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주요 자원의 보고(寶庫), 장시성(江西省)
  • 경제·무역
  • 중국
  • 우한무역관
  • 2022-09-28
  • 출처 : KOTRA

장시성, 중국의 핵심 소재 산업의 밑거름 역할

구리, 수산화리튬, 텅스텐 등 13개 종류 자원 매장량 중국 1위

장시성 주요 원자재 대한국 수출, 전년 대비 100% 이상 증가

중국 장시성은 광물자원이 다양하고 매장량이 풍부해 세계 리튬 도시’, ‘중국 희토류의 수도’ 등 다양한 명성을 갖고 있다. 신에너지 자동차, 반도체 등 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지난 몇 년간 한국의 대장시성 주요 원자재 수입이 크게 증가하였다.

 

중국 핵심 자원의 보고 장시성

 

장시성은 공산당 혁명의 요량, 녹색의 땅으로 알려져 왔으나 최근 글로벌 공급망 혼란으로 자원이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핵심 자원의 보고로 주목을 받고 있다. 장시성은 광물자원 종류가 다양하고 매장량이 풍부해 세계 리튬의 도시’, ‘세계 구리의 수도’, ‘세계 텅스텐의 수도’, ‘중국 희토류의 수도중국 산업 세라믹의 도시등으로 불리며 자원 분야에서 명성이 드높아지고 있다.

 

현재 장시성에는 140여 종류의 광물이 채굴, 생산 또는 가공되고 있으며 그중 33개 종류의 광물 매장량이 전국 5, 21개 종류는 전국 3, 13개 종류는 전국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전국 1위를 기록하고 있는 자원은 구리, 텅스텐, 수산화리튬, 희토, , 은 등이다. 특히, 신에너지 자동차, 반도체 등 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글로벌 공급망 위기로 인한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최근 2년간 핵심 원자재의 글로벌 수출이 급증하고 있다.

 

<장시성 전국 1위 자원 현황>

(단위: 톤, %)

연번

자원명

매장량()

전국 점유율(%)

1

구리

1,387만

33

2

텅스텐

115만 7,000

52

3

수산화리튬

110만

31

4

이온형희토

70만

60

5

550만

36

6

1만 8,000

15

7

탈탄

3만 7,000

43

8

루비듐

70만

42

9

우라늄

3만

33

10

활석

7,400만

29.6

11

분석영(실리콘 원료)

2,000만

15

12

규석

2,500만

15

13

황철광

1억

27.7

[자료: 장시성 정부, 장시성 통계국 등]


<장시성(江西省) 소개>

ㅇ 위치: 중국 동남부에 있고 장강 중하류의 남쪽 기슭에 위치

- 창지앙(長江)삼각주, 쥬지앙(珠江)삼각주 및 민삼각지역(閩三角地區)과 인접

- 중국의 모든 성() 중에서 인접한 성시가 가장 많은 성

ㅇ 면적: 16만 7,000 평방킬로미터(한국 1.7)

ㅇ 인구: 상주인구는 4,517만 명(2021)

GDP: 2조 9,620억 위안(전국 16), 1인당 GDP 6만 5,547위안전국 15

 

<장시성 지리적 위치>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장시성.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65pixel, 세로 438pixel

[자료: 중국 중부도시 백과]

 

장시성 핵심 자원 동향

 

(1) 희토류

 

장시성은 중국의 주요 희토류 생산기지 중 하나이며, 이온형 희토류 매장량은 중국 전체 매장량의 60% 이상을 차지한다. 현재 장시성은 희토류 광산업 밸류체인을 형성하여 일부 희토류 종류의 경우 전 세계 생산량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202112, 세계 최대 희토류 기업인 중국희토류그룹(中国稀土集团)이 장시성 간저우시(赣州市)에 설립되었다. 이 그룹은 중국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中国国有資産監督管理委員会), 중국알루미늄그룹(中国鋁業集団), 간저우희토류그룹(赣州稀土集团) 등이 공동 출자해 설립한 중국 국유기업으로 희토류 기술 연구 및 개발, 심층 가공, 응용, 기술 컨설팅, 수출입 확대 등 사업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 외에도 장시성에 소재한 희토류 산업 관련 기업은 150개사에 달한다.

 

<장시성 간저우시 소재 중국희토류그룹 본사>

[자료: 메이르징지신원]

 

(2) 수산화리튬

 

아시아 리튬의 도시라고 불리는 장시성 이춘시(宜春市)의 산화리튬 매장량은 258만 톤으로, 중국 전체 리튬 매장량의 23.8%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채굴 가능한 산화리튬 매장량은 110만 톤으로 중국 전체의 31%, 전 세계의 12%를 차지하고 있다. 세계 최대 규모의 리튬 광산인 리윈무(锂云母) 광산도 이춘시에 위치하고 있다.

 

대표 기업으로는 장시성 간펑시에 소재한 장시간펑리튬그룹(江西赣锋锂业集团)으로 세계 최대 리튬금속 생산기업이다. 리튬금속 생산능력은 전 세계 1(47%), 수산화리튬 생산능력은 전 세계 3(11% 수준)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간펑리튬그룹은 멕시코와 아르헨티나에 위치한 리튬 광산도 인수하여 리튬 자원을 계속해서 확보하고 있다. 올해 8월에는 영국 최대 리튬금속 생산기업인 Bacanora Mineral을 인수하였다.

 

<장시간펑리튬그룹 인수 영국 리튬기업 Bacanora Mineral>

[자료: 펑파이신원]

 

2021년 말 기준 장시성에는 궈쉔가오커(国轩高科), 난슈리띠엔(南氏锂电) 등 약 200여 개의 리튬 기업이 영업 중이며, 100여 개의 리튬 관련 배터리, 신에너지 프로젝트가 시행 또는 계획돼 있다. 한국 기업으로는 LG화학이 20214, 웨이커지수(維科技術股份有限公司) 및 난창시신찌엔취(南昌市新建區)가 공동출자하여 장시웨이러배터리(江西維樂電池有限公司)를 설립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총 30억 위안이 투자될 예정이며 부지는 약 20만 가 넘는다.

 

(3) 구리 음극재

 

장시동업그룹(江西铜业集团)은 중국 최대 구리 음극재 생산기업이며, 9년 연속 글로벌 500대 기업에 포함되고 있다. 2021년 기준 장시동업그룹은 178만 2,200톤의 구리 음극재를 생산하였고 이는 전년대비 8.51% 증가한 수치로 중국 전체 생산량의 17%를 차지하고 있다.

 

구리 음극재는 배터리 핵심 소재 중의 하나로 전 세계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향후 수요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현재 장시성에 소재한 구리 산업 관련 기업은 약 150개이며 장시동업그룹 외 주요 기업은 윈타이동업(云泰铜业), 카이안동업(凯安铜业), 리보콩구(力博控股) 등이 있다.

 

(4) 텅스텐/탄화텅스텐

 

중국의 텅스텐 생산량은 전 세계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21, 장시성의 텅스텐 분말 생산량은 4만 3,910톤으로 중국 전체 생산량의 53.8%를 차지하였으며 장시성의 텅스텐 광석 매장량은 115만 7,000톤으로 중국 전체 매장량의 52%를 차지하고 있다.

 

텅스텐 관련 산업의 꾸준한 수요 증가로 장시성에 소재한 텅스텐 대표 기업인 장시텅스텐그룹(江西鎢業集團)은 연간 1만 톤의 텅스텐 분말과 8,000톤의 탄화텅스텐을 생산하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있다. 또한 주요 생산기업 중 하나인 장웬텅스텐(章源鎢業)의 고성능 텅스텐 분말 생산기지 프로젝트가 완성되면 장시성 텅스텐 산업 내 텅스텐 분말 7만 톤과 초미세 탄화텅스텐 분말 9,600톤의 생산능력이 추가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언급한 주요 프로젝트는 2022~2024년에 완공돼 가동될 예정이며, 장시성 소재 텅스텐 관련 기업이 130여 개가 있는 것을 고려하면 향후 장시성의 텅스텐 분말 및 탄화텅스텐 생산량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장시성의 대한국 원자재 수출 급증세

 

신에너지 자동차, 반도체 등 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글로벌 공급망 위기에 따른 원자재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하여 지난 3년간 장시성 주요 원자재의 대한국 수출액이 급증하였다.

 

코로나19 여파 속에서 2020~2022년 한국-장시성 무역 규모는 3년 연속 성장세를 보였다. 20221~7월 한국과 장시성 간의 교역액은 전년대비 52.2% 증가했으며, 특히, 한국의 대장시성 수입액이 전년대비 85.8% 증가해 작년 전체 수출액을 초과하였다. 특히 장시성으로부터의 수입액 중 주요 원자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40%을 넘어섰다.

 

<2020-2022 장시성 대한국 교역 현황>

(단위: US$ )

[자료: GTA]

 

장시성으로부터 한국에 수입되는 12가지 주요 원자재 중 20221~7월 10개 품목의 수입이 증가했고 그중 5개가 전년 동기 대비 100% 이상 증가하였다. 올해 장시성으로부터 한국에 수입된 자원 중 유일하게 마이너스 증가율을 기록한 탄화텅스텐(碳化鎢, -17.9%), 산화텅스텐(氧化鎢, -7.1%)의 경우도 2021년 수입액이 2020년 대비해서는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수입액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2차 전지 음극재로 사용되는 수산화리튬을 보면, 2021년 한국의 대장시성 수입이 94.5% 증가한 것에 더해 20221~7월 수입은 전년대비 521.2% 증가한 9억 2,500만 달러로 대한국 전체 수입의 33.4%를 차지했다.

 

2차 전지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산화코발트의 경우, 2021년 대장시성의 한국 수입액이 467.1% 증가한데 이어 20221~7월간 수입액은 전년대비 약 200% 증가한 288만 2,000 달러를 기록했다. 그 외에도 반도체 메모리 칩 생산의 핵심 자재인 실리콘 역시 20221~7월 한국의 대장시성 수입액은 3,39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지난 2년 동안 증가율은 각각 285.6%169.7%에 달했다.

 

장시성에서 생산되는 구리 음극재는 한국 전기전자산업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원자재인데, 해당 원자재의 경우 2021년 한국의 대장시성 수입액은 2375.7% 증가했고 올해도 현재까지 전년 동기 대비 35.5% 증가한 2,000만 달러 이상이 수입되고 있다.

 

<주요 원자재 한국의 대장시성 수입 현황(2021~2022년 7월)>

(단위: US$ 만, %)

연번

상품명

대장시성 수입액

성장률

2021

2022년 1~7

2021

2022년 1~7

1

수산화리튬

38,282

92,456

94.5

521.2

2

실리콘(실리콘 <99.99% 함유)

2,377

3,390

285.6

169.7

3

인조 흑연

4,293

3,373

8.2

23.8

4

산화코발트

1,576

2,882

467.1

197.7

5

구리 음극재

1,493

2,023

2,375.7

35.5

6

불화수소(HF)

2,406

1,787

23.0

43.2

7

텅스텐 분말

3,243

1,765

71.8

1.9

8

탄화텅스텐

2,449

981

164.1

17.9

9

마그네슘(마그네슘 99.8% 이상 함유)

302

946

4.6

331.97

10

산업용 세라믹

998

876

61.8

66.21

11

희토류

330

850

93.0

408.8

12

산화텅스텐

1,008

542

69.0

7.1

[자료: GTA]

 

그 외에도 장시성에서 생산되는 텅스텐, 마그네슘, 인조 흑연, 희토류, 산업용 세라믹 등 자동차, 전자부품, 항공우주공학, 군사장비 등에 사용되는 주요 원자재도 지난 2년간 장시성으로부터 한국에 수입되는 물량이 모두 증가하였다.

 

시사점 및 전망

 

중국은 장시성 외에도 다수의 주요 자원 생산 및 가공 중심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희토류, 텅스텐, 실리콘 등 원자재 생산량은 전 세계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해당 자원은 한국 뿐만 아니라 각 국의 경제 성장을 이끌고 있는 ICT, 신에너지자동차, 반도체 산업의 뿌리가 되는 요소로 이들 원자재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핵심 부품 추가 생산이 중단되는 등 글로벌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은 막대할 것이다.

 

글로벌 공급망 불안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중국 정부의 정책 변화에 예의 주시해야 한다. 보호무역주의가 팽배한 현 시점에서 중국도 2020년 말부터 외국기업을 타깃으로 한 <신뢰성 없는 실체 명단 제도(不可靠實体淸單規定)> <수출관리법(出口管制法)>을 연달아 발표했으며, 환경 및 자원 보호를 이유로 크고 작은 자원 수출제한 정책을 계속해서 발표하고 있다. 이에 갑작스러운 수출제한 정책 등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전략자원에 대한 중국 정부의 정책 동향을 꾸준히 지켜봐야 한다.

 

우리 기업은 안정적인 원자재 수급을 위해 관련 산업 및 자원 모니터링 뿐만 아니라 China+1 공급선 다원화 전략을 준비해야 한다. 새로운 공급처에서 원자재를 수입 및 제품 생산에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데까지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공급망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때 대체국 관련 기업과 협의하여 준비해야 한다. 하지만, 단기간 내 가격 및 품질 등 방면에서 중국을 대체할 만한 원자재 공급처 발굴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만큼, 중국 원자재 생산기업과도 장기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자료: GTA, 장시성 인민정부, 장시성 상무청, 중국 중부도시 백과, 롄민왕, KOTRA 우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주요 자원의 보고(寶庫), 장시성(江西省))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