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파우더 화장품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선양무역관
  • 2019-07-01
  • 출처 : KOTRA

- 중국 색조 화장품 시장, 프리미엄 제품 수요 증가 -

- 수출 확대를 위한 전자상거래 활용 필요 -

 

 


□ 시장 동향

 

  ㅇ 중국 색조화장품 시장은 소득 향상에 따른 소비 업그레이드를 바탕으로 높은 성장세를 보이며 잠재력을 드러내고 있음.

   -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 Euromonitor에 따르면 지난 해 중국 색조 화장품 판매는 전년대비 24.3% 증가한 427억 9980만 위안에 달함.

 

중국 색조 화장품 시장 규모

(단위: 백만 위안)

 word_image

자료원: Euromonitor

 

   - 그 중 파우더 제품의 판매량은 197000만 위안으로 집계되며, 지난 5년간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중국 파우더 제품 시장 규모

(단위: 백만 위안)

 word_image

자료원: Euromonitor

 

  ㅇ 기분 전환으로 메이크업을 즐기는 90허우(90, 90년대 이후 출생자), 00허우(00, 2000년대 이후 출생자) 소비자가 급부상하면서 중국 색조 화장품 시장은2의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어 향후 몇 년간 빠른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됨.

 

중국 파우더 제품 시장 전망

(단위: 백만 위안)

 word_image

자료원: Euromonitor

 

□ 수입 동향

 

  ㅇ 2018년 중국의 파우더 제품 수입액은 약 222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2017년 대비 약 59.5% 증가한 것임.

 

중국의 파우더 제품 수입 규모

(단위: 백만 달러)

 word_image

자료원: GTA

 

  ㅇ 파우더 제품의 주요 수입국은 일본, 프랑스, 이탈리아, 한국, 미국 순이며, 특히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은 전체 수입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392610기준)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

2018년

2017년

2016년

증감률('18/'17)

총계

222

139

96

59.50

1

일본

52

29

17

78.53

2

프랑스

50

42

36

18.38

3

이탈리아

37

22

12

66.09

4

한국

32

17

13

85.54

5

미국

22

13

8

64.46

자료원: GTA

 

  ㅇ 한국산 제품의 수입액은 2013년부터 꾸준히 성장해 오고 있으며 2017년 대비 2018년 성장률은 약 85.6%로 대폭 증가했음.

 

한국산 파우더 제품 수입 현황

(단위: 백만 달러)

 word_image

자료원: GTA

 

□ 경쟁 동향

 

  ㅇ 중국 내 파우더 제품은 크게 저가 로컬브랜드와 고가의 외국브랜드로 구분됨.

   - 대표적 로컬 브랜드로는 Carslan(卡姿), Perfect Diary(完美日), Marie Dalgar(玛丽黛佳)가 있으며 평균 100위안 이하의 가격대를 보유하고 있음.

   - 외국 브랜드는 Dior, Givenchy 등이 있으며 200위안 이상의 가격대임.

 

중국 내 주요 파우더 브랜드

브랜드

업체명

국가

제품 이미지

가격

Dior

Christian Dior (China) Fragrance & Cosmetics  Co Ltd

프랑스

word_image 

550위안/9g

Givenchy

Givenchy (Shanghai) Trading Co Ltd.

프랑스

word_image 

535위안/12g

Bobbi Brown

Estée Lauder (Shanghai)Commercial Co Ltd

미국

word_image 

380위안/ 11g

Maybelline New York

L'Oréal (China) Co Ltd

프랑스

 word_image

99위안/8.5g

L'Oréal Paris

L'Oréal (China) Co Ltd

프랑스

word_image 

240위안/7.5g

Za

Shiseido China Co Ltd

일본

 word_image

115위안/8g

Innisfree

AmorePacific Cosmetics(Shanghai) Co Ltd

한국

word_image 

50위안/5g

Carslan

Carslan Group Hong Kong

Co Ltd

중국

word_image 

69위안/9g

Marie Dalgar

Shanghai FeiyangCosmetics

 Co Ltd

중국

word_image 

79위안/6.3g

Perfect Diary

Perfect (China) Co Ltd

중국

word_image 

50위안/ 7g

자료원: Tmall, 선양무역관 정리

 

□ 유통구조


  ㅇ 중국 내 색조 화장품의 주요 판매경로는 백화점, 화장품 전문점, 드럭스토어 등이 있으며, 최근 인터넷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온라인 쇼핑몰이 색조 화장품의 중요한 유통플랫폼으로 떠오르고 있음.

 

중국 파우더 제품의 유통경로별 점유율

 (단위: %)

소매채널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Store-Based Retailing

70.1

67.7

65.2

62.9

61.4

59.3

Grocery Retailers

11.2

9.1

7.5

6.3

5.4

4.5

Modern Grocery Retailers

11.2

9.1

7.5

6.3

5.4

4.5

Hypermarkets

7.2

6.2

5.4

4.5

3.9

3.3

Supermarkets

4.0

2.9

2.1

1.8

1.5

1.3

Non-Grocery Specialists

14.1

15.2

15.8

16.6

17.1

17.3

Health and Beauty Specialist Retailers

14.1

15.2

15.8

16.6

17.1

17.3

Beauty Specialist Retailers

7.1

7.8

8.4

8.9

9.3

9.4

Drugstores/parapharmacies

7.0

7.4

7.5

7.7

7.8

7.9

Mixed Retailers

44.8

43.4

41.8

40.0

38.9

37.5

Department Stores

44.8

43.4

41.8

40.0

38.9

37.5

Non-Store Retailing

29.9

32.3

34.8

37.1

38.6

40.7

Direct Selling

11.4

10.7

10.0

9.1

7.7

6.3

Homeshopping

0.8

0.8

0.8

0.7

0.6

0.5

Internet Retailing

17.6

20.8

24.1

27.3

30.3

33.9

Total

100

100

100

100

100

100

자료원: Euromonitor

 

□ 수입인증과 관세율

 

  ㅇ 파우더 제품의 HS코드는 330491이며 한국으로부터 수입 시 5%의 수입관세(2019년 기준)와 13%의 부가가치가 부과됨.

 

HS CODE

관세율

부가가치세율

330491

5%

13%

자료원: KITA

 

  ㅇ 중국 정부는 비특수 수입 화장품에 대해 20181110일부터 '허가제' 대신 '등록(备案)'를 실시하여 화장품 통관절차를 간소화함.

    - 중국의 화장품은 크게 비특수 화장품과 특수 화장품으로 구분되며 기미제거(미백 포함), 자외선차단, 염색, 퍼머, 제모, 육모, 제취, 가슴미용, 바디 슬리밍 등 9종의 특수 화장품을 제외한 모든 제품은 비특수 화장품으로 분류됨.

   - 등록제의 기본적인 제출서류 및 심사기준은 심사허가제와 동일하지만 온라인으로 등록을 진행하고 기술심사를 사후에 보완할 수 있어 등록기간이 크게 단축됨.

   - 등록기간은 단축되었으나 심사수준은 기존 심사허가제와 동일하며, 추후 진행하는 기술심사에서 불합격 시 수입과 판매가 중단될 수 있다는 점을 주의해야 함.

 

비특수 화장품 등록절차

 word_image

자료원:선양무역관정리

 

□ 시사점

 

  ㅇ 소득 수준 상승으로 고가 파우더 제품에 대한 중국인들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음.

   - 특히 직장여성들의 비율이 높은 상하이, 베이징, 항저우, 선전, 광저우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럭셔리 화장품 브랜드의 매출이 크게 성장하고 있으며, 이는 여성의 소득이 증가하면서 스스로를 가꾸기 위한 지출 금액도 증가했기 때문임.

 

  ㅇ 인터넷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최근에 온라인 쇼핑몰이 색조 화장품의 중요한 유통플랫폼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중국에 진출하고자 하는 우리 화장품업체들은 전자상거래를 통한 수출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음.

 

화장품 업계 관계자 인터뷰

 

Q1) 중국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의 인지도는 어떠한가?

A1) 한국 화장품은 중국에서 인지도가 높으며,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높다. 소비자들에게 쉽게 수용될 수 있는 가격을 갖고 있으면서 품질이 좋기 때문이다. 또한 한류의 영향으로 중학생부터 중년 여성까지 다양한 연령층의 여성들 모두 한국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매우 높은 편이다. 특히 후(), 3CE, 아모레퍼시픽, 에뛰드하우스, 라네즈, 이니스프리 등은 중국 소비자들이 즐겨 쓰고 있는 브랜드이다.

 

Q2) 현지 시장 진출을 원하는 한국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마케팅 및 홍보방법은 무엇인가?

A2) 성공적인 중국 진출을 위해서는 사전에 시장 상황을 철저히 검토하고 적절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현재 중국은 화장품 관련 수입관세를 낮추면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치열한 경쟁상황 속에서는 단기간 매출을 올리는 것보다 차별화된 브랜드와 제품경쟁력으로 소비자들에게 포지셔닝 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자료원: KOTRA 선양무역관 자체 진행

 


자료원: Euromonitor, GTA, KITA, KOTRA 선양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파우더 화장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