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싱가포르 식물성 대체육 시장 동향
  • 상품DB
  • 싱가포르
  • 싱가포르무역관 HueiTing Wong
  • 2022-07-01
  • 출처 : KOTRA

식물성 대체육 시장 발전 잠재성 높으며 우리기업 진출기회 다대

세계 식물성 대체육 시장 규모 빠른 성장

육류 산업이 지구 온난화와 관련된 온실 가스 배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식품 분야에 중요한 연구결과물을 게재하는 국제학술Nature Food에 출판된 연구 논문에 따르면 전체 식품 생산 온실가스 배출량 중 육류가 차지하는 비중은 57%로 식물성 식품(29%)의 2배에 달한다. 사람들의 개인적인 식습관과 관련된 환경적 영향에 대한 인식이 점차 확대되면서 육류 소비를 줄이기 위한 대안으로 다른 선택지를 찾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 대안 중 하나로 주목 받고 있는 제품이 바로 대체육이다.

 

싱가포르 식품청(Singapore Food Agency, SFA)은 대체육을 통제된 조건에서 자란 식물, 배양육과 같은 동물 이외의 공급원에서 파생된 육류로 정의한다. 대체육의 종류로는 식물성 육류 제품(콩이나 밀 단백질로 만든 것), 세포 기반 육류(동물 세포로 배양한 것) 등이 있으며, 세포 기반 육류는 식품으로 소비된 전력이 없어 우리에게 생소한 종류 중 하나이다. 반대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고 영양가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식물성 대체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싱가포르의 식물성 대체육 시장 역시 지속 성장하고 있어 주목할 만 하다.

상품명 및 HS Code   

싱가포르 식품청(SFA)에서 정의한 싱가포르 관세표 상 대체육은 HS Code 제2106.9099호 ‘달리 명시되지 않은 기타 식품 조제품’에 포함된다.

시장 규모 및 동향

싱가포르의 식물성 대체육 시장은 주목받기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아 아직 규모는 크지 않다. 싱가포르는 2020년 12월 계란대용품 제조사 'Eat Just'가 연구실에서 재배한 고기를 판매할 수 있도록 허가하면서 배양육 판매를 가장 먼저 승인한 국가가 되었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싱가포르 식물성 대체육 시장 규모는 2021년 기준 90만 싱가포르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2022년 110만 싱가포르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성장세가 기대된다. 향후 2026년까지도 식물성 대체육 시장 규모는 연 평균 성장률이 6.7%로 예상된다.

 

<향후 싱가포르 대체육 시장 규모 및 연 평균 성장률>

(단위: 만 SG$, %)

 

2020

2021

2022

2023

2024

소매 가치

(Retail Value)

90

90

110

110

120

연 평균 성장률

26.7

7.0

12.9

5.9

4.5

[자료: 유로모니터]

 

싱가포르 기업청(Enterprise Singapore, ESG)이 지원하는 현지 비건 식품기술 업체인 어빌런(abillion)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싱가포르인의 ‘사회적 책임’ 소비에 대한 관심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부분적으로 코로나 팬데믹의 영향을 받아 사람들의 사회적, 환경적, 건강의식이 높아진 것이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Statista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설문조사에 응한 싱가포르인의 46% 이상이 일반적인 건강 우려로 식물성 식단을 채택할 것이라고 답했다. 또한, 세포 기반의 육류 및 해산물 제조업체인 Shiok Meats가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에 따르면 싱가포르 소비자의 78%가 비동물(non-animal)로부터 생산된 세포 기반의 육류 및 해산물을 수용할 의사가 있으며, 그중 45%는 “지속 가능성”이 주요 동기였다고 답하였다.

수입 규모 및 동향

 

GTA 통계에 따르면, 2021년 기준으로 대체육을 포함한 “달리 명시되지 않은 기타 조제품(HS 코드 210690)”의 싱가포르 총 수입액은 15,985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8.8% 증가하였다. 2021년에 싱가포르가 달리 명시되지 않은 기타 조제품(HS 코드 210690)을 가장 많이 수입한 국가는 미국으로, 수입 규모는 3,459백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호주, 필리핀과 말레이시아가 그 뒤를 이었다.

 

<기타 식품 조제품 10대 수입국가 및 규모>
(
단위: 백만 US$, %)

연번

수입국

2019

2020

2021

2020년 대비 2021년 증가율

1

미국

2,971

3,023

3,459

8

2

호주

400

383

458

20

3

필리핀

253

275

343

25

4

말레이시아

216

217

305

40

5

태국

183

218

244

12

6

베트남

205

201

181

-10

7

뉴질랜드

87

80

97

22

8

인도네시아

60

69

88

28

9

일본

99

87

79

-9

10

홍콩

85

56

65

17


총계

13,759

14,688

15,985



: HS Code 210690(달리 명시되지 않은 기타 조제품)기준

[자료: Global Trade Atlas]


참고로, 싱가포르 식품청(Singapore Food Agency, SFA)에서는 대체육을 포함한 “달리 명시되지 않은 기타 조제품(HS 코드 210690)”을 세부적으로 21069099코드로 정의했다. 이 기준으로 GTA 통계를 살펴보자면, 2021년 해당 HS코드의 총 수입액은 2,230만 달러로 나타났다. 2021년에 싱가포르가 기타 식품 조제품(HS 코드 21069099)을 가장 많이 수입한 국가는 사우디아라비아로, 수입 규모는 1,280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인도네시아와 카타르가 그 뒤를 이었다.


<기타 식품 조제품 10대 수입국가 및 규모>
(
단위: US$, %)

연번

수입국

2019

2020

2021

2020년대비 2021년 증가율

1

사우디 아라비아

550

19,217

12,812

-33

2

인도네시아

4,571

3,064

3,214

5

3

카타르

1,363

3,235

3,097

-4

4

이스라엘

475

786

1,298

65

5

멕시코

-

-

643

-

6

베트남

962

921

489

-47

7

스리랑카

280

169

339

101

8

인도

482

381

248

-35

9

케냐

6

3

88

2,576

10

스위스

27

42

64

53

 

총계

13,239

33,198

22,300

 

: HS Code 21069099(달리 명시되지 않은 기타 조제품)기준

[자료: Global Trade Atlas]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현지 유통망을 통해 쉽게 접할 수 있는 식물성 대체육의 대표적 브랜드로는 쿼른(Quorn), 비욘드 미트(Beyond Meat), 임파서블 푸드(Impossible Foods) 등이 있다. 대체육 제품들은 다진 고기와 버거 패티가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 들어서는 Quorn의 딤섬(냉동식), OmniMeat의 런천미트 등도 등장하며 현지화된 식품으로까지 다양해지고 있다. 싱가포르 시장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대체육 브랜드들은 다음과 같.

 

<싱가포르 주요 식물성 대체육 브랜드 정보>

브랜드명

기업 국적

기타

Beyond Meat

 

미국

- 업체명: Beyond Meat, Inc.
-
다양한 품목(식물성 패티, 소고기, 소시지, 미트볼, 육포, 치킨 텐더, 다진 소고기)

- 현재 싱가포르에서는 패티, 소고기, 소시지만 판매

Impossible Food

미국

- 업체명: Impossible Foods Inc.

-다양한 품목(식물성 버거, 소시지, 치킨너겟, 미트볼, 돼지고기)

- 현재 싱가포르에서는 버거와 돼지고기만 판매
- 다양한 레시피(예: 딤섬, 햄버거, 피자, 파스타 등)에 사용 가능

Quorn

 

영국

- 업체명: Quorn Foods
- 싱가포르에서 구할 수 있는 제품: 필레, 패티, 미트볼, 너겟, 버거, 다진 고기
- 공식 웹사이트에서 소비자들이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다양한 레시피(아시아, 이탈리아, 멕시코) 있음

Tindle

 

싱가포르

- 업체명: Next Gen Foods Pte. Ltd.

- 국내 푸드테크 스타트업이 개발한 식물성 닭고기
- 식물성 메뉴 옵션을 제공하기 위하여 현지 식당 공급 중

Karana

  

싱가포르

- 업체명: Karana Foods

- 잭프루트로 만든 식물성 돼지고

- 식물성 메뉴 옵션을 제공하기 위하여 현지 식당 공급 중

- 소매점용 제품 출시 예정(현지 입맛에 맞춘 제품: 식물성 차슈바오, 돼지고기&부추만두)

OmniMeat

 

  

홍콩

- 업체명: OmniFoods

- 2012년 소셜 벤처 'Green Monday'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30개 이상의 국가에서 학교와 정부 당국에 대한 세계적인 홍보 활동을 하고 있음
-아시아인의 입맛에 맞춘 다양한 제품(런천미트, 트러플교자, 시우마이, 참치 통조림, 크랩 케이크, 버거, 필레 등)

- 지역 식당, 슈퍼마켓, 편의점과 미니 마트에 공

[자료: 각 업체 공식 홈페이]

 

싱가포르에서 식물성 제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최근에는 식물성 옵션이 점점 더 많이 제공되고 있다. 비건 메뉴를 제공하는 식당이 늘고 있고, 식물성 제품을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매장까지 등장하였다. 러브 핸들(Love Handle)은 싱가포르 최초의 식물성 매장/정육점으로, 생고기, 양념 및 조리 가능한 제품(ready-to-cook), 유제품 및 조미료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대체육 제품을 한 곳에 모았다.

 

<식물성 정육점 및 식당 Love Handle>

[자료: The Peak Magazine]

 

유통구조

 

싱가포르 현지에서 가공육, 해산물, 대체육은 신선도 유지를 위하여 냉동 배송이 필요하다는 특성오프라인 유통채널의 비중이 현저히 높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1년 싱가포르 대체육 유통구조에서 슈퍼마켓이 57.6%, 하이퍼마켓이 18.3%, 편의점이 3.1%, 소매점이 16.9%, 전자상거래가 2.4%를 차지하였다. 오프라인 유통 채널이 전체 시장의 97.6%로 여전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최근 코로나 시대의 소비 패턴의 변화로 인하여 향후 온라인 유통채널의 비중이 점차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가공육류, 해산물 및 대체육 유통구조>

기준: 2021년 12월

[자료: 유로모니터]

 

관세율 및 수입규제

 

싱가포르는 4개 품목(차량, 담배, 석유 관련 제품, 주류) 군을 제외한 모든 물품을 무관세로 수입하고 있다. 단, GST라 불리는 상품 및 서비스(Goods & Service) 부가세를 추가적으로 부과한다. 

 

싱가포르 식품청은 식품 안전 및 식량 보안 감독 기관으로써 모든 식품 관련 서비스를 담당하고 있으며, 식품의 수입∙유통은 싱가포르 식품청의 관할 하에 규제하고 있다. 싱가포르 시장에서 식물성 대체육을 유통하기 위해서는 현지유통 업체가 싱가포르 식품청에 관련 자료(원재료 및 영양성분표 등등)를 제출하여 사전 등록과 승인 절차를 거쳐 수입을 진행한다.

 

시사점 및 전망

 

코로나19로 인하여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더욱 많아졌으며 건강한 음식에 대한 관심은 앞으로도 점점 늘어나 대체육 식품의 인기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Bloomberg Intelligence)에 따르면 전세계의 식물성 식품 시장이 2020년 294억 달러에서 2030년 1,66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Bloomberg Intelligence는 식물성 대체육류 제품이 2031년까지 세계 육류 시장 보급률 5%에 달하고, 시장규모는 75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였다. 한편 식물성 유제품 시장은 세계 유제품 시장의 10% 보급률을 달성하고 2031년까지 668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었다. 또한 해당 발표자료에서는 조미료, 드레싱, 그리고 계란을 포함한 다른 식물성 품목들도 2031년까지 238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식물성 유제품 및 육류 소매시장 예측 표>

(단위: US$ 10억)

[자료: The Food Institute]

 

미국과 유럽은 현재 가장 큰 식물성 대체육 시장이지만 아시아 시장 역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식물성 대체육 시장의 유망성을 보고 다국적 기업들이 아시아 시장을 공략하기 위하여 싱가포르에 본사를 두고 있다. 싱가포르 현지 식물성 식품 제조 업체의 한 관계자 R에 따르면, 싱가포르는 글로벌 인재 풀, 정부 지원, 인접 시장과의 근접성이 뛰어난 생태계를 보유하고 있어 식물성 대체육 시장에 대한 큰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언급하였다.

 

<국가별 지역 슈퍼마켓의 식물성 식품 비중>

기준: 2021년 4월

[자료: abillion]

 

대체육 외에도 식물성 아이스크림, 우유, 치즈는 싱가포르에서 유망한 성장 분야이다. 마지막으로 싱가포르는 동남아 진출의 전략적 거점으로 유리한 조건과 충분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연구단지, 생산공장, 트렌드 수용에 적극적인 싱가포르 시장에서 한국 국내업체들의 참신한 제품이 출시되기를 기대해본다.

 

 

자료: Euromonitor, Statista, Singapore Food Agency, The Food Institute, Enterprise Singapore, KrAsia, www.forbes.com, KOTRA 싱가포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싱가포르 식물성 대체육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