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선전무역관
  • 2018-05-04
  • 출처 : KOTRA

-중국 산업용 로봇시장 전 세계 1/3 차지-

-노동 공급 감소 및 중국 경제 성장에 따라 지속적으로 성장할 전망

 

 


산업용 로봇시장 동향 


  중국 산업용 로봇시장 규모 

    - 중국산업망(中国产业信息)에 따르면, 2016년 중국 산업용 로봇시장 규모는 전년대비 31.3% 증가한 34억 달러를 기록함.

    - 2017년 중국 로봇시장 규모는 62.8억 달러를 기록 할 것으로 보이며, 공업용 로봇은 전체 로봇시장의 67%를 차지하여 42.2억 달러를 달성한 것으로 추정됨

    - 중국공신부(工信部)자료에 따르면 2015년 중국 산업용 로봇 생산량은 약 3.3만대며 2016년에는 119.5% 성장하여 누적 7.24만대를 생산함. 20179월 누적기준으로는 전년대비 69.4%성장하여 95,351만대를 생산함

    - 국제로봇연맹(IFR)에 따르면, 2016년 전 세계 산업용 로봇시장 판매량은 전년대비 16% 증가한 294,312대임. 중국, 한국, 일본, 미국, 독일 5개 나라 수요가 전체의 74%를 차지했으며 중국 시장에서 판매된 산업용 로봇 수는 총 87,000대로 전 세계 산업용 로봇 시장의 30%를 차지함. 동 수치는 전체 유럽수요와 미국시장 수요를 합친 것과 비슷한 수준임(97,300)


  중국 산업용 로봇 주요 애플리케이션

    - 치엔잔 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에 따르면 2017년 중국 산업용 로봇 주요 애플리케이션 영역은 자동차 산업 분야로 약 38%의 산업용 로봇이 자동차 산업에서 사용됨. 중국주요 자동차 브랜드인 비야디(比亚迪), 지리(吉利), 상하이 GM(上海通用), 상하이 폭스바겐(上海大众), 광저우 혼다(广州本田), 창안 포드(长安福特)를 포함하여 해외 주요 자동차 브랜드 생산라인이 중국에 많이 설치되어 있어 산업용 로봇이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보임

    - 자동차 산업 분야 외에 3C산업 영역이 21%, 금속제조(金属制造)15%, 플라스틱 제품(사출성형) 및 화학제품(塑料及化学制品)8%를 차지함

    - 2010년과 비교 시, 자동차 시장에 산업용 로봇 수요는 점차 줄고 있으며(49.61%38%), 3C산업 로봇수요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음(13.53%21%)

 

2010-2016년 중국 산업용 로봇 주요 어플리케이션

(단위 : %)

external_image

자료원 : 치엔잔 산업연구원, KOTRA 선전무역관 정리   

    

  중국주요 산업용 로봇 주요 사용분야 및 종류 

    - 치엔잔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17년 중국 산업용 로봇 사용분야는 조립(装配) 22%, 아크용접(弧焊) 16%, 스폿용접(点焊) 15%, 상하역/로더/언로더(上料卸料) 15%, 재료운반(物料搬运) 13%, 분무 및 도색(喷漆) 3%, 주조(铸造) 3%, 펀칭(冲压)3%


2017년 중국 산업용 로봇 주요 사용분야

(단위 : %)

external_image

자료원 : 치엔잔산업연구원, KOTRA 선전무역관 정리

    

    - 사용된 주요 로봇 종류의 경우, 다관절 로봇의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반면 원통 좌표 로봇, SCARA 로봇 사용률은 점차 감소하고 있음. 2016SCARA 및 원통 좌표 로봇의 판매량은 30% 이상 하락함


  지역별 로봇산업 특징

    - 중국 로봇 산업은 초기 단계지만 빠르게 발전하고 있음. 중국 로봇 시장은 크게 징진지(京津冀), 창산지아오(长三角), 쭈산지아오(珠三角), 동베이(东北), 중부(中部), 시부(西部) 지역으로 나눌 수 있음

 

중국 로봇산업 지역별 특징

지역

중심

기업 수 및 시장규모

특징

징진지

(京津冀)

베이징, 톈진, 허베이(河北) 등

387개/ 450억 위안

인공지능 관련 로봇, 서비스용 및 특수로봇 등이 주로 발달됨. 다수 일류대학이 소재해 있어 연구개발이 비교적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

장강삼각주

(长三角)

상하이, 쿤산(昆山), 난징(南京) 등

1,271개/ 860억 위안

중국 내 가장 큰 로봇 클러스터로 비교적 완성된 산업망을 구축하고 있음. 지역글로벌 로봇기업역시 다수 진출해 있어 CR5 (Concentrate Ratio 5) 역시 40%로 높은 편임

주강삼각주

(珠三角)

선전, 광저우, 동관(东莞), 순더(顺德) 등

747개/ 750억 위안

장강삼각주와 더불어 가장 큰 산업용 로봇 클러스터로, 우호적인 정부정책과 금융기업이 다수 소재해 있어 빠른 속도로 성장중임. 핵심부품의 중국 국산화 비율이 높은 편임

동베이

(东北)

하얼빈, 선양 등

257개/ 430억 위안

외국기술 도입한 기업이 많으며 다수의 규모가 큰 로봇기업이 소재하고 있음. 산업용 로봇 본체 생산기업이 다수 소재

중부(中部)

중부지역

453개/ 600억 위안

로봇 연구개발이 비교적 늦게 시작되어 관련 산업 기초가 약한 편임

시부(西部)

서부지역

234개/ 350억 위안

로봇 연구개발이 비교적 늦게 시작되어 관련 산업 기초가 약한 편임

자료원 : 중국전자학회(中国电子协会)

 

산업용 로봇시장 전망


  산업용 로봇시장 지속적으로 성장할 전망  

    - (로봇 밀도) 국제로봇연맹에 따르면 2016년 전 세계 평균 10,000명당 로봇 사용 대수는 2015년 대비 8대가 늘어난 74대를 기록함. 한국은 10,000명 당 로봇 631대를 사용하여 로봇밀도가 가장 높은 나라로 기록되었으며 그 뒤로는 싱가폴, 독일, 일본, 스웨덴, 덴마크, 영국 등이 뒤를 이음. 중국의 경우 평균보다 낮은 68대를 기록함. 중국의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더불어 로봇이 많이 사용되는 자동차, 반도체, 디스플레이 시장 확대에 따라 산업용 로봇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전망임 

      

2016년 국가별 10,000명당 로봇 사용 대수

(단위 : )



자료원 : 국제로봇연맹(IFR)

    

    - (노동공급 감소) 중국은 1980년대부터 35년간 엄격한 산아제한정책을 시행함. 이는 인구통제의 성과를 거뒀으나 인구증가율 감소, 고령화 가속, 생산가능 인구 감소 등의 부작용을 수반함.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12년 중국에서 처음으로 생산가능인구(15~59) 감소가 나타났다고 발표한 바 있음. 또한, 중국 통계국에 따르면 산아제한정책 폐지 2년째인 2017년 중국 출생아 수는 1,723만 명으로 전년대비 오히려 63만 명이 감소함. - 또한 고등교육을 받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단순 반복 업무 기피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이에 따라 인력 부족현상을 해결 해줄 수 있는 산업용 로봇시장은 점차 성장할 전망  

 

주요 경쟁 업체

    

  중국 산업용 로봇시장 산업사슬

    - 중국 산업용 로봇시장 산업사슬은 크게 업스트림(상류), 미들스트림(중류), 다운스트림(하류)으로 나뉘어져 있음. 업스트림은 주로 핵심부품업체로 서보모터, 정밀감속기, 서보드라이브, 콘트롤러 업체 및 다양한 센서 및 광선레이더 등 관련 제품들을 지칭함. 미들스트림은 본체제작 및 본체 설계하는 주요 업체를 지칭하고 다운스트림에는 주로 시스템 통합업체 및 응용 솔루션 제공업체가 있음

    - 이 중 3대 핵심 부품인 정밀감속기(减速器), 서보(私服), 컨트롤러(控制器) 비용은 각각 산업용 로봇 완성품의 30-50%, 20-30%, 10-20%로 전체의 로봇 제조비용의 약 60%~80%를 차지함. 감속기 시장의 경우, 전 세계 약 정밀 감속기 시장의 75%가 일본의 Nabtesco사와 HarmonicDrive 사가 점유하고 있음. 중국 서보시장의 경우, 중국 브랜드는 25%, 일본 브랜드가 50%, 유럽 및 미국 브랜드가 25%를 차지함

    

  중국 산업용 로봇시장 주요 브랜드

    -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은 해외 제품이 주도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 치엔잔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16년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은 외자브랜드가 약 67.1%를 차지함

    - 외자 브랜드의 경우 일본의 FANUC(发那科), YASKAWA(安川), 독일의 KUKA(库卡), 스위스의 ABB사의 시장 점유율은 전체 시장의 57.4%를 차지함. 외자 브랜드 내에서 4개 브랜드 점유율은 약 85%에 달함. 모두 중국에 공장을 설립한 상황이며 늘어나는 로봇수요에 따라 신규공장을 설립하고 현지법인 인원도 늘리는 추세임

 

2016년 중국 산업용 로봇시장 브랜드별 점유율

자료원 : 치엔잔산업연구원, KOTRA 선전무역관 정리 


     중국 내 주요 산업용 로봇 브랜드 및 주요제품

연번

기업이름

주요 생산제품

1

FANUC

운반 및 조립, 용접, 도색&코팅 로봇 등

2

YASKAWA

용접, 운반 및 조립, 적재 로봇 등

3

KUKA

각종 다관절로봇 및 제어시스템, 소프트웨어 등

4

ABB

도색로봇, 자동차산업 전용 로봇시스템,

특수 로봇 등

5

EPSON

수평 다관절 로봇, 6관절 범용로봇 등

6

COMAU

조립로봇, 산업용 범용로봇 등

자료원 : KOTRA 선전무역관 정리

 

    - 중국 자체 브랜드의 경우 중국 전체 산업용 로봇 시장의 약 30%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대부분이 로엔드/미들엔드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이며 중국 하이엔드 로봇생산기업은 약 5%. 주요 브랜드로는 광저우치판(广州启帆), 아이푸터(埃夫特), 신송(新松), 아이스둔(埃斯顿), 광저우슈콩(广州数控), 신슬다(新时达) 등이 있음

 

2016년 중국 산업용 로봇시장 중국 브랜드별 점유율

(단위 : %)

자료원 : 치엔잔산업연구원, KOTRA 선전무역관 정리

 

중국 국산 로봇 브랜드별 주요제품

연번

기업이름

주요 생산제품

1

신송(新松)

다관절, SCARA, DELTA

2

아이푸터(埃夫特)

다관절, SCARA, DELTA. AGV

3

신슬다(新时达)

다관절

4

아이스둔(埃斯顿)

다관절, SCARA, DELTA

5

거리(格力)

다관절, SCARA, DELTA

6

광저우슈콩(广州数控)

다관절, SCARA, DELTA

자료원 : 치엔잔산업연구원, KOTRA 선전무역관 정리

 

중국 산업용 로봇시장 수입현황

    

  중국 국가별 산업용 로봇(HS코드 8479.50.10) 수입현황 

    중국 산업용 로봇 수입액은 매년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으며 2017년 중국 산업용 로봇 수입액은 전년대비 51.5% 늘어 약 124억 달러를 기록

    - 중국의 최대 산업용 로봇 수입 대상국은 일본으로 2017년 기준 전체 수입액의 약 63%를 일본으로부터 수입

    - 일본 다음으로 최대 산업용 로봇 수입 대상국은 독일로 전체 수입액의 약 16%를 독일로부터 수입. 일본과 독일로부터의 수입액은 중국 전체 산업용 로봇 수입의 약 80%를 차지함


연도별 중국 산업용 로봇(HS코드 8479.50.10) 수입동향

(단위 : 천 달러, %)



2015년

2016년

2017년 

순위

국가명

수입 금액

수입

국가명

수입 금액

수입

국가명

수입금액

수입

증감률

증감률

증감률


총계

732,283

-9.4

총계

819,505

11.9

총계 

1,241,241

51.5

1

일본

441,924

-8.2

일본

531,364

20.2

일본

788,127

48.3

2

독일

90,477

-33.9

독일

95,327

5.4

독일

206,554

116.7

3

한국

53,709

44.3

한국

56,470

5.1

한국

61,004

8

4

스웨덴

43,138

22.1

스웨덴

33,451

-22.5

스웨덴

34,610

3.5

5

이탈리아

17,388

50

프랑스

22,591

63.2

프랑스

29,088

28.8

6

영국

17,019

525.7

미국

19,517

59.1

대만

22,822

56.7

7

대만

14,368

-28.9

대만

14,566

1.4

덴마크

17,236

71.2

8

프랑스

13,845

14.5

덴마크

10,069

84.4

오스트리아

16,490

73.7

9

미국

12,264

-41.6

오스트리아

9,493

-8.4

미국

13,495

-30.9

10

오스트리아

10,366

111.7

이탈리아

7,518

-56.6

영국

8,140

208,343

 자료원 : KITA


산업용 로봇 및 부품 관세율

HS Code

품목명

관세율

8479.50.10

산업용 로봇

0%

8479.90.90

산업용 로봇 부품

0%

8486.40.31

운송용 로봇(集成电路工厂专用的自动搬运机器人)

0%

8424.89.20

도색용 로봇

0%


필요인증


  ㅇ CCC(중국강제인증)

    - 중국으로 수출되는 모든 제품 및 부품에 대해 강제인증품목에 해당하는 제품은 반드시 국제전기표준협회(IEC) 및 중국 국가기준에 따라 안전 및 품질인증을 받도록 한 제도로 반드시 CCC 마크를 받아야만 중국에서 판매가 가능함

    * 상기 인증에 대한 취득방법 및 자세한 내용은 KOTRA 해외시장뉴스 홈페이지에서 국가정보 >중국>무역>주요인증제도 를 통해 확인 가능함

 

전망 및 시사점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 지속 성장할 전망

    - 중국 정부는 2015년 제조업 활성화를 목표로 산업 고도화 전략 '중국제조 2025'를 발표했으며 로봇 산업은 10대 전략산업 중 주요산업으로 포함시킴. 또한 20164'로봇산업 발전규획(2016-2020)'발표를 통해 로봇산업 육성의지를 밝힘. 지방정부 역시 자금지원 채널 확대 등 각종 정책을 통해 로봇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함

    - 가파른 임금상승, 농촌 잉여노동력 감소, 경제활동인구 감소세 등으로 노동공급이 주는 동시에 로봇이 많이 사용되는 자동차, 반도체, 디스플레이 시장 확대에 따라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전망임

    - 또한 최근 로봇 산업의 경우 스마트공장의 발전에 따라 IOT, 인공지능등과 융합되는 공정혁신에 사용 활용되고 있어 로봇시장은 점차 성장할 전망

    

  중국 현지기업의 약진

    - 중국 현지기업들의 자체 연구개발, 투자 확대 및 해외 로봇 업체에 대한 인수를 적극 추진중임. 중국 산업용 로봇 국산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핵심부품인 감속기, 서보모터, 컨트롤러등 부품의 국산화도 진행되고 있음 

    - 기업 인수합병도 두드러짐. 산업용 기계장비 업체인 상하이기전(上海机电)은 로봇 핵심 부품인 정밀 감속기 글로벌 최대 업체인 일본 Nabtesco 중국법인 지분 51%를 인수하며 로봇시장 진출을 본격화함. 메이디 그룹(美的)은 독일 KUKA사를 인수합병함에 따라 KUKA사의 기술과 메이디그룹의 판매망을 통해 시장점유율을 높이고 있음. 메이디는 그 이후에도 이스라엘 로봇 부품회사를 인수하는 등 로봇산업 수직계열화에 적극적으로 투자를 진행함

    -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은 외자 또는 합병메이커에 의해 주도되고 있지만, 정부 정책 지원과 더불어 중국기업의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인해 향후 지속적으로 성장할 전망임

    

  중국 지역별 로봇 클러스터 특징 고려해야

    - 선전시 로봇협회 부비서장 인터뷰에 따르면 중국 내 로봇 클러스터의 특징이 상이하여 시장에 대한 선이해가 필요하다고 언급함. 선전의 경우 소재 기업들이 주로 전기 전자 분야 기업이 다수이며, 대형 로봇 보다는 중·소형 로봇에 대한 수요가 비교적 높다고 말함. 또한 부품·부분품의 경우 핵심부품 수입 의존도가 높아 핵심부품에 대한 수요가 높다고 첨언함


  각종 전시회, KOTRA 사업 적극 활용

    - 로봇 제조업체에서 최종 소비자 까지 유통은 대리상을 통한 유통이 약 50~60%, 시스템 통합업체를 통한 유통이 30~40%, 제조업체가 직접 최종소비자에게 유통하는 경우가 약 10%. 이에 따라 상하이 로봇박람회(CIROS) 등 중국 내 개최되는 각종 관련 전시회 KOTRA에서 주관하는 로봇관련 상담회를 참가하여 인지도를 높이고 대리상을 발굴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임 



 자료원: 치엔잔 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중국전자학회(中国电子协会),국제로봇연맹(IFR),한국무역협회, KOTRA 선전무역관 자체 자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