전단가 비교를 위해 사용

 

<중동 주요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단위: US$ 백만, MW)

국가

프로젝트

규모

분야

용량

모로코

CWP-Project AMUN: Wind Power Plant

6,500

풍력

N/A

알제리

Sonelgaz- 22GW Renewable Energy Program: CSP: Phase 2(2000)

5,000

태양

2,000

사우디

NGHC - NEOM Helios Green Fuels: Renewable Energy Project

4,000

복합

4,000

UAE

Dubai Waste Management Company- Al Warsan Waste to Energy Plant

1,100

WTE

193(일일)

쿠웨이트

KAPP-Shagaya Renewable Energy Complex: Phase 3

3,200

태양

1,870

[자료: MEED]

 

UAE의 Net-Zero 2050 달성을 위한 에너지전환 트렌드

 

UAE는 2021년 기준 연간 발전량 중 88%가량을 천연가스에 의존하고 있다. 한편, 아부다비에 건설된 한국형 차세대 원전인 바라카 원전의 2호기가 2022년 3월부터 2.8GW 규모의 전력 생산에 돌입했다. 3호기는 10월 초 송전계통 연결에 성공해 수개월 내 상업 운전될 예정이며, 4호기까지 상업 운전 시 UAE 전력 수요의 25%를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천연가스 의존도는 점차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UAE 에너지원별 발전 동향 및 전망>

(단위: TWh)

에너지원

2020

2021

2022

2023

2024

총발전량

128.35

134.35

141.18

148.23

155.66

천연가스

122.26

118.02

115.24

110.84

111.87

석유

0.74

0.74

0.73

0.73

0.73

석탄

0

0

0

0

0

원자력

1.56

11.55

20.21

30.72

36.16

신재생에너지

3.79

4.04

5

5.94

6.90

주: 2022년부터 전망치

[자료: Fitch Solutions]

 

UAE 신재생에너지 에너지원별 발전량을 살펴보면 태양에너지 비중이 99.75%에 달한다. UAE는 단일 플랜트 기준 세계 최대 규모의 태양광발전소인 모하메드 빈 라시드 알 막툼 태양광발전소를 건설 중이며 완공 및 운영 시 발전량이 5000에 달해 연간 650만t의 탄소 배출 저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외 알 다프라(20억 달러 규모), 알 아즈반(11억3000만 달러 규모)에서도 대규모 태양광발전소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UAE 신재생에너지 발전 동향 및 전망>

(단위: TWh)

에너지원

2020

2021

2022

2023

2024

합계

3.79

4.04

5

5.94

6.90

태양

3.78

4.03

4.99

5.93

6.89

바이오매스WTE

0.006

0.006

0.006

0.006

0.006

풍력

0.001

0.001

0.001

0.001

0.001

지열

0

0

0

0

0

수력

0

0

0

0

0

주: 2022년부터 전망치

[자료: Fitch Solutions]

 

<UAE 주요 태양광 프로젝트>

프로젝트

용량()

방식

준공시기

주요 기업(국가/역할)

Mohammad Bin Rashid Al Maktoum Solar Park

5,000

CSP

PV

2030.4.

DEWA(UAE/발주)

TSK Group(스페인/개발)

EDF(프랑스/개발)

Al Dhafra Solar IPP

2,000

PV

2023.2.

EWEC(UAE/발주)

EDF(프랑스/개발)

Jinko Power(중국/개발)

Al Ajban Solar PV IPP

1,500

PV

2026.12.

EWEC(UAE/발주)

주개발사 입찰단계

Noor Abu Dhabi

1,177

PV

2019.5.

EWEC(UAE/발주)

Marubeni(일본/발주)

Jinko Power(중국/개발)

[자료: MEED]

 

UAE는 2021년 10월 MENA 지역 내 최초로 ‘넷제로 2050(UAE Net Zero 2050)’ 전략을 선언했다. 기존에 발표한 UAE 에너지 전략 2050(UAE Energy Strategy 2050)을 통해 목표하던 70% 탄소 배출 저감보다 강력한 205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을 계획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태양광·원자력 등 청정에너지 발전량을 14GW로 높일 예정이다. UAE 에너지인프라부는 전략 달성을 위해 보다 명확한 규제 프레임워크 마련, 저탄소 수소 기술 개발을 위한 국내 연구개발, 정부 간 협력 강화, UAE와 국제 자본시장을 통한 그린 파이낸싱 등이 이행돼야 하며 이 분야에 향후 30년간 1630억 달러를 투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UAE는 저탄소 수소 개발과 탄소포집기술 개발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아부다비 국영석유사(ADNOC)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5% 줄이고 연간 포집 가능한 이산화탄소 양을 현재 0.8Mtpa에서 5Mtpa까지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수소 밸류체인 전반에서 활동 중인 ADNOC은 지난 9월 첫 저탄소 암모니아를 독일로 수출한 바 있으며 한국석유공사, SK가스와 협력을 통해 UAE에서 한국으로의 블루 암모니아 수출 타당성 조사(Feasibility study)를 추진 중이다. ADNOC 관계자는 “당사는 글로벌 그린수소 리더가 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블루, 그린수소 개발은 물론이고 현재 가장 용이한 수소 운송수단인 암모니아도 적극 개발 중이다. 아직 특정 분야에서만 한정적으로 사용되는 수소에너지의 가능성을 알려 시장을 구축하고 글로벌 기업과의 협업 기회 발굴에도 힘쓰고 있다.”라고 언급했다.

 

<UAE 주요 수소 관련 프로젝트>

(단위: US$ 백만)

프로젝트

주요 내용

규모

TAQA/ESI - Green Steel

Manufacturing Plant

그린수소 사용 철강 제조시설 건설

2,000

Masdar/Fertiglobe/Engie –

Green Hydrogen Facility 200 MW

루와이스 지역 내 200MW 규모의

그린수소시설 건설

800

ADPC/TAQA - Green Hydrogen To

Ammonia Export Project

아부다비 칼리파산업단지(KIZAD) 내

그린암모니아 수출시설 건설

250

Helios - Green Hydrogen and Green Ammonia Plant at Kizad

KIZAD 내 그린 수소암모니아 시설 건설

1,000

[자료: MEED]

 

현재 UAE는 화석연료 의존도가 높으며 2050년까지 화석연료 발전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따라서 화석연료를 사용하되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도록 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CCUS, 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개발이 동반될 예정이다. 중동∙아프리카 프로젝트 시장 정보 전문지인 MEED의 관계자는 KOTRA 두바이 무역관에 “현재 GCC의 탄소 포집 용량은 약 4Mtpa로 전 세계 용량의 10% 수준이다. 아직까지 역내 CCUS 프로젝트는 미미한 편이나 점차 늘어날 전망이다.”라고 의견을 주었다. 

 

시사점

 

세계적인 주요 산유국인 UAE, 사우디아라비아 등이 자리한 중동에서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에너지 전환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UAE는 그간 주요 에너지원인 석유·가스로 축적한 국부를 바탕으로 수소·태양광 등 청정 재생에너지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에 관련 프로젝트와 협력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한국은 이미 UAE 바라카 원전 건설을 비롯해 한국전력공사, 서부발전, 삼성물산이 UAE의 페트롤린(Petrolyn)사와 국내 최초로 UAE 칼리파산업단지 그린 수소암모니아 사업 공동 개발 협약을 체결(2022.5.31.)하는 등 에너지 분야에서도 긴밀히 협력해 온 바, 향후 재생에너지 부문 내 진출 기회 확대가 기대되는 바이다.

 

 

자료: UAE Ministry of Energy and Infrastructure, IRENA, MEED, ADNOC, Fitch Solutions 및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탄소중립시대 속 중동의 에너지 전환 가속화)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