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미얀마, Myanmar Investment Forum 2017 개최
  • 투자진출
  • 미얀마
  • 양곤무역관 Thu Thu Aung
  • 2017-06-30
  • 출처 : KOTRA

- 미얀마 부통령 핵심 부처 인사가 참석미얀마 투자에 대한 전반적인 전망 발표 -

- 잠재 가능성에 비해 투자 진출이 어려운 미얀마 시장에 대한 투자 방향 및 전략 제시 -

 


 

포럼 개요

 

  ㅇ 201766일부터 7일 양일간 미얀마 수도 네피도(Nay Pyi Taw)에서 미얀마 투자 포럼 2017(Myanmar Investment Forum 2017)이 미얀마 투자 전망 및 투자환경에 대한 주제를 바탕으로 개최됨.

 

행사명

자료원 : KOTRA 양곤무역관 

Myanmar Investment Forum 2017

일시

201766() - 7()

장소

Myanmar International Convention Center 2(MICC2)

주최

Myanmar Investors Development Association(MIDA)

주요 참석자

U Myint Swe 부통령, U Kyaw Win 기획재정부 장관, U Aung Naing Oo 투자회사관리국(DICA) 국장, U Aung Htoo 상무부 차관 등 고위 정부관료 및 세계 각국 주요기관, 기업 대표 참석

 

  ㅇ 이번 투자 포럼은 미얀마 투자 기회 및 투자 환경에 대한 논의 및 최근 변경된 미얀마의 법적, 제도적 투자 상황에 대한 정보 제공 등을 목적으로 개최

   - 포럼은 U Myint Swe 부통령의 기조연설을 비롯 크게 6개의 섹션으로 나누어 진행됐음. 섹션마다 민간 부문 개발, 인프라, 금융, 개정 투자법 및 특별 경제구역 등의 내용으로 구성

   - U Myint Swe 부통령은 기조연설을 통해 더 나은 투자 환경 조성과 미얀마 경제발전을 위해 정책적 변화, 인프라 개선 및 중소기업 육성을 주요 과제로 선정, 많은 노력과 관심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힘

 

기조연설 중인 U Myint Swe 부통령

자료원 : KOTRA 양곤 무역관

자료원 : KOTRA 양곤 무역관


포럼 주요 내용


  1) 민간부문 투자 증진 및 개발

 

  ㅇ 민간 부문 투자 증진 및 개발 발표자 U Toe Aung Myint 미얀마 상무부 사무차관은 현재 미얀마 기업의 90%이상이 민간 기업임을 강조하며, 민간 부문(Private Sectore)의 성장은 미얀마 경제성장의 핵심적인 요소라고 언급

 

  ㅇ 이에 따라 현재 미얀마 정부는 민간 부문 투자 촉진을 위하여, “민간 부문 투자 증진 및 개발에 관한 5가지 쟁점(Five Pillars of PSD)”를 수립, 이를 바탕으로 경제 개발 계획을 구상 중

 

   ※ 민간부문 투자 증진 및 개발에 관한 5가지 쟁점(Five Pillars of PSD)

   - 법규제 환경 개선 (Improving the Legal and Regulatory Environment)

   - 자금 제공 보장 (Ensuring Access to Finance)

   - 무역‧투자 증진 (Promoting Trade and Investment)

   - 인프라 및 공공서비스 제공 부문에서의 국가의 역할 재건 (Restructuring the State’s Role in Business Enterprise and Service Delivery)

    - 미얀마 인적 자본기반 구축 (Building Myanmar's Human Capital Base)


  미얀마 정부는 5가지 쟁점을 바탕으로 미얀마 민간부문 투자를 방해하는 핵심 해결과제를 해소해 투자 촉진을 이끌어 낼 예정이라고 발표

   - 미얀마 민간 부문 투자 촉진을 위한 핵심 해결과제로는 국내 정치적 불안정 및 소수민족 문제 해결, 빈곤 감소, 거시경제 안정성 도모, 인프라 접근성 개선, 세계노동시장 수요에 부합하는 노동력 창출, 국내 기업 육성 등 총 8가지

 

  ㅇ 이러한 핵심 해결과제 해소 및 5가지 쟁점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하여 12개의 정부 핵심 부처를 중심으로 한 민간부문개발위원회(PSDC, Private Sector Development Committee)를 창설하였으며, “PPD(Public Private Dialouge)”를 도입, 기업과의 협력을 유연하게 할 예정

   - PPD는 민간 기업인과 정부 관계자 간의 월간 회의를 통해, 기업 운영에 있어 문제점과 제안 사항을 논의하여 의견을 수립, 관련 부처에 건의하는 제도

   - 201612월 이후 지속적으로 진행 중이며, 현재까지 83개 의견이 관련 연방 정부 부처 및 지방 정부에 전달·반영됨

  

민간부문개발위원회 운영 구조


자료원 : KOTRA 양곤 무역관

자료원 : Myanmar Investment Forum 2017


  2) 인프라 개발 기회 - 전력 및 도시 개발

 

  ㅇ 미얀마 전력에너지부(Minstry of Electric Power and Energy)산하 전력생산공사(Electric Power Generation Enterprise) Dr. Maung Maung Kyaw 기술국장(Chief Engineer)은 미얀마 전력 산업의 잠재 가능성 및 그에 따른 투자 방법에 대한 발표를 진행

 

  ㅇ 먼저 Dr. Maung Maung Kyaw 기술국장은 2017년 기준 미얀마의 주요 전력 생산경로 및 향후 전력 생산을 위한 종합계획을 발표

   - 2017년 기준 미얀마의 주요 전력 생산 경로는 수력발전으로 전체 생산량의 50%이상을 차지

   - 또한, 미얀마 주요 생산 품목 중 하나인 천연가스를 활용한 화력발전의 생산량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향후 미얀마의 전력 생산은 화력과 수력이 담당할 것으로 전망

   - 한편, 전력생산 종합계획에 따르면, 2030년까지 미얀마 전역에 전력을 공급할 예정이며, 2020년까지 석탄을 이용한 화력발전을 크게 늘릴 예정, 해당 산업의 성장이 전망된다고 밝힘


미얀마 전력 종합계획

자료원 : Myanmar Investment Forum 2017 

자료원 : Myanmar Investment Forum 2017

 

  ㅇ 또한 Dr. Maung Maung Kyaw 기술국장은 전력 산업의 잠재 가능성 및 기회에 대한 발표를 진행. 전력산업의 기회는 크게 전력생산, 송전, 배전 3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각 분야별 진출 방법 및 기회요인을 설명

   - 전력 생산 사업의 경우 정부 단독 투자, BOT(Build-Operate-Transfer)방식으로 바탕으로 한 현지기업 투자, 합작회사(JV, Joint Venture) BOT 방식을 통한 외국기업 투자 3가지로 구분

   - 현재 미얀마의 기술 문제로 인해 JV/BOT 방식을 활용한 외국기업 투자가 전력 생산 산업의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밝힘

   - 송전 사업의 경우 원칙적으로 민간 부문의 소유를 금지하고 있으나, 송전 산업과 관련된 전선 및 시설 공사의 경우 민간 부문에 수주를 맡겨 진행하는 만큼, 해당 부문에 대한 간접투자 가능

 

  ㅇ 도시개발과 관련된 사항은 미얀마 건설부(Ministry of Construction) 도시주택개발국(Department of Urban and Housing Development) Daw Moe Thida 차장이 진행하였으며, 인구성장속도에 따른 도시개발 계획의 필요성과 잠재 가능성에 대한 내용을 골자로 진행

 

  ㅇ Daw Moe Thida 차장은, 2014년 인구조사 통계 기준 미얀마 도시인구는 약 1,500만 명으로 매년 2.9%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어 2040년경에는 3,000만 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

 

  ㅇ 이러한 인구 증가에 맞추어 미얀마는 양곤을 비롯한 주요 대도시 및 국경무역지대를 중심으로 한 지방 도시 개발을 바탕으로 국토개발계획(National Spatial Development Plan)을 준비 중이며, 주택 보급률을 높이기 위해 2011년부터 2030년 까지 20년간 100만 개의 주택을 신축할 예정

 

미얀마 국토개발계획

자료원 : Myanmar Investment Forum 2017

자료원 : Myanmar Investment Forum 2017


  3) 금융 관련 투자 환경 및 전망

 

미얀마 기획재정부 산하 미얀마보험공사(Myanmar Insurance) Dr. Sandar Oo 상무이사(Managing Director)는 미얀마 금융시장의 현황과 향후 전망 및 해결과제, 정부 정책 방향에 대해 발표함

 

자산기준 미얀마 금융업 규모

    자료원 : Myanmar Investment Forum 2017  

자료원 : Myanmar Investment Forum 2017


  ㅇ 현재 미얀마에는 1개의 중앙은행, 4개의 국유은행, 24개의 현지 민간은행 및 13개의 외국계 은행 지점, 47개의 외국계 은행 사무소가 영업 중이며, 비은행금융기관은 1개의 국유보험사와 11개의 민간보험사 및 25개의 보험사 사무소, 170여 개의 소액금융 서비스(Microfinance)사가 진출


  ㅇ 현지 은행과 외국계 은행이 다수 진출해있음에도 전체 미얀마 국민 중 단 27%만이 은행 서비스를 이용하는 등 금융 서비스에 대한 국민적인 인식이 매우 낮은 편

 

  ㅇ Dr. Sandar Oo는 이러한 금융 시장의 비활성화 원인으로 크게 은행시스템에 대한 국민적 이해도 부족, 금융관련 규제 및 체계 미비, 금융 서비스의 다변화 부족 등을 지목

 

  ㅇ 미얀마 기획재정부는 금융업의 활성화를 위해 금융관련 규제 완화 및 금융 인프라 확대, 새로운 금융시스템 도입 등을 진행 및 계획 중

    - 담보에 대한 기준 완화를 통한 대출 활성화

    - 신용카드, 모바일 뱅킹, 인터넷 뱅킹 등 선진화된 금융서비스의 적극적인 유치

    - 신용조사기관 수립을 통한 금융관련 정보 공유 시스템 확립 준비

      

시사점

   

  ㅇ 미얀마는 높은 인플레이션과 무역 적자에도 불구 7~8%의 경제성장률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으며 최근 미국의 경제제재 해제를 비롯하여 투자 활성화를 위한 투자법 개정 등 세계 투자가들의 이목을 끌만한 행보를 보이는 중

 

  ㅇ 하지만 이러한 매력적인 상황에도 불구하고 열악한 인프라 환경, 국경 분쟁을 비롯한 불안정한 내정 및 숙련공의 부재 등은 투자가로 하여금 미얀마 투자를 망설이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

 

  ㅇ 이번 미얀마 투자 포럼은 경제 관련 주요 정부 부처 및 세계은행과 같은 유력 국제기관의 인사들이 연사로 참여해 미얀마의 투자 잠재 가능성 및 투자 전망과 관련한 정부의 견해를 전달, 참석자들에게 미얀마 투자에 대한 심도 깊은 정보를 제공

 

  ㅇ 포럼 내용에 따르면 여러 산업 중 인프라 개발에 관한 정부 투자가 많을 것으로 전망

   - 미얀마 정부는 경제성장의 가장 큰 방해요소로 인프라 시설 부족을 언급하며, 전력, 수도, 도로 등 기본 인프라 확충에 국가적 역량을 투입할 예정이라고 밝힘

   - 특히 전력 부문의 경우 2030년까지 미얀마 전역에 공급 계획을 가지고 있으므로, 전력 생산 및 송전에 관한 투자 잠재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관련 분야 전문가들은 밝힌바 있음

   - 도로 산업의 경우 도시개발의 일환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현재 구상 중인 프로젝트로는 베트남과 미얀마를 잇는 '동서경제대로(East-West Economic Corridor)'계획과 미얀마 주변 국가와 연결하는 고속도로 프로젝트 등이 존재

 

  ㅇ 포럼 연설자로 참석한 사업개발 컨설턴트 Felix Haas에 따르면 향후 미얀마 산업화 전략 방향은 한국의 경우와 같이 정부 지휘 아래 최적의 장소에 최적의 산업을 투자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 따라서 본 포럼과 같이 정부의 관점에서 미얀마 투자환경에 대한 미래를 논의하는 세미나에 대한 지속적인 참석과 정보 공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자료원: Myanmar Investment Forum 2017 KOTRA 양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얀마, Myanmar Investment Forum 2017 개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