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中 지재권 동향 키워드 '인터넷+와 질적 성장'
  • 투자진출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18-08-28
  • 출처 : KOTRA

- '인터넷+'전략과의 접목을 통해 지재권 보호 효율 제고 계획 -

- 반도체·전기전자분야 로컬기업의 특허등록 수 급증세 -

- 우리 기업은 지재권 역량 개발과 보호체계 강화를 통해 산업주도권 유지해야 -

 

 

 

최근 동향

 

  ㅇ 지난 83, 국가지재권국은 '인터넷+ 지재권보호 업무 방안'('互联网+'知识产权工作方案, 이하 '방안')을 발표

     * 공고(클릭 시 이동): http://www.sipo.gov.cn/gztz/1130246.htm

    - 빅데이터, 추적시스템 구축 등 '인터넷+' 관련 기술로 지재권 보호 효율과 수준 향상, 혁신, 투자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골자

    - '방안'은 올 1월부터 20206월까지를 연구·준비(2018.1~6.), 개발·시험(2018.7.~2019.6.), 총결·보급(2019.7.~2020.6.) 3단계로 나눠 추진할 예정

 

  ㅇ 최근 중국 정부는 온라인상 지재권 불법 침해에 대한 단속 강화도 진행 중

    - 지재권보호 주관부처인 국가지재권국은 올 8월부터 4개월간 '전자상거래 지재권 보호 강화'를 통해 온라인 매장의 모조품 단속을 강화한다고 선언

    - 특히 상하이, 저장, 베이징, 광둥, 장쑤 등 전자상거래 규모가 큰 지역, 영·유아용품 등 사회적 관심도가 높은 품목에 대해 중점 실시한다는 방침

    - 온라인상 컴플레인 즉시 접수 및 처리 시스템을 가동해 단속 효율을 제고할 예정

 

발전추세

 

  ㅇ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에 따르면 2017년 중국이 신청한 특허건수는 전 세계 42.8%의 비중으로 세계 1위 차지

    - 그다음은 미국(19.4%), 한국(10.2%)과 일본(10.2%) 순

 

  ㅇ 2017년 중국 특허 등록건수는 전년대비 4.7% 증가한 1836,434건으로 집계됨. (중국 국가지재권국 발표 자료)

    - 이중 발명특허는 전년대비 3.9% 증가한 42144, 실용신안은 7.7% 증가한 973,294, 디자인(의장)0.7% 소폭 하락한 442,996건임.


  * 중국의 특허 세가지 분류

   · 발명특허: 제품, 방법 또는 그 개선에 대해 제출한 새로운 기술방안

   · 실용신안: 제품의 형태, 구조 또는 그 결합에 대해 제출한 실용적인 신기술방안

   · 디자인(의장) 특허: 제품의 형태, 도안 또는 그 결합 및 색채와 형태, 도안 결합에 대한 미관상, 산업응용에 적합한 새로운 설계

   

 

중국 특허등록 건수 추이

자료원: 중국 국가지재권국

 

  ㅇ 중국 특허등록은 주로 경제발전수준이 높은 동부 연해 지역에 집중

    - 상위 3대 지역(베이징, 광둥, 장쑤)은 등록 건수가 모두 4만 건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3개 지역의 합계는 지난해 전국 특허등록 총수의 30% 이상 차지

    - 중부의 후베이과 서부의 쓰촨의 약진이 두드러지는 가운데 두 지역의 지난해 특허등록 건수가 모두 1만 건 이상으로 나타남.

 

2017년 특허등록 상위 10대 지역

순위

()

특허등록()

증감률(%)

1

베이징(北京)

46,091

13.5

2

광둥(广)

45,740

18.4

3

장쑤()

41,518

1.4

4

저장(浙江)

28,742

8.2

5

상하이(上海)

20,681

3.0

6

산둥()

19,090

△1.6

7

안후이(安徽)

12,440

△18.7

8

쓰촨(四川)

11,367

9.8

9

후베이(湖北)

10,880

27.7

10

산시(陝西)

8,774

16.9

자료원: 중국 국가지재권국

 

  ㅇ 중국 특허등록 상위 로컬 10개사는 주로 전력, 통신장비, 석유화학, 전기전자와 반도체 등 분야의 로컬 강자들임.

 

2017년 중국 내 특허등록 상위 로컬 10개사

순위

회사명

업종

특허등록()

1

국가전력망공사(电网)

전력

3,622

2

화웨이(华为)

통신장비

3,293

3

시노펙(中石化)

석유화학

2,567

4

BOE()

반도체

1,845

5

ZTE()

통신장비

1,699

6

레노보()

통신장비

1,454

7

GREE(格力)

가전

1,273

8

OPPO()

통신장비

1,222

9

페트로 차이나(中石油)

석유

1,008

10

SMIC(中芯国际)

반도체

862

자료원: 중국 국가지재권국

 

  ㅇ '17년 중국 내 특허등록 상위 10대 외자기업 중 한국기업은 삼성전자 1

    - 미국기업이 4곳으로 가장 많고 그 뒤를 일본(3), 독일(2)이 잇고 있음.

    - 업종별로 살펴보면 주로 반도체, 전지전자에 집중

 

2017년 중국 내 특허등록 상위 외자 10개사

순위

회사명

업종

국가

특허등록()

1

퀠컴(Qualcomm)

반도체

미국

1,255

2

도요타

자동차

일본

1,203

3

로버트보쉬(Robert Bosch)

전기전자

독일

1,201

4

미쓰비시전기

전기전자

일본

1,172

5

삼성전자

전기전자/반도체

한국

1,168

6

지멘스

전기전자/의약

독일

938

7

인텔

반도체

미국

928

8

IBM

컴퓨터/컨설팅

미국

918

9

캐논

전자제품

일본

914

10

GM

자동차

미국

912

자료원: 중국 국가지재권국

 

  ㅇ 지난해 PCT(국제특허) 출원건수를 살펴보면 중국은 일본을 제치고 2위로 도약(WIPO 발표)

    - 2017PCT 출원건수 1위국은 미국, 전년도와 비슷한 56,624건으로 집계됨.

    - 2위인 중국은 전년대비 13.4% 증가한 48,882, 일본은 48,208(6.6%↑)으로 나타남.

 

  ㅇ PCT 출원건수 상위 10사에도 중국기업(3개사)이 가장 많았음.(WIPO 발표)

    - 한국, 일본, 미국은 각각 2개사, 스웨덴 1개사가 2017년 국제특허 출원 TOP 10에 이름을 올렸음.

    - 중국의 통신제조업체 화웨이가 한국의 삼성과 LG의 출원건수를 합한 것과 비슷한 4,024건으로 가장 많고 ZTE2,965건으로 2위를 차지함.

 

2017년 국제특허 출원 상위 10개사

순위

회사명

업종

국가

출원건수

증감률(%)

1

화웨이(华为)

통신설비

중국

4,024

9.0

2

ZTE()

통신설비

중국

2,965

△28.1

3

인텔

반도체

미국

2,637

55.9

4

미쓰비시전기

전기전자

일본

2,521

22.8

5

퀠컴(Qualcomm)

반도체

미국

2,163

△12.3

6

LG전자

전기전자

한국

1,945

3.0

7

BOE()

반도체

중국

1,818

8.7

8

삼성전자

전기전자/반도체

한국

1,757

5.1

9

SONY

전자제품

일본

1,735

4.2

10

에릭슨

통신설비

스웨덴

1,564

△2.7

자료원: WIPO

 

전망 및 시사점

 

  ㅇ 중국 지재권은 양적 증가에서 품질 강화로 전환 중

    - 국가지재권국이 매년 발표해온 '연간 보고서'에 출원건수와 등록건수를 모두 공개해왔으나 '2017년판'에는 출원건수가 공개되지 않았음.

    - 이는 당국이 특허출원수보다 질적 성장을 추구하고 있음을 시사

 

  ㅇ 중국 지재권 보호체계 구축 및 완비가 가속화된 가운데 중국 정부의 자국 핵심산업에 대한 지재권 관련 지원이 대대적으로 이뤄질 전망

    - 시진핑 주석은 지난 410일 보아오(博鰲) 포럼 기조연설에서 "중국은 외국기업과의 정상적인 기술 협력을 모색하고 중국 내 외국 기업의 합법적인 지식재산권을 보호할 것"이라고 밝힘.

    - 이는 미국에 "외국기업 지식재산권 침해 실태를 개선하기 위해 무역전쟁을 일으킨다"는 빌미를 주지 않겠다는 의지이자 중국 산업의 고도화를 위한 적극적 정책이라고 현지 전문가들은 지적(KOTRA 베이징 무역관 중국 특허재심위원회 관계자 인터뷰)

 

  ㅇ 중국 기업의 기술력 수준 향상 및 지재권 분쟁 리스크가 높아지면서 우리 기업들은 산업 주도권을 지키기 위해 지재권 전략 및 사내 지재권 보호체계를 점검하고 강화할 필요가 있음.

    - 중국 내 특허권 등 지재권 등록은 물론, 회사 내 영업비밀 보호 시스템을 구축하고 수시로 기술과 디자인 등 지재권 보호관리와 점검을 실시해야 함.

    - 또한 상표권뿐만 아니라 디자인 특허(의장), 실용신안도 반드시 체크해야 한다고 현지 전문가들 조언(KOTRA 베이징 무역관 인터뷰)

     * 디자인특허 및 실용신안의 경우 중국은 한국과 달리 무심사 제도여서 먼저 출원한 사람이 법적 권리를 가지게 되므로 이런 허점을 이용해 가품이 유통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노력이 필요함.

 

 

자료원: 중국 국가지재권국,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 KOTRA 베이징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中 지재권 동향 키워드 '인터넷+와 질적 성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