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한국산 기저귀, 러시아 수출 다시 늘어나기 시작
  • 트렌드
  • 러시아연방
  • 블라디보스톡무역관
  • 2017-08-08
  • 출처 : KOTRA

- 현지 판매 기저귀 대부분은 미국·유럽 브랜드로 서부 러시아 인근에서 생산 -
- 러시아 기업, 자유항 혜택 활용해 극동 최초 프리미엄 기저귀 생산 본격화 -




러시아 기업, 극동지역 최초의 기저귀 생산공장 운영 시작


  ㅇ 러시아 기업 Torres사는 블라디보스토크 자유항 내 입주기업으로 등록, 블라디보스토크 내 공장에서 기저귀 생산을 시작
    - 해당 회사는 지난 2016년 7월 블라디보스토크 자유항 입주기업 지위를 부여받은 이후 생산라인 설치와 창고 건설 등을 동시에 진행한 끝에 올해 상반기부터 본격적으로 기저귀를 생산하고 있음.
    - 러시아 극동개발부에 따르면 Torres사의 투자 금액은 1억6000만 루블(약 280만 달러)임.


  ㅇ Torres사가 생산하는 기저귀는 Mepsi라는 브랜드명을 달고 있으며, 테이프 부착형과 팬티형 기저귀 등 두 가지 종류로 구분됨.
    - 블라디보스토크 공장에서 생산된 기저귀는 현지 판매뿐 아니라 러시아 전역, 그리고 카자흐스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등 구소련 국가로도 수출됨.


  ㅇ 생산라인 설비는 일본, 스위스, 이탈리아, 독일 등에서 들여왔고 기저귀 주요 성분 중 하나인 흡수제는 일본에서 수입 사용 중


  ㅇ 해당 회사 대표에 따르면, 블라디보스토크 내 Oktyabriskyi 구역에 위치한 공장 부지는 1300㎡ 규모로 매달 150만 개의 기저귀를 생산 중임.
    - 2017년 7월 현재 근무인원은 25명으로 향후 생산라인 확장에 따라 50명 수준까지 늘릴 계획


□ 러시아 기저귀 시장 규모


  ㅇ IndexBox사에 따르면 러시아 기저귀 시장은 최근 10여 년간 지속적인 성장세를 나타냄.


최근 4년간 러시아 내 기저귀 생산량

                                                                                                        (단위: 천 개)

자료원: 러시아 통계청


    - 러시아에 일회용 기저귀 시장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1990년 중반 이후로, 젊은 부모들 위주로 유아용 기저귀가 사용하기 시작
    - 프록터앤갬블, 킴벌리클락 등 해외 브랜드는 초기 러시아 기저귀 시장 수출  이후 2005년 프록터앤갬블의 노보모스콥스크 기저귀 공장, 2010년 킴벌리클락의 스투피노 기저귀 공장 및 SCA의 베넵 기저귀 공장 건설 등으로 현지 진출 완료


  ㅇ 러시아 자체 브랜드 기저귀 생산은 2010년 이후에야 조금씩 나타나기 시작했기에 아직까지 러시아 시장의 주요 기저귀 브랜드는 수입산이 차지
    - 프록터앤갬블(브랜드명: 팸퍼스), 킴벌리클락(브랜드명: 하기스) 및 SCA(브랜드명: 리베로) 등 3개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은 60% 이상인 것으로 파악 


러시아 검색 포탈창에 '기저귀' 검색 시 나오는  3대 수입 브랜드

주: 왼쪽부터 하기스, 팸퍼스, 리베로 순

자료원: www.yandex.ru


  ㅇ 현지 전문가들은 러시아 내 자체 기저귀 브랜드가 성장하기에는 기저귀 원료 대부분을 수입해야 하는 현실로 당분간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
    - 또한 안전성이 중시되는 기저귀의 특성상 러시아 소비자들도 아직까지는 러시아 내 생산품보다는 수입 기저귀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함.


  ㅇ Discovery Research Group에 따르면 2016년 러시아 내 평균 기저귀 가격은 162루블(약 3.5달러)
    - 이는 전년 대비 7.4% 인상된 수치


  ㅇ 그 외 Nielsen 조사에 따르면 러시아 기저귀 구매의 38% 이상은 일반 슈퍼마켓보다는 유아·아동용품 전문점 또는 인터넷 쇼핑을 통해 이뤄지고 있음.


□ 한국산 제품 수출은 다시 증가세


  ㅇ 지난 2014/ 2015년 러시아 경제 위기로 루블 환율이 하락하면서 기저귀 시장 또한 현지 생산 증가를 통해 자국 내 수요 대응
    - 한국 기저귀는 2013년 154만 달러 수출에서, 2014년 80만 달러, 2015년 11만 달러까지 대러시아 시장 수출 급감
    - 그러나 2016년 76만 달러로 러시아 기저귀 시장 수출 회복세를 보임.
 

최근 3개년 대러시아 기저귀 수출 현황(HS Code 9619.00 기준)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최근 한국의 대러시아 기저귀 수출 규모

                                                                                                                    (단위: 달러)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시사점 


  ㅇ 러시아 국민은 일회용품 사용에 큰 거부감을 가지지 않은 편으로 오히려 한 번 쓰고 버리는 일회용품 자체를 위생적인 이유 등으로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 이에 대한 정부의 환경, 보건규제도 아직은 높지 않은 편
    - 기저귀, 생리대 등 일회용 위생품의 경우 수입산에 대한 선호가 더 높기에 해당 제품의 러시아 시장 진출도 고려해볼 수 있음.


  ㅇ 최근 블라디보스토크 자유항 입주기업 입주사례를 보면 세탁 세제, 기저귀 등 생활 소비재가 적지 않은 상황
    - 소비재 수입이 많은 러시아 특성상 선도개발구역, 자유항 등의 극동개발정책을 활용 소비재 수입 대체화에 관심을 가지고 추진하려는 현지 업체들이 늘어나는 것으로 파악
    - 이러한 경우 사업 모델은 현지 기존 공장 등에 생산라인을 구축, 원료는 한국 및 일본 등에서 수입 현지에서 보틀링·포장·라벨링 작업을 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됨.
    - 100% 직접 제조는 아니지만 그럼에도 이러한 공장 보유 자체가 큰 장점으로, 러시아 타 지역으로도 구매망을 넓히기 유리함.
    - 이에 화장품, 소모성 의료기자재 제조 등의 현지 진출은 앞으로도 늘어날 것으로 예측


  ㅇ 이에 장기적인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러시아 시장 수출로 시작 현지 파트너 발굴 등을 통해 현지 진출을 염두에 두는 것이 필요
    - 러시아 경제는 환율, 경제 제재 등 외부 상황에 취약하고 이에 따라 수입규모 등락폭이 크며 이를 대처하기 위해서는 결국 현지 생산기반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



자료원: 러시아 통계청, 러시아 극동개발부, 러시아 언론 기사 및 KOTRA 블라디보스토크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한국산 기저귀, 러시아 수출 다시 늘어나기 시작)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