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사우디 국가산업개발 및 물류 프로그램
  • 트렌드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김현범
  • 2019-06-28
  • 출처 : KOTRA

- 산업 대국, 글로벌 물류 허브 국가를 목표 -
- 산업, 광업, 에너지, 물류 등 4가지 중점 분야 개발 -




□ 개요


  ㅇ 2017년 7월 15일 승인된 사우디의 NIDLP(National Industrial Development & Logistics Program)는 사우디 비전 2030의 일환으로 장래를 선도하는 산업 대국(Industries Powerhouse), 세계 물류 중심지로의 도약을 목표


  ㅇ 핵심 내용은 4가지 중점 분야 육성을 비롯해 규제정책, 산업정책, 사회기반시설 구축, 경제특구 조성 등


NIDLP 4가지 중점 분야

자료: 사우디 에너지산업광물자원부


□ 4가지 중점 분야 및 공통 목표


  ㅇ NIDLP는 4가지 중점 분야로 구성
    - 산업(Industry), 광업(Mining), 에너지(Energy), 물류(Logistics)등 4가지 분야
    - ‘산업’은 군수산업 국산화, 석유가스 산업 확장, 식품산업 개발, 현지 제조품 조달률 제고, 양식업 개발 등에 초점
    - ‘광업’은 광업 분야의 개발과 이를 통한 사우디 국가 경제 발전 기여에 초점
    - ‘에너지’는 전력 공급과 가격 개선, 경쟁력 향상, 신재생에너지 활용 증가에 초점
    - ‘물류’는 수입·수출·통관 절차의 간소화, 물류서비스업의 능률화, 지리적 이점을 활용한 물류 허브로의 도약에 초점


  ㅇ NIDLP의 공통 목표
    - 경제 성장을 통한 GDP 기여
    - 다방면의 산업 육성을 통한 민간분야 고용 확대
    - 계속된 무역적자를 개선할 수출 증가
    - 사우디 내 여러 산업 분야의 수요 증가에 맞춘 국내 제조품 조달
    - 민간 주도 투자 확대
    - 석유 의존도를 줄이고 비석유 부분의 수익 증가


□ 주요 내용


  ㅇ 산업(Industry)


    1) 장비&기계(Equipment & Machinery)
      - 장비&기계 분야는 크게 전력 기자재(Electronic equipment)와 산업 기자재(Industrial equipment)로 나뉘며 사우디 내 산업에 필요한 전기부품, 산업부품의 생산개발 목표
      - 2016년 사우디 국내 산업 소비(Local Industrial Consumption)가 약 575억 사우디 리얄(약 153억 달러)에 이르는 등 빠르게 성장하는 사우디 국내 생산품 수요에 맞춰 전력 기자재, 산업 기자재 생산개발 계획
      - 반면, 장비 및 기계 분야 현지 시장정보 부족으로 해외투자 유치에 어려움


    2) 재생에너지 공급(Renewable Energy Supplies)
      - 국가재정에서 자금 조달, 재생에너지 발전에 필요한 부품 및 기자재 현지 생산을 통해 재생에너지 클러스터 조성 계획
      - 재생에너지 전문인력 육성, 친환경 에너지 관련 기업 지원
      - 일조량이 많은 사우디 환경을 활용, 태양에너지 선두 국가 목표
      - 반면, 프로그램의 낮은 투명성, 자금 조달 계획 미비, 현지 부품생산 기업과 전문인력 부족 등의 애로사항 존재


    3) 제약 제조업(Pharmaceutical Manufacturing)
      - 백신 개발 산업, 의료연구소, 제약품 생산지원, 제약품 사우디 내 자체조달, 혈장 분획(Plasma Fractionation) 센터 설립을 통한 의료 산업단지(Medical Cluster) 활성화 목표
      - 2021년까지 사우디 내 제약품 자체조달 금액 연 300억 리얄(약 80억 달러)로 성장 예상, 2019년 자체 조달률 20% 대비 2021년 25%까지 성장 전망
      - 반면, 제약품 장기구매자 부재, 대금 납부 지연 등의 애로 존재


    4) 의약용품(Medical Supplies)
      - 제약품 제조업 목표와 맞물리며 의약용품 연구소 개발, 자체조달, 공급기준의 강화를 목표
      - 현재 90억 리얄(약 24억 달러) 시장 규모에도 불구하고 국내 의약용품 수요 대비 자체 조달률이 2%에 불과해 의약용품 사업 육성 계획
      - 반면, 현재 사우디 내 의약용품 제조업체가 미비해 육성에 애로


    5) 자동차(Automotive)
      - 자동차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개발에 초점
      - 현재 사우디 내 수요는 내연기관에 집중돼 있으나 중∙장기적 관점에서 전기자동차 개발이 필수적이란 견해
      - 전체 GCC 자동차 산업 비중 중 사우디가 50%를 차지하는 등 장래 유망
      - 반면, 전기자동차 시장의 불확실성, 사우디의 전기자동차 기술 선도 여부 의견 불일치 등 전기자동차 산업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적음.

 

    6) 오일&가스 연관 산업(Oil & Gas Adjacent Industries)
      - 사우디의 풍부한 석유자원을 활용 원유가공 기술을 개발, 기존에 단순 원유 수출에서 부가가치를 얹은 원유가공 상품을 생산판매 하겠다는 목표
      - 기초, 중간 석유화학(Basic and Intermediate Chemical) 산업,  특수화합물(Specialty Chemicals) 생산 석유화학산업,  플라스틱 제조 등 물질변환(Conversion and Processed Products) 석유화학산업 등 3가지 단계로 발전 목표
      - 반면, 석유화학산업에 필요한 주원료 가공 기술이 부족해 개발 필요, 현재 사우디 내 특수화합물(Specialty Chemicals) 수요가 적어 시장 성장 필요


    7) 식품 가공(Food Processing)
      - 사우디의 발달한 유통망, 우유 가공 기술을 활용해 낙농업 육성
      - 고부가가치 작물 재배, 채소과일 제품 포장 및 라벨링 개선을 통해 원예농업 육성
      - 사우디 내 높은 간식류(과자, 초콜릿) 수요에 맞춰 과자와 초콜릿의 원료 작물 육성
      - 전 세계적으로 성장하는 할랄 식품 수요에 맞춰 할랄 축산업의 선두로 거듭날 것을 목표
      - 이 외 수산업, 음료 산업, 식물∙동물성 기름 분야 등의 발전을 위한 목표 수립


    8) 양식업(Aquaculture Industry)
      - 사우디는 질 높은 해산물 양식업을 운영 중이나 가격이 비쌈
      - 반면, 사우디 해산물 수요는 값싼 외국산 해산물에 치중돼 있어 자국산 양식 해산물은 소비되지 못하고 대부분 수출(전체 생산품 중 75% 수출)
      - 값싼 외국산 해산물 공급을 줄이기 위해 수입 규제 강화 예정
      - 양식하는 해산물 종(Seafood species) 간결화를 통해 높은 질을 유지하면서 낮은 가격에 생산 예정
      - 홍보 캠페인을 통해 자국산 해산물 소비 증대 목표


    9) 방산(Military Industries)
      - 사우디 전체 군사 시스템, 군수품 유지와 보수 장비 중 국내 방산 제품 사용을 50%까지 확대하겠다는 목표
      - 국내 방산 제품을 활용하는 새 국방전략 기획, 글로벌 방산 기업과의 기술이전 협약, 군수 산업단지 조성 권한 발의, 사우디 국영 군수 회사 설립을 통해 목표달성 계획


Industry 분야


자료: 사우디 에너지산업광물자원부


  ㅇ 광업(Mining)


    1) 목표
      - 광업 분야의 민간 투자 확대와 사우디 광물자원 차관부(Deputy Ministry for Mineral Resources, DMMR), 지질 조사청(Saudi Geological Survey, SGS)의 서비스 품질 개선
      - 광업 허가서 발급 신속화


    2) 문제
      - 2000년 이후 지속해서 탐사를 시행하고 있지만, 광물 탐사는 전적으로 개인 혹은 소규모 탐사자들에게 의존하기 때문에 타국 대비 현저히 느린 수준
      - 특히, 광업 허가서 발급속도가 매우 느린 편
      - 광물 탐사를 위한 자금 조달이 대부분 외국 투자로 이루어지는 실정, 사우디 내 민간부분의 투자 미비
      - 광업에 종사하는 사우디 국민이 적고 친환경 가이드라인 부재로 광업 발전이 사회적 이익으로 이어지지 못함.
      - 사우디 내 타 산업들이나 타국의 광산업에 비해 수익률이 낮음.
      - 경쟁력 있는 채광 기술을 보유한 타국과의 경쟁


    3) 수단
      - 투자 당국의 정치적 지지 획득을 통해 중∙소 광업 기업들에 대한 투자자금 마련
      - 광업 관련 부서의 기능적 통합과 상호협조
      - 사우디 산업개발 펀드(Saudi Industrial Development Fund, SIDF), 사우디 국립 과학 기술 연구소(King Abdulaziz City for Science and Technology, KACST)와의 협업


  ㅇ 에너지(Energy)


    1) 목표
      - 재생에너지 분야의 기술 발전을 통해 전체 전력생산 중 재생에너지 생산 비율 증가
      - 에너지 효율성 제고 프로그램을 통해 에너지 부분 경쟁력 강화
      - 재생에너지 분야의 전문인력 육성 및 관련 일자리 창출
      - 가스 생산 증가와 배급망 개선을 통해 국내수요 증가에 대비
      - 오염물질 배출 감소


    2) 문제
      - 비효율적인 에너지 소비 및 공급
      - 민간부분의 적은 참여
      - 정부의 재정적 부담
      - 낮은 재생에너지 의존도


    3) 수단
      - 냉∙난방기 규격 강화, 모든 건물의 단열재 설치 의무화, 가전제품 규격 강화를 통해 에너지 효율성 제고
      - 약 700억 리얄(약 186억5,000만 달러) 투자를 통해 2016년 디젤연료 소모를 1,300만 배럴까지 줄이는 등 전력생산 효율성을 제고
      - 재생에너지와 핵에너지 기술 활용 체계(A framework for utilization of renewable energy and nuclear power technologies) 보완
      - 일자리 창출과 관련 제품 조달률 제고를 위한 정책 수립
      - 사우디 에너지 시장구조 분석


  ㅇ 물류(Logistics)


    1) 목표
      - 경쟁력 있는 물류이송 서비스 제공
      - 높은 수준의 화물 운송, 보관 기준설정(Setting high standards for freight and storage)
      - 예약시스템과 화물추적 시스템의 능률화
      - 통관제도 개선
      - 국내 운송기업과 국제 운송기업의 통합
      - 기존의 물류 인프라 시설과 새로 건설될 인프라 시설의 통합을 통한 효용 극대화


    2) 문제
      - 해양, 항공, 육로에 상관없이 엄격한 보안정책에 따른 까다로운 통관 절차
      - 질 좋은 물류 서비스 제공업체의 부족, 화물창고 규정 미비
      - 항구(Port)마다 일관성 없는 통관절차(Inconsistent customs clearance standards)


    3) 수단
     - 사우디아는 동서양을 잇는 홍해의 교역로에 위치했으며 메나(MENA, 중동 및 북아프리카)와 서아프리카와도 인접해 있어 물류허브(Logistics hub)로 거듭나기에 유리
      - 지난 10년간 사우디 정부는 물류∙운송업에 약 4,000억 리얄(약 1,066억 달러) 투자, 홍해 전체 화물운송업 중 사우디 화물운송 차지 비중 90% 이상까지 성장함
      - 수입 및 수출 절차 간소화, 항구 절차 소요 시간의 10~25%를 줄일 계획
      - 안전규정 강화를 통해 사고율 낮춤
      - 대중교통 시스템 활성화를 통한 도시 체증 감소
      - 민간부분 투자유치와 국부펀드(Increasement of KSA fund financial support)를 통한 재정적 지속가능성 확보
      - 조직구성은 공공부문, 서비스 실행은 민간부분이 맡는 정부와 민간 협력 모델(Governance) 구성


□ 향후 과제


  ㅇ 사우디 외국인직접투자(Saudi Arabia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가 2008년 395억 달러에서 2017년 14억 달러 수준으로 줄어드는 등 민간자본 조달 계획에 핵심 역할을 할 외국인 투자가 불분명


  ㅇ 사우디 경제는 현재 미래를 이끌어 갈 연구, 혁신, 생산성 대신 자본, 석유자원에 의존 중


  ㅇ 이를 극복하고 NIDLP(National Industrial Development & Logistics Program)의 성공적 기원을 위해서는 4가지 중점 분야(산업, 광업, 에너지, 물류)에서 서둘러 경쟁력을 갖춰야 함.


투자 대상 분야

자료: 사우디 에너지산업광물자원부


□ 시사점


  ㅇ 현지 관계자 A에 따르면, 프랑스 방산 업체 탈레스는 사우디 정부와 방산 분야 협력을 약속하는 등 이미 약 530억 달러 규모, 37건의 정식 투자 계약이 체결됐으며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이라고 함.


  ㅇ 사우디의 신재생에너지 분야 전문 인력 부족으로 프로그램이 난항을 겪고 있어 한국기업들의 사우디 전문 인력 교육을 위한 업무협약 및 공동연구개발 등의 가능성 존재


  ㅇ 특히, 엔진 설비(Nacelle housing) 기술 및 태양 광기전력 단지 조성(Solar Photovoltaic park) 등 풍력 발전 기술과 태양광 발전 기술이 유력


  ㅇ 물류 분야의 직접적 서비스 실행은 민간 분야와 협력하는 거버넌스(Governance) 모델을 목표하고 있어 한국의 경쟁력 있는 물류업체 진출 검토 가능 




자료: 사우디 에너지산업광물자원부, 파이낸셜 뉴스, Saudi Gazette, KOTRA 리야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사우디 국가산업개발 및 물류 프로그램)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