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호주, 태양광 및 풍력 중심 신재생에너지 호황
  • 트렌드
  • 호주
  • 시드니무역관 전희정
  • 2018-08-28
  • 출처 : KOTRA

- 호주 신재생에너지, 전체 발전량의 17% 차지 -

- 호주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위한 다양한 지원정책으로 신재생에너지 성장세 지속  -




□ 호주 신재생에너지 시장현황


  ◦ (전력생산) 2017년도는 호주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기록적인 증가를 달성한 해였음. 그러나 가뭄으로 인한 수력 발전량 감소로 전체 발전에서 차지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율은 16.94%로 전년도 17.3% 대비 소폭 감소. 한편, 화력 발전량은 83.06% 기록

    - 2017년도는 특히 풍력과 수력 발전이 전체 발전에서 각 5.7%를 부담해 사상 최대를 기록

    - 2016년도의 경우 풍부한 강수량으로 수력 발전이 전년 대비 26% 증가해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율을 높인 요인으로 작용 


2017년 신재생에너지 유형별 발전량 및 비율

에너지 유형

전력생산량(GWh)

신재생에너지 점유율

전체 발전량 점유율

공급 가능 가구 수

수력

12,920

33.9%

5.74%

2,881,140

풍력

12,873

33.8%

5.72%

2,800,914

가정용 상업용 태양광

(PV<100kW)

7,723

20.3%

3.43%

1,680,412

바이오에너지

3,713

9.7%

1.65%

807,783

중형 태양광 발전

197

0.5%

0.09%

42,959

대형 태양광 발전

695

1.8%

0.31%

151,243

태양열 발전

16

0.0%

0.01%

3,383

지열 발전

1

0.0%

0.00%

152

신재생에너지 합계

38,138

100%

16.94%

8,297,986

 자료원: CEC Australia


    - 신재생에너지 발전에서 수력 발전이 전체에서 5.74%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풍력 발전이 5.72%로 그 뒤를 잇고 있음.

    - 수력 발전의 경우 강수량에 따라 발전량이 변동하는 특성이 있고, 풍력 및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 완공이 늘어나면서 두 비율 모두 높아지고 있음. 또한 신규 프로젝트도 대부분 풍력 및 태양광에 집중되고 있음.


2017년 주별 전력발전 현황

(단위: GWh)

발전량

화력 발전량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신재생에너지 비율

남호주

13,243

7,252

5,991

45%

서호주

19,095

16,371

2,724

14%

빅토리아

49,610

41,622

7,988

16%

타즈매니아

10,361

1,208

9,153

88%

뉴사우스웨일즈

67,932

60,601

7,331

11%

퀸즐랜드

64,840

59,856

4,984

8%

국가 전체

225,082

186,910

38,172

17%

자료원: CEC Australia


    - 수력 발전으로 대부분의 전력공급을 충당하는 타즈매니아 주의 경우, 강우량 감소로 인해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율이 88%로 전년도 93% 대비 5%가량 줄어듦.

    - 남호주는 풍력 발전의 지속증가 및 화력 발전용량 감소로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율 45% 달성
    - 호주에서 전력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뉴사우스웨일즈, 빅토리아 주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율은 각각 16%, 11%에 머물고 있으며, 퀸즐랜드 주의 경우 8%만이 신재생에너지 발전으로 충당

    - 2017년도 신재생에너지 발전 프로젝트 수는 16개로 설치용량은 701MW를 기록


2017년 완공된 호주 주요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단위: MW)

분야

 

발주처

프로젝트명

설치용량

바이오에너지

서호주

Worsley Alumina Refinery

Worsley multi Fuel Cogeneration Plant

114

바이오에너지

퀸즐랜드

Tong Park Piggery

Tong park

1

바이오에너지

빅토리아

Yarra Valley Water

Rewaste Wollert

1

하이브리드

남호주

EDL

Coober Pedy Renewable Hybrid

5

하이브리드

퀸즐랜드

Seqwater

Lake Somerset

4

태양광 발전

퀸즐랜드

Genex

Kidston

50

태양광 발전

퀸즐랜드

Sunshine Coast Regional C.

Sunshine Coast Solar Farm

15

태양광 발전

퀸즐랜드

Conergy

Lakeland Solar and Storage

13

태양광 발전

뉴사우스웨일즈

Goldwind Australia/BJC

Gullen Range Solar Farm

10

태양광/바이오

남호주

N Adelaide Waste Management

NAWMA

2

태양열 발전

뉴사우스웨일즈

Vast Solar

Jemalong CSP Pilot

1

풍력

빅토리아

RES

Ararat Wind Farm

240

풍력

남호주

Neoen/Megawatt Capital

Hornsdale Stage 2

109

풍력

남호주

Neoen/Megawatt Capital

Hornsdale Stage 3

100

풍력

빅토리아

Windlab

Kiata Wind Farm

31

풍력

타즈매니아

Hydro-Electric Corp.

Whitemark Power Station

4

자료원: CEC Australia


  ◦ (현재 건설 중인 프로젝트) 약 6732MW 규모의 신규 신재생에너지 발전 프로젝트가 2016년~2018년 1월 사이 발표됨.

    - 정부 에너지발전목표(RET)*를 달성하는데 충분한 규모임.

    * 2020년까지 전체 발전량에서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율을 20% 이상 달성을 목표


현재 진행 중인 호주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단위: MW)

분야

 주명

발주처

프로젝트명

설치용량

바이오에너지

퀸즐랜드

MSF

Tableland Mill

24

태양광 발전

남호주

Reach Solar

Bungala

220

태양광 발전

퀸즐랜드

ESCO Pacific/Palisade

Ross River

148

태양광 발전

퀸즐랜드

Sun Metals

Sun Metals Solar Farm

116

태양광 발전

뉴사우스웨일즈

Lighthouse Solar

Clare

100

태양광 발전

퀸즐랜드

RES

Emerald

72

태양광 발전

퀸즐랜드

Edify/Wirsol

Hamilton

58

태양광 발전

퀸즐랜드

Edify/Wirsol

Whitsunday

58

태양광 발전

뉴사우스웨일즈

First Solar/Infigen

Manildra

49

태양광 발전

퀸즐랜드

Ratch Australia

Collinsville

42

태양광 발전

뉴사우스웨일즈

Neoen

Dubbo

25

태양광 발전

퀸즐랜드

Canadian Solar

Oakey

25

태양광 발전

서호주

APA Group

Emu Downs

20

태양광 발전

퀸즐랜드

Lighthouse Solar

Hughenden

20

태양광 발전

뉴사우스웨일즈

Goldwind Australia

White Rock

20

태양광 발전

퀸즐랜드

Windlab/Eurus

Kennedy Energy Park

19

태양광 발전

퀸즐랜드

Canadian Solar

Longreach

15

태양광 발전

퀸즐랜드

Ydot Projects

Dunblane Solar Farm

11

태양광 발전

서호주

Carnegie/Landlease

Northam

10

태양광 발전

뉴사우스웨일즈

Pamada

Upper Hunter Energy Park

10

태양광 발전

남호주

SSE Australia

Whyalla Solar Farm Stage 1

6

태양광 발전

퀸즐랜드

Canadian Solar/Scouller Energy

Normanton

5

풍력

뉴사우스웨일즈

CWP Renewables

Sapphire

270

풍력

뉴사우스웨일즈

AGL

Silverton

199

풍력

퀸즐랜드

Ratch-Australia

Mt Emerald(Arriga)

181

풍력

뉴사우스웨일즈

Goldwind Australia

White Rock

175

풍력

빅토리아

ACCIONA

Mt Gellibrand

132

풍력

남호주

Engie

Willogoleche Hill

119

픙력

뉴사우스웨일즈

Infigen

Bodangora(Wellington)

113

풍력

뉴사우스웨일즈

Global Power Generation

Crookwell 2(Goulburn)

91

풍력

빅토리아

Pacific Hydro

Crowlands

80

풍력

빅토리아

Tilt Renewables

Salt Creek

58

풍력

퀸즐랜드

Windlab/Eurus

Hughenden

43

풍력

빅토리아

Pacific Hydro

Yaloak

29

자료원: CEC Australia


  ◦ (신재생에너지 발전 투자) 신재생에너지 발전목표(RET) 수정안이 통과된 2015년 이후로 신재생에너지 투자가 급격히 증가함.

    - 2018년 현재 진행 중인 최소 40여 개 프로젝트 및 가정용 태양광 발전을 포함하면 투자액은 약 120억 호주달러(한화 약 10조 원)에 이름. 이로 인해 약 3700여 개 신규 일자리가 창출됐으며 설치용량도 4GW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
    - 이는 주요정당 간 합의에 의한 신재생에너지 발전목표(RET)가 통과돼 그동안 보류됐던 프로젝트가 속속 진행된 것이 주요 요인
    -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대한 정부 지원도 적극적. ARENA 및 CEFC 등 정부기관을 통한 프로젝트 자금지원이 특히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 증가에 크게 기여


  ◦ (신재생에너지 발전목표(RET)) 2020년까지 전체 발전에서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율 20%를 달성한다는 목표로 2015년에 최종 수정 법안이 통과
    - RET(Renewable Energy Target)는 두 가지 형태로 분리할 수 있는데, LRET(Large Scale RET)와 SRES(Small Scale Renewable Scheme)로 구분. LRET의 경우 2020년까지 3만3000GWh로 목표 달성이 되며, SRES는 가정용 중소규모 신재생에너지로 정부지원을 받아 2020년 이후에도 지속증가 예정


  ◦ (중소형 신재생에너지 발전) 태양광 발전의 급격한 비용하락으로 상업용 발전규모의 프로젝트가 계속 증가
    - 그동안 중대형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경우 풍력이 가장 높은 가격경쟁력을 가지고 있었으나 최근 태양광패널 가격 하락으로 그 차이가 크게 좁혀지고 있음.

    - 풍력 발전의 경우 터빈 소음 및 발전소 주변 지역 주민들의 반발 등으로 인해 여러 프로젝트 진행 보류 혹은 취소되는 경우 많았음. 
    - 급격한 전기료 상승으로 인해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상업시설에서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대한 수요가 많이 증가하는 추세


  ◦ (분야별 발전소 건설비용) 2017년 기준 신재생에너지 분야별 발전소 건설비용을 보면 아래와 같음.


신재생에너지 분야별 발전소 건설비용

(단위: AUD/MWH)


자료원: CEC Australia


    - 블룸버그 뉴에너지파이낸스(BNEF)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건설비용이 화력 발전에 비해 훨씬 저렴한 것으로 분석. 1MW 당 건설비용이 풍력의 경우 A$61~118/MWh, 복합화력 가스 발전은 A$74~90/MWh, 태양광 A$78~140/MWh로 계산이 되고 있으며 가장 비판을 받고 있는 석탄화력의 경우 비용이 가장 높아서 A$134~203/MWh를 기록함.
    - BNEF에 의하면 탄소배출이 높은 석탄화력 발전을 건설하면서 탄소포집 및 보관설비(CCS)를 포함할 경우 A$352/MWh의 비용이 들 것으로 예측함. CCS는 현재도 완벽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석탄화력 발전의 경우 더 이상 호주에서 신규건설될 가능성을 완전 배제하는 상황임.
    - 풍력 및 태양광 발전이 기저발전이 되지 못해 이에 대비한 에너지 저장장치(ESS) 수요도 큰 증가세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


□ 신재생에너지 발전 분야별 동향


  ◦ (에너지저장장치(ESS)) 2017년도에 테슬라가 남호주에 129MW 용량의 ESS를 100여 일만에 준공해 세계에서 가장 큰 ESS 프로젝트를 완성시킴.

    - 풍력 발전에 크게 의존하고 있던 남호주에서 2015년 대형폭풍으로 발생한 정전사태로 수십만 가구가 어려움을 겪고 난 후, 이를 타개하기 위해 세계 최대 에너지저장장치를 건설함. 테슬라에서는 전체 시스템을 공급하고 배터리는 삼성SDI 제품을 사용함.

    - 태양광 PV 설치 붐이 일었던 10여 년 전과 같이 현재는 ESS 설치 붐이 일어나고 있는 상황

    - 지난 5년 동안 약 2배 가까이 오른 전기료로 인해 ESS를 설치하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음. 높아진 전기료는 가정용 리튬이온 배터리 수요를 폭발시키는 계기가 됨. 2017년에는 약 2만 가구가 가정용 에너지저장장치를 설치했으며, 이는 전년도 6000가구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한 수치

    - 글로벌 신재생에너지기업 W사 담당자 K씨에 따르면, "최근 전기료가 급등하면서 이전보다 비용이 많이 절감된 가정용 태양광 PV 설치가 증가하고 있음. 이와 함께 오전 내 발생된 에너지를 저장해 둘 수 있는 가정용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한 수요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고 이야기함.


가정용 에너지저장장치 설치가구 수

(단위: 천)

자료원: CEC Australia


  ◦ (풍력 발전) 가장 비용이 저렴한 신재생에너지원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목표(RET) 달성에 가장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됨.
    - 호주는 전 세계 17번째로 큰 풍력 발전 보유국이며 남호주 및 빅토리아 주 등 양질의 풍력을 보유한 지역에 발전소가 집중
    - 현재까지 설치된 총 터빈 수는 2106기이며 4329MW 발전용량을 가지고 있음.
    -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를 비롯 향후에도 풍력 발전이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가에 가장 큰 기여를 할 것이 예상이 되고 있음. 이는 설치용량에 한계를 보이고 있는 태양광에 비해 터빈 1기당 5~6MW를 넘는 풍력 발전이 대형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규모 면에서 훨씬 유리하기 때문임.


현재 건설 진행 중인 호주 풍력 발전 프로젝트

(단위: MW)

발주처

지역명

주명

설치용량

RES

Ararat

빅토리아

240

RATCH

Mt Emerald

퀸즐랜드

180

Goldwind Australia

White Rock Stage 1

뉴사우스웨일즈

175

Neoen and Megawatt Capital

Hornsdale Stage 3

남호주

1,098

Neoen and Megawatt Capital

Hornsdale Stage 2

남호주

100

Windlab

Kiata

빅토리아

30

Pacific Hydro

Yaloak South

빅토리아

29

EDL

Coober Pedy

남호주

4

자료원: CEC Australia


  ◦ (태양광) 호주는 해양 지역을 제외한 육지만 고려할 때 세계에서 가장 양질의 햇볕을 보유한 지역 중 하나임.
    - 태양광 발전은 근래 가장 각광받고 있는 신재생에너지원으로 PV패널 가격의 급격한 하락 및 짧은 건설기간으로 호주 대부분의 지역에서 그리드패리티(화력 발전과 동등한 비용)를 넘어섬.
    - 가장 활성화된 태양광 발전은 가정 및 소규모 상업용이며, 최근 중형 및 대형 발전 프로젝트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

    (1) 가정용 태양광 발전(100kW 미만)
      · 2017년도에 1.1GW용량의 100kW 미만의 태양광 발전이 설치돼 사상 최대를 기록함. 정부지원정책(책임발전제도, FIT)종료로 인해 대부분의 주에서 지난 5년간 증가세가 둔화됐으나, 전기료의 급격한 인상 및 패널 가격 하락으로 높은 증가세로 돌아섬.
      · 양질의 태양광을 보유한 퀸즐랜드 주에서 가정용 및 상업용으로 가장 높은 증가를 기록
      · 가구별 평균 설치용량도 갈수록 증가. 예를 들어 2009년 1.28kW였던 평균 설치용량이 2015년도에는 6.27kW로 4배 가까이 증가
      · 패널 설치업체 수도 2007년 300여 개 업체에서 2017년 4800여 개 업체로 증가해 높은 고용유발 효과를 거둠.

    (2) 상업용 태양광 발전(100kW 이상 5MW 미만)
      · 2017년도에 131개 중형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가 완공돼 53MW의 신규용량 증가 기록. 2016년도의 68개 프로젝트, 23MW에 비해 2배 이상 증가 기록
      · 중형 프로젝트가 매우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학교, 병원, 관광 리조트, 쇼핑센터, 벽지마을 등에서 높은 전기료 인상에 대응하기 위해 설치를 서두르고 있기 때문임.
      · 자체 전기수요로 건설되는 만큼 비용절감효과가 커서 향후 큰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   
    (3) 대형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5MW 이상)
      · 2017년에 4개 대형 태양광 프로젝트가 완공. 가장 큰 프로젝트는 50MW 규모로 Genex 회사에서 설치했으며, 최고의 태양광을 보유한 북 퀸즐랜드 주에 위치
      · 21개의 대형 태양광 프로젝트가 건설 중에 있으며 이 중 가장 규모가 큰 프로젝트는 220MW 규모의 Bungala Solar Farm임.
      · 한국계 기업인 썬메탈에서 퀸즐랜드 주 북쪽 타운즈빌에 건설하고 있는 116MW급 태양광 발전소 건설도 현재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어, 100MW 이상의 태양광 발전소 건설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 (바이오에너지) 바이오에너지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에서 약 10%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음.
    - 주요 에너지원은 농업 및 임업 그리고 폐기물 등이며 사탕수수 찌꺼기(일명 Baggas)가 가장 큰 에너지원이고 그 다음으로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를 이용한 발전임.
    - 농업이 발전한 퀸즐랜드 주에서 바이오 발전이 가장 활발하며 기타 주에서는 매립가스 발전이 많은 편임.
    - 중국발 쓰레기 대란으로 인해 호주에서도 쓰레기를 매립보다는 열병합발전을 추진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음.
    - 서호주의 40MW 규모의 Kwinana 폐기물 발전 프로젝트가 스폐인계 건설회사인 ACCIONA에 의해 건설되고 있음.


□ 신재생에너지 발전 전망


  ◦ (신재생에너지 발전목표, RET) 해당 법안의 수정안이 통과된 2015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 프로젝트가 활발하게 진행
    - RET는 대형프로젝트(LRET)만 해당되며 2020년까지 최종목표는 3만3000GWh임.
    - 2017년 말 현재까지 1만9500GWh를 달성했으며 RET목표 달성을 위해 3여 년 기간 내에 완공해야 하는 발전용량이 1만3500GWh임.


  ◦ (주별 에너지 정책) 2020년 신재생에너지 발전목표(RET) 20%를 달성하기 위해 주별로 다양한 지원정책 실시. 호주 연방수도가 속한 ACT에서는 2020년까지 신재생 발전을 100% 달성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역입찰 방식의 프로젝트를 여러 건 진행하고 있으며, 태양광 발전에는 한화큐셀에서도 활발하게 제품 공급하고 있음.
    - 상대적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율이 저조한 동부 3개 주(빅토리아: 2020년까지 25% 달성, 뉴사우스웨일즈, 퀸즐랜드: 2030년까지 50% 달성)에서 가장 많은 프로젝트가 진행 
    - 독립적인 전력망을 보유하고 있는 서호주에서는 각 발전사들이 다양한 중·대형 신재생에너지 발전 프로젝트를 진행. 남호주의 경우 풍력 발전소에 테슬라 ESS를 설치한 바 있으며, 정전 방지를 위해 기존 발전 프로젝트에 ESS 추가 건설하는 경우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


  ◦ (전기료 인상) 급격한 전기료 인상이 저장에너지 및 태양광에너지 등 일부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늘리는데 기여
    - 지난 5년 동안 일부 주에서는 전기료가 2배 이상 인상됐으며 이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재원 마련 및 낡은 송배전망으로 인한 높은 전력손실이 주 원인임.
    - 높은 전기료가 가정 및 상업용 신재생에너지 특히 태양광 PV 발전량 증가로 이어짐.
    - 자가수요를 위해 에너지 저장해서 사용하는 ESS 설치도 급격하게 증가

    - 지난 7월 11일 호주 경쟁소비자위원회(ACCC, Australian Competition and Consumer Commission)는 “호주 전력 시장구조의 비합리와 왜곡으로 인해 소비자들과 중소기업들이 부담을 지고 있다.”고 비난하며, 높은 전기료 인상과 이에 대한 모든 부담을 호주 소비자들이 지어야 하는 호주 전기 시장구조의 전면 개혁이 필요하다고 강조


□ 관련 전시회 정보


  ◦ 전시회명: Australian Energy Storage

    - 일시: 2018년 5월 23~24일

    - 장소: 호주 시드니 국제 컨벤션 센터(ICC Sydney)

    - 홈페이지: www.cleanenergysummit.com.au

    - 주관기관: Clean Energy Council Australia


  ◦ 전시회명: 2018 Australian Clean Energy Summit

    - 일시: 2018년 7월 31일~8월 1일

    - 장소: 호주 애들레이드 컨벤션 센터(Adelaide Convention Centre)

    - 홈페이지: www.australianenergystorage.com.au

    - 주관기관: Exhibitions and Trade Fairs


  ◦ 전시회명: All Energy Australia 2018

    - 일시: 2018년 10월 3~4일

    - 장소: 호주 멜버른 컨벤션 전시 센터(Melbourne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re)

    - 홈페이지: www.all-energy.com.au

    - 주관기관: Reed Exhibitions

 
□ 시사점


  ◦ 신재생에너지 발전목표가 완료되는 2020년까지는 대형프로젝트 위주로 5~6GW(기가와트) 용량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건설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
    - 신재생에너지 관련 정부관계자 및 직접의무 당사자인 대형 전력소매 3사(AGL, Origin, Energy Australia)들은 한결같이 목표달성이 이루어질 것으로 낙관
    - 2018년도에만 약 3GW가 완공될 예정이며 나머지 기간에 4~5GW가 풍력 및 태양광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는 사실에 근거한 것
    - 태양광 발전의 경우 여타 에너지원에 비해 건설공기가 획기적으로 줄어들어 목표달성 기한에 맞추기 위해 최적인 만큼 태양광 관련 제품 수요가 증가될 것으로 전망됨.


  ◦ 호주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프로젝트에 EPC를 통한 직접 참여가 어려운 점을 감안해 진출 시도해야 함.
    - 기존 프로젝트를 인수해 직접 프로젝트 개발을 진행하며 터빈, 태양광패널 등 발전 관련 설비 공급 가능성을 타진할 수 있음.
    - 대형 프로젝트의 경우 자금조달이 가장 중요하며 자금조달을 위해선 프로젝트 개발 경험과 능력 있는 업체들이 선호됨.
    - 프로젝트 개발업체들의 경우 위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설비공급업체들에게 지분참여를 유도하는 경우도 많아 진출 초기 지분참여도 하나의 고려 방법이 될 수 있음.


  ◦ 지역 산업 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수집이 필요함.

    - 현지 규제, 법규 및 변경되는 정부지원 등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위해서는 현지 전문가의 조언을 참고하는 것이 필요함.

    - 이 보고서도 역시 호주 신재생에너지 전문가들 대상 인터뷰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된 것으로, 호주 최대 전력공급업체 AGL 및 스페인계 풍력 발전업체 Union Fenosa 그리고 뉴질랜드 전력업체 Victor Energy사 담당자 Warwick Forster와 호주 최대 풍력 및 태양광 발전소 건설 및 운영업체인 Infigen Energy사의 프로젝트 메니저 Kim Jang과의 인터뷰 내용이 포함됨.

    - KOTRA 시드니 무역관에서 인터뷰한 호주 전문가들과 접촉을 희망할 경우 메일로(helen@kotra.org,au) 문의해 주시기 바람.



자료원: Clean Energy Council(CEC) 호주 에너지협회, 전시회 별 홈페이지, The Australian, SMH, Renew Economy 등 언론보도 및 KOTRA 시드니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호주, 태양광 및 풍력 중심 신재생에너지 호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