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에티오피아 2016년 경제동향 및 2017년 전망
  • 경제·무역
  • 에티오피아
  • 아디스아바바무역관 김종현
  • 2017-07-25
  • 출처 : KOTRA

 



분기별 2016년 주요 이슈


  ㅇ 2016년은 에티오피아의 입장에서는 다사다난했던 한 해로 기억되고 있음.

    - 2015년까지 정부주도의 제1차 경제개발계획(GTP I)을 완료하고 제2차 경제개발계획(GTP II)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해였음.

    - 한국으로부터 2018년까지 EDCF 5억 달러 공여를 약속받는 동시에 지부티-아디스아바바 간 철도 개통 등의 주요 성과도 많았음.


  ㅇ 한편, 반정부 시위 유혈진압 및 인권탄압 논란에 이어 국가 비상사태까지 선포하게 된 악재가 겹쳤던 해였음.

    - 아디스아바바시(수도)의 행정구역 확장에 반발하는 오로미아 주(Oromia) 반정부 폭력사태를 시작

    - 암하라(Amhara)주와 아디스아바바 시내 메스켈 광장(Meskel Square)에서의 집회 무력진압 등 크고 작은 시위가 이어짐에 따라 2016년 10월부로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는 등, 정치적 불안정성이 경제성장의 발목을 잡은 것으로 분석됨.


시기

주요 이슈

2016년 1분기

 - 제2차 경제개발계획(GTP II, 2016~2020년) 승인

 - 50년 만의 최악의 가뭄 지속에 따른 수출감소 및 식량부족 우려 증가

 - 오로미아주(Oromia) 폭력사태 점화(유혈진압, 언론인 구금 논란 확대)

2016년 2분기

 - 한-에티오피아 경제협력 강화(국빈 방문, EDCF 5억 달러 공여)

 - 2017~2018년 UN 안전보장이사회에 비상임 이사국으로 에티오피아 선출

2016년 3분기

 - 오로미아(Oromia), 암하라(Amhara) 주 반정부 시위 격화

 - 남수단 난민 유입 급증, 에티오피아-이집트 간 나일 강을 둘러싼 갈등 고조

2016년 4분기

 - 국가 비상사태 선포(2016년 10월~2017년 3월), 종료 후 4개월 추가 연장(2017년 7월까지)

 - 아디스아바바-지부티 철도 개통(총 연장 753km)


2016년 경제 동향


  1) 거시경제


  ㅇ GDP는 인근국인 케냐를 제치고 725억 달러를 기록하는 놀라운 실적을 기록으나, 경제성장률은 2014~2015년간 이어온 10% 이상의 성장세를 유지하지 못하고 8%로 하락


  ㅇ 또한 1인당 국민소득 역시 최빈국을 벗어나지 못하고 795달러를 기록 1000달러 이상의 수준으로 올라가기 위해서는 다소 시간이 걸릴것으로 전망


  ㅇ 인구 수는 최초로 1억 명을 돌파, 아프리카 대륙에서 제2위의 인구 수를 유지으며 향후 내수시장 성장에 대한 기대 고조


  ㅇ 수출은 농산물 작황 부진에 따라 소폭 감소으나, 수입급증으로 인해 사상 최대의 무역적자(142억 달러)를 기록


  ㅇ 지속되는 무역적자로 인해 달러화대비 환율(US$ 1 = ETB 23.2)의 평가절하 및 물가상승률(10.9%)도 민생경제에 큰 영향을 끼침.


  ㅇ 또한 대외원조 규모는 매년 증가추세에 있으나 Grant(무상)보다는 Loan(유상)의 비중이 확대됨에 따라 국가 채무비중도 55% 기록


최근 5년간 에티오피아의 거시경제 지표

구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전망

  GDP(US$ )

477

555

647

725

784

  경제성장률(%)

9.9

10.3

10.4

8.0

7.5

  1인당 GDP(US$)

548

628

720

795

846

  인구 수(백만 명)

94

97

99

103

> 105

  물가상승률(%)

8.1

7.4

10.6

10.9

> 11%

  환율(달러 대비)

19.5

19.8

21.6

23.2

> 24.0

  수입(US$ )

110

147

163

168

> 180

  수출(US$ )

26

30

27

26

> 30

  GDP 대비 국가채무(%)

42

46

55

55

> 57

자료원: IMF, EIU, ERCA(에티오피아 국세관세청)


  2) 국내 총생산


  ㅇ 2016년 기준 에티오피아의 비즈니스 라이센스 등록 수는 16만3000개사로 이는전년대비 10% 증가한 수준

    - 아디스아바바 등 주요 대도시에 밀집하고 있을 것으로 분석되며, 이 중 폐업 등을 감안시에는 약 12만 개사로 추산


  ㅇ 한편 서비스업 위주의 버블성장에 대한 우려가 확대된 동시에 근본적, 질적 성장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분석

    - 특히 전체 노동인구의 85%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어 노동력의 불균형이 심각한 것으로 보임.


 - 산업별 GDP 비중: 서비스업 46.8%, 농업 36.2%. 제조업 17%

 - 형태별 GDP 비중: 가계지출 65.9%, 외국인 투자 37.6%, 정부지출 10.2%, 수출 8.7%, 수입 -22.4%

자료원: MOT(에티오피아 산업부), 2017 CIA World Fact Book


  3) 수출입


  ㅇ 수출감소 및 수입급증으로 인해 역대 최대의 무역적자(142억 달러)를 기록

    - 농산품 위주의 수출 구조, 산업 근대화에 따른 관련 기자재 및 기계 수입수요 증가로 인해 적자 불가피


  ㅇ 품목 다변화, 농산물 프리미엄화를 통한 기존 교역구조 탈피 및 신시장 개척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남.

    - 가공식품, 의류 등 제조업을 확대하고 커피 등 주력 수출품목의 고급화를 통한 수출증대가 무역적자 감소의 유일한 대안


최근 5년간 에티오피아의 수출입 현황

                                                                                                                                                          (단위 : US$ 억, %)

구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4월

수출

27(8)

26(-4)

30(15)

27(-11)

26(-4)

10(-)

수입

117(34)

110(-6)

147(34)

163(11)

168(3)

45(-)

수지

-90

-84

-117

-136

-142

-35

자료원: ERCA(에티오피아 국세관세청)


상위 5대 수출입 대상국

                                                                                                                                            (단위: US$ 백만, %)

순위

수출

수입

국가명

금액(비중)

국가명

금액(비중)

1

 중국

355(14)

 중국

5,088(30)

2

 소말리아

271(11)

 미국

1,536(9)

3

 사우디아라비아

184(7)

인도

1,301(8)

4

 네덜란드

181(7)

 쿠웨이트

968(6)

5

 독일

179(7)

 이탈리아

705(4)


 한국(16위)

51(2)

 한국(26위)

179(1)

자료원: ERCA(에티오피아 국세관세청)


상위 5대 수출입 품목

                                                                                                                                            (단위: US$ 백만, %)

순위

수출

수입

품목명

금액(비중)

품목명

금액(비중)

1

 커피

725(28)

 석유 및 역청유

1,700(10)

2

 참깨

480(18)

 밀과 메슬린

724(5)

3

 채소류

257(10)

 화물차

641(4)

4

 건조한 채두류

220(8)

 의약품

538(3)

5

 꽃

190(7)

 비료

441(2)

자료원: ERCA(에티오피아 국세관세청)


  4) 외국인 투자


  ㅇ 1992~2017년 4월까지 총 46억3000만 달러를 유치으며, 투자 프로젝트수는 총 2687건에 육박

    - 국가별로는 중국(18%), 사우디(15%), 터키(8%), 인도(6%), 에티오피아-중국합작(5%) 순

    - 분야별로는 제조업(70%), 건설업(11%), 농업(8%), 부동산 및 임대업(6%) 순

    - 지역별로는 오로미아(42%), 아디스아바바(35%), 암하라(10%), SNNPR(3.8%) 순


  ㅇ 한편 2011년 6300만 달러의 투자유치를 정점으로 등락을 거듭으나, 2016년에는 국가 비상사태의 여파로 투자유치 급감

    - 2004~2015년까지 연평균 3억4000만 달러를 기록했던 투자유치 실적은 2016년에 7200만 달러로 급락


최근 5년간 에티오피아의 투자유치 현황

                                                                                                                                                 (단위: US$ 천만, %)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누계

금액

31(-51)

42(35)

30(-30)

20(-32)

7.2(-65)

4,630

건수

203(30)

169(-17)

127(-25)

128(1)

81(-37)

2,687

자료원: EIC(에티오피아 투자청)

                                                      

국가별 투자유치 현황(누적기준, 상위 5대)

                                                                                                        (단위: US$ 천만, %)

구분

중국

사우디

터키

인도

에-중 합작

한국(41위)

금액

81(18)

67(15)

36(8)

29(6)

24(5)

1.6(0.4)

건수

958(11)

110(1)

163(2)

323(4)

137(2)

55(0.7)

자료원: EIC(에티오피아 투자청) 


분야별 투자유치 현황(누적기준, 상위 6대)

                                                                                                                                        (단위: US$ 천만, %)

구분

제조업

건설업

농업

부동산·임대업

요식업

기타

금액

325(70)

50(11)

40(9)

29(6)

8(2)

3(1)

건수

1,219(45)

173(6)

292(11)

607(23)

141(5)

58(2)

자료원: EIC(에티오피아 투자청)


지역별 투자유치 현황(누적기준, 상위 6대)

                                                                                                                                           (단위: US$ 천만, %)

구분

오로미아주

아디스아바바

암하라

SNNPR

디레다와

티그라이

금액

194(42)

166(36)

43(9)

17(4)

9(2)

8(2)

건수

711(26)

1,601(60)

73(3)

72(3)

16(1)

35(2)

자료원: EIC(에티오피아 투자청)


  5) 공적 개발지원(대외원조)


  ㅇ 2016년 기준 총 31억6000만 달러를 지원, 2015년 28억3000만 달러 대비 11%가 증가

    - 형태별로는 Loan(53%), Grant(38%), 현물(8.2%), 기술원조(0.6%) 순

    - 주체별로는 국제금융기구(46%), EU(19.5%), Non-EU(19.3%), UN 산하기구(15.2%) 순

    - 단일국별로는 영국(12%), 미국(8%), 중국(7%), 캐나다(1%), 네덜란드(1%), 한국(0.9%) 순

 

최근 2년간 공적개발 지원 현황

                                                                                                                                             (단위: US$ 백만, %)

구분

Grant(무상)

Loan(유상)

현물지원

기술원조

합계

2015

1,560(55)

1,254(44)

0(0)

16(1)

2,830

2016

1,185(38)

1,673(53)

255(8)

17(1)

3,130

자료원: MOFEC(에티오피아 재정경제협력부)


2016년 공적개발 지원 세부 현황

                                                                                                      (단위: US$ 백만)

대분류

소분류

Grant(무상)

Loan(유상)

기술원조

합계

Non-EU

 미국

244.05

-

-

244.06

 중국

-

223.06

-

223.06

 캐나다

33.42

-

-

33.42

 한국

29.27

-

-

29.27

 기타 7개국

10.84

48.56

15.97

75.36

EU

 영국

385.43

-

0.28

385.71

 네덜란드

33.64

-

-

33.64

 기타 7개국

76.35

31.24

-

107.59

 EU

84.93

-

0.30

85.23

국제금융기구

 World Bank

56.15

1,096.28

0

1,152.44

 ADB

4.96

220.24

-

225.20

 기타 3개 기구

8.43

55.88

-

64.31

UN 산하기구

 WFP

6.88

-

255.60(현물)

262.48

 UNICEF

155.72

-

155.72

 UNDP

27.93

-

-

27.93

 기타 3개 기구

28.12

-

1.16

29.28

합계

1,186.12

1,675.26

273.30

3,134.69


□ 2017년 경제전망 및 호부진 요인 분석


 - 2016년 여파 지속, 경제성장 모멘텀 부재, 물가 상승 등 전반적인 난항 예상

 - 한편 비상사태 종료 후 외국인 투자 증가시 4분기 부터 회복세로 반등 2018년 부터는 성장세 재진입 예상


  1) 호조요인


  ㅇ (정국안정) 2016년 11월 개각 단행, 티그라이주 출신이 주를 이뤘던 과거 대비 타지역 출신 인사를 대거 임명, 민심수습 노력

    - 지방 종족 간 분쟁, 일부 반정부 성향은 아직까지도 남아 있으나 대체로 안정권에 접어든 것으로 평가


  ㅇ (수출증대) 주력 수출품목 관리강화 및 물류 인프라 개선 기대

    - ECX(에티오피아 선물거래소)를 중심으로 에티오피아 커피의 품질 강화를 통해 해외시장 진출 확대에 노력

    - 2017년 10월 아디스아바바-지부티 간 화물철도 운행 예정으로 물류기간 단축 및 비용절감 예상


  ㅇ (투자회복) 비상사태 종료에 따른 투자 관망세에서 투자 실현세로 전환

    - 최근 중국·인도 기업을 중심으로 Hawassa·Mekelle·Kombolcha 공단 입도선매 중

 

  ㅇ (대외원조 확대) 대외원조 대상지역이 동남아에서 점차 아프리카로 확대됨에 따라 이를 바탕으로 한 성장에 큰 기대


  2) 부진요인


  ㅇ (모멘텀 부재) 국력 집중을 위한 가시적인 목표 실종

    - 광범위한 경제개발 5개년 계획보다는 국제행사, 대표기업 유치등을 통한 실질적 성장에 집중 필요


  ㅇ (물가상승) 수입의존 경제로 인해 환율 상승분이 즉시 물가에 반영됨에 따라 민생경제 애로

    - 보통 환율이 증가하면 수입이 감소하는 것이 보통이나 수입은 늘 증가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인해 서민물가 가파르게 증가


  ㅇ (채무과다) 총 GDP대비 국가채무 비중이 55%에 육박

    - 무상차관 감소 및 유상차관의 만기 도래 등 외부 충격에 매우 취약한 상황


  ㅇ (외환부족) 더딘 L/C 개설 및 결제로 인해 원활한 경제활동 저해

    - 2017년 4월 까지는 L/C 개설 지연이 문제였으나 최근에는 L/C 결제 지연으로 인해 우리 기업 애로호소 증가


  ㅇ (불투명성) 세무, 관세의 자의적인 결정 및 늑장처리 만연

    - 외투기업의 투자결정에 큰 영향요인으로서 늘 개선의지를 천명하고 있으나 실제 개선은 늘 제자리 걸음 중




자료원: KOTRA 아디스아바바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에티오피아 2016년 경제동향 및 2017년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