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유망] 일본 밸브 시장동향
  • 트렌드
  • 일본
  • 도쿄무역관 이세경
  • 2017-07-31
  • 출처 : KOTRA

- HS 8481 제품의 일본 수입은 2016년까지 최근 3년간 증가 -

- 제품을 차별화하여 공략할 업종 및 밸브 종류 명확히 해야 -




□ 밸브 시장 규모, 동향 및 선정사유


  ㅇ 세계의 공업용 밸브 수요는 매년 평균 4.3% 증가하여 2019년에는 985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 화학공업 및 여타 프로세스 제조업의 발전과 발전량의 증대, 건설 활동의 증가 등이 시장 성장의 큰 요인
    - 또한, 개발도상국의 수도 인프라 정비 및 선진국에서의 상하수도 유지 보수의 움직임도 시장 성장의 한 요인이 되고 있음.
    - 제조 종류별로 보면 표준형 수동 밸브로부터 자동 밸브로의 이동이 지속 나타나는 상황으로, 액츄에이터 중심의 자동 밸브 시장은 앞으로도 높은 성장률을 유지 할 것으로 보임.


  ㅇ 일본의 밸브 제조업은 공업통계에 의하면 2014년 시점 연간 출하금액 5709억 엔, 이중 대부분이 소규모의 기계가공을 전문으로 하는 공장임. 자사 브랜드로 제조하는 회사는 약 200개사


  ㅇ 2015년의 밸브 생산액은 4157억 엔으로 2014년 대비 1.3% 증가, 동일본대지진의 복구 수요, 수도권의 건축·인프라 수요 등에 의해서 일본 국내 시장은 견고한 움직임을 보이지만, 해외는 신흥국과 중국 경제의 감속 등으로 감소해 전체적인 생산금액은 거의 전년과 같은 실정임.
    - 2015년 수출액은 4,599억 엔으로 전년 대비 0.3% 감소


□ 한국 등 주요 국가로부터의 수입동향
    
  ㅇ 일본의 밸브 수입액은 2015년 2,605억 엔으로 전년 대비 7.6% 증가


일본의 밸브 수출입 현황

(단위: 억 엔)


2011년

2012

2013

2014

2015

수출

4,241

3,963

4,403

4,611

4,599

수입

1,737

1,774

2,018

2,018

2,605

자료원: 재무성 무역통계 기반 일본밸브공업회 작성


  ㅇ 국가별로 보았을 때 한국은 일본의 밸브 수입 5위국으로 2015년에는 157억 엔 규모의 실적을 보였음.


일본의 2015년 나라별 상위 5개국 수출입 현황

(단위: 억 엔)

순위

수출국

수출액

순위


수입국

수입액

1

중국

1,058

1

중국

782

2

미국

1,037

2

미국

502

3

한국

453

3

베트남

350

4

태국

269

4

독일

159

5

멕시코

179

5

한국

157

자료원: 재무성 무역통계 기반 일본밸브공업회 작성


  ㅇ 밸브로 분류되는 다양한 HS 코드가 존재하지만 그 중 최대 비중을 차지하는 HS 8481 제품의 일본 수입은 최근 3년간 증가했으며, 2017년 1~5월 역시 전년 동기대비 증가
    - 한국은 일본의 해당 제품 수입 5위국으로 2016년 수입은 전년 대비 감소했으나, 2017년 1~5월에는 전년 대비 9.39% 증가한 5600만 달러를 기록


일본의 밸브(HS Code 8481) 주요 수입국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2014

2015

2016

2017.1~5.

2017.1~5.
증가율

순위

전 세계

2293.341493

2152.113323

2225.486985

952.215163

4.36

1

중국

704.997808

646.03752

662.537497

283.5801

2.24

2

미국

409.083435

414.891692

389.383708

172.89433

8.29

3

베트남

350.621179

289.723051

328.734559

133.676841

3.58

4

독일

135.253612

131.279981

144.585573

62.789937

9.6

5

한국

139.763272

129.896498

126.567782

56.424622

9.39

6

스위스

62.719071

66.090198

95.698581

45.299958

35.73

7

대만

101.983615

94.695268

102.249573

43.751791

-2.42

8

태국

95.118747

82.900445

81.205868

34.936528

-0.97

9

영국

44.641041

38.810495

35.459587

16.580902

3.78

10

필리핀

35.453378

30.656565

33.562107

13.286334

7.01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수입 규제, 관세율 및 필수 인증 등
    
  ㅇ (수입 규제) 관세 및 비관세 규제 등은 특별히 없음.


  ㅇ (관세율) 기본 무관세


  ㅇ (필수 인증) JIS 마크는 일본공업표준화법에 따라 제정된 국가 임의규격으로 공업표준화법에 따라 국가 규격에 적합한 제품임을 인증하고 일본에서 유통시키기 위해서는 취득해야 함.
   * 참고링크: www.jisc.go.jp/newjis/cap_index.html
    - 주철 밸브의 경우 JIS B 2031 마크를 부착하게 됨.

external_image


□ 경쟁 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기업 업적 비교 사이트인 ‘Suik’의 밸브·조절밸브 매출액 기준 순위에 따르면 ‘EAGLE INDUSTRY’가 매출액 1405억9000만 엔으로 시장 1위로 자리하고 있음.
    - 2위 밸브 종합 제조사인 ‘KITZ Corporation’ 1141억 엔, 3위 ‘KVK CORPORATION’ 237억 엔, 4위 ‘TOA VALVE ENGINEERING Inc.’ 83억 엔, 5위 ‘HAMAI INDUSTRIES LTD.’ 77억 엔 순서임.


  ㅇ 한편 ‘일본마켓셰어사전’에 따르면 유압밸브 시장에서는 ‘KYB’가 매출액 153억 엔으로 1위
    - 2위 ‘TOKYO KEIKI INC.’ 130억 엔, 3위 ‘DAIKIN INDUSTRIES LTD’ 116억 엔, 4위 ‘TOYOOKI KOGYO CO LTD.’ 82억 엔, 5위 ‘Yuken Kogyo Co Ltd.’ 73억 엔 순서임.


□ 시사점


  ㅇ 일본밸브공업회에는 밸브 제조사 중심의 정회원이 116개사, 밸브 관련기기·기자재 제조사 중심 찬조 회원이 63개사 등록되어 있는 상황


  ㅇ 업종별 산업별로 다양한 종류의 밸브가 존재하므로, 제품을 차별화해 공략할 업종 및 밸브 종류를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음.


  ㅇ 글로벌 시장에서 어느 정도 인지도를 쌓은 기업의 경우는 브랜드 자체 수출 방식을 통한 일본 진출이 유효할 것으로 보이나, 수출 초보기업의 경우에는 (1) 일본 배관 건자재 유통상사를 통한 공장 및 건설사 납품 및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통한 판매와 (2) 기술력을 기반 제품의 일본 제조기업 OEM 방식 납품 등을 함께 검토해볼 수 있을 것임.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유망] 일본 밸브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