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샤먼무역관
  • 2021-10-29
  • 출처 : KOTRA

- 중국의 제조업 업그레이드 수요에 따라 산업용로봇 분야 시장 및 활용범위 확대 중 -

- 중국의 지역별 기업별 산업용 로봇 수요에 따라 협력 진출 타겟 세분화 필요 -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

HS CODE

(한글) 산업용 로봇

(중문) 工业机器人

8479.50.10


시장 규모 및 동향


국 국무원은 2015 <중국제조 2025 계획>을 제정을 통해, 제조업에서 정보화 및 공업화의 융합과 스마트 제조 장비 및 제품의 발전을 추진하고 있어, 이 정책달성의 핵심 요소인 산업용 로봇분야에도 발전을 가져오고 있다.  


지방정부 차원에서도 산업용 로봇을 활발히 육성중인데2013년 푸젠성은복건성 로봇, 센서 및 지능화 기기 산업 발전에 관한 몇몇 의견에서 자체 지적재산권을 가진 운반, 조립, 용접, 도장 관련 전문 로봇 개발과 제조업체 맞춤형 로봇 설계와 자동화 생산라인 검사 세트 장비 연구개발 제작에 대한 것을 강조한 바 있다2017년 샤먼시는스마트제조 제13 5개년 계획에서 샤먼시 산업특성을 반영한 스마트제조 생태계를 조성하고, 스마트팩토리 및 디지털 작업장으로 대표되는 스마트제조를 중점적으로 발전시킬 것을 강조하였다.


상기와 같은 정부의 정책방향 및 지원과 더불어 제조업간 경쟁이 심화라는 외부적 요인, 효율성 개선 수요라는 내부적 요인이 같이 맞물려 중국내 지역별 분야별 제조업은 점진적으로 구조적 변혁과 업그레이드를 도모하고 있어, 향후 산업용 로봇 및 스마트 제조 장비들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동력이 되고 있다


제조업의 발전 및 제조 현장의 로봇 도입 확산에 따라, 중국 산업용 로봇의 활용 분야는 점차 자동차, 기계 등 영역에서 분야와 범위가 확대되어 3C (컴퓨터, 커뮤니케이션, 컨슈머 일렉트로닉스), 금속가공, 화학공업, 식품, 의약 등의 영역에서도 사용 빈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최근 들어 중국 산업용 로봇의 생산량(대수) 2015 3 3000대에서 2020 23 7100대로 7배 가량 증가하였고, 2018년 이후 20.23%의 연평균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2015-2020년 중국 산업용 로봇 생산량 및 성장률

(단위: 만 대, %)

external_image

자료: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규모는 2019 582.2억 위안, 2020년은 612.3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각각 3.8%, 5.2% 성장하였다.


2017-2020년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규모

(단위: 억 위안)

external_image

자료: 산업정보망(产业信息网)


해당 지역의 산업용 로봇 도입 정도를 참고할 수 있는 지표로, 중국 산업용 로봇 밀도를 살펴보면 2018년에 140/만 명, 2019 187/만 명을 기록하고, 2014 36/만 명에 비해서 2019년은 5.1배로 5년간 증가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주: 로봇 밀도는 1만 명당 제조업 직원의 로봇 보유 수)


글로벌 산업용 로봇 밀도와 비교해보면 중국은 산업용 로봇대수와 시장규모는 선두권이지만  일도에 있어선 2019년 기준 세계 15위에 해당하  2019년 글로벌 산업용 로봇 밀도에서 1위는 싱가포르로 918/만 명이고 이어 2위 한국 868/만 명, 3위 일본 364/ 만 명, 4위 독일 346/만 명, 9위 미국 228/만 명의 순서이며, 중국이 산업용 로봇 전체 생산량(대수)과 시장규모는 선두권이나 산업용 로봇 밀도는 187/만 명으로 15위에 해당한다. 인구와 시장규모의 차이로 인해 순위상으로는 뒤쳐저 있지만 정부의 스마트제조정책지원과 시장의 성장세에 힘입어 발전 잠재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2011-2019년 중국 산업용 로봇 밀도

(단위: /만 명)

external_image

자료: 국제로봇연합회(国际机器人联合会)


2019년 글로벌 산업용 로봇 밀도 TOP 20

(단위: /만 명)

external_image

자료: 국제로봇연합회(国际机器人联合会)


현재 중국은 제조업이 발달한 지역을 중심으로 산업용 로봇의 가치사슬(밸류체인) 과 공급망이 기본적으로 완비되어 있으며, 광둥성, 저장성, 상하이 등 지역에 산업용 로봇 산업기지를 건설하여 국산 산업용 로봇을 대량 양산하고 있다.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20년 지역별 산업용 로봇 생산량에서 광동성은 7 400, 상하이는 5 3400, 저장성은 1 8700대를 기록하고 있다.


2020년 지역별 산업용 로봇 생산량

(단위: 만 대)

external_image

자료: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


수입동향


중국 국내에서는 주로 중저가형 산업용 로봇을 생산하며, 기술난이도가 높은 고가형 산업용 로봇은 여전히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중국의 산업용 로봇 내수생산과 수출이 증가함에 따라 수입량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다. 2020년 중국 산업용 로봇 수입량은 10 6000대로 2018년에 비해 3 1800대 감소하였다. 이 중, 한국 산업용 로봇 수입액은 2450만 달러로 전년 대비 51% 감소했다.


중국 산업용 로봇 (HS Code: 8479.50.10) 국가별 수입동향

(단위: 천 달러, %)

external_image

자료:한국무역협회(KITA)


2018-2020년 중국 산업용 로봇 (HS Code: 847950) 수출입 수량

(단위: 만 대)

external_image

자료: 중국해관(中国海关)


주요 경쟁 기업


중국 산업용 로봇 업계는 미국과 유럽, 일본 등 외국 기업들이 대부분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어 국산 브랜드의 시장점유율은 비교적 낮은 편이지만 점차 높아지는 추세이다. 2020년 탑스타(TOPSTAR, 拓斯达)의 시장점유율은 3.16%을 기록하였으며, 이스툰(ESTUN, 埃斯顿)은 2.74%, 시아순(SIASUN, 沈阳新松机器人)은 1.9%를 기록하였다.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첸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유통구조


중국의 산업용 로봇 생산 및 기술 발전과 제조업 영역에서의 로봇 보급 확산으로 인해 시장확대가 자연스럽게 상하위 연관 산업의 발전 및 업그레이드를 촉진시키고 있다. 산업용 로봇 업계의 업스트림 산업은 핵심 부품 영역으로 주로 제어기, 감속기 및 서보 시스템 (servo system) 등이 해당되며, 다운스트림 산업은 자동차, 전자, 금속 가공업계 등 산업용로봇을 활용하는 광범위한 제조업 영역이다.


현재 산업용 로봇의 유통은 주로 3가지 방식으로 통해서 이뤄진다. 첫 번째는 고객 공개 입찰 및 주동 구매를 통해서 이뤄지며, 두 번째는 중국공급상(中国供应商), 알리바바(阿里巴巴), 하마즈자오(菏马智造) 등 일부 B2B 플랫폼을 통해 자사 로봇 제품을 홍보하며 온라인 고객을 확보하는 방식이다. 세 번째는 전시회 및 프로모션 행사 참가를 통한 홍보 방식으로 직접 참관객들에게 제품을 홍보 전시하여 새로운 고객을 확보하거나 다른 제조업체들과의 새로운 비즈니스 협업을 추진할 수도 있다.


관세율, 인증


산업용 로봇(HS CODE: 8479.50.10) 관세 비교

최혜국 세율(MFN)

보통 세율

증치세

0

20%

13%

자료: 중국자유무역구서비스망(中国自由贸易区服务网)


산업용 로봇 본체와 핵심 부품들은 반드시 중국 국가 로봇 CR 인증마크(China Robot Certification)를 받아야 하며, 로봇 응용 통합 시스템은 반드시 국가가 승인한 제3자 검측 인증기관의 안정성 평가에 합격해야 한다.


전망 및 시사점


푸젠성 산업용 로봇 대리상인 A사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 중국 산업용 로봇의 전망은 매우 양호한 상황으로 코로나19팬데믹 발생후 제조생산업체들이 자동화 생산 효율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절감하게 되었고, 노동력 의존도를 줄이는 방향을 고려하게 되어 산업용 로봇 업계가 진일보한 국면을 맞이하게 될 것 같다"고 밝혔다. A사는 주로 자국산 제품을 위주로 판매하며 수입 제품들도 취급하는데, 그는 "일부 중국산 로봇은 품질면에서 이미 외국산과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에, 고객사가 제품 구매 시 무턱대고 수입산을 고집하기보단, 여러 곳을 비교종합 평가해 더 적합한 제품을 고르는 경우가 많다"고 언급하였고 "따라서 자연스럽게 고객의 요구에 맞게 유연적 생산 솔루션을 제공해줄 수 있는 업체가 두각을 나타낼 가능성이 높다"라는 의견을 피력한 바 있다.


푸젠성의 주요 제조업중 하나인 운동 의류, 신발을 생산하고 스포츠 브랜드를 가진  B사 공장 생산총괄책임자에 따르면 "산업용 로봇을 제조생산에 활용한 후 공장 제작 공정에서 같은 제품의 1인당 효율이 약18%-35% 높아지고 생산비용이 전년 대비 11% 감축되었다."라고 언급한 바 있다.


산업용 로봇은 중국에서 급속한 성장을 보이고 있고 이는 경제와 산업 성장에 중추적인 역할을 해온 제조업이 성장 한계와 낙후될 수 있다는 도전에 직면에 있고 구조 업그레이드 및 생산효율 극대화를 도모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에 와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한다.


제조업이 발전한 국가들은 상기와 동일한 상황에 처해 있고 산업용로봇 적용이 확대되고 있어 성장전망이 크다고 볼 수 있는데, 한국은 산업용 로봇 도입 밀도에서도 글로벌 2위에 해당하는 등 산업용 로봇이 제조업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는 만큼 그 운영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중국의 각 지역에서 협력기회를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각 중국내 성별 도시별 중점 제조업 및 육성 분야를 파악하고 산업용로봇 수요 트렌드를 사전조사를 통해 타겟팅한 분야에서 교류를 추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자료: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 산업정보망(产业信息网), 국제로봇연합회(国际机器人联合会), 한국무역협회(KITA), 중국해관(中国海关), 첸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소후망(搜狐网), 허마즈자오(菏马智造), 중국자유무역구서비스망(中国自由贸易区服务网), 각 기업 홈페이지 및 KOTRA 샤먼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