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자동화 추세로 중국 로봇시장 활황
  • 트렌드
  • 중국
  • 다롄무역관
  • 2017-05-11
  • 출처 : KOTRA

- 정밀감속기, 제어기, 고성능 드라이브 등 로봇 핵심부품 수요 커 -

- 중공업 중심지 다롄, 자동차산업 외에 다른 중공업 분야로 로봇 보급 확산 중-

 

 

 

핵심기술력 부족으로 중국산 로봇 시장점유율 미미

 

  ㅇ 중국 내 로봇판매가 4년 연속 세계1위를 기록하는 등 활황을 보이고 있음.

    - 중국의 4차산업 혁명에 해당하는 '중국제조 2025 전략'에 힘입어 산업시설을 자동화하는 추세가 강함.

    - 올해는 중국에서 실제 사용되는 로봇이 47만 대에 이를 전망임.

    - 북미지역의 올해 사용 예상되는 로봇대수인 29만 대보다 67%나 많음.

 

중국의 공업용 현황과 전망

연도

보유량(만 대)

인구 만 명당 보급대수()

매출액(억 위안)

2014

18.94

36

137.20

2015

25.77

49

184.10

2016(e)

36.82

70

285.35

2017(e)

47.34

90

302.45

2018(e)

57.86

110

328.75

2019(e)

68.38

130

355.05

2020(e)

78.90

150

381.35

자료원: 중국 간업정보망(www.chyxx.com)

  

  ㅇ 중국 31개 성시 중 28개 성시가 로봇산업 육성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중국 전역에 로봇산업단지가 40여 개나 운영될 만큼 국가 전체적으로 로봇산업 발전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음

    - 중국의 로봇생산기업은 1000여 개사에 달함.

    - 광둥성에 285개사, 저장성 156개사, 장쑤성 125개사, 상하이시 108개사, 산둥성 89개사, 베이징시 58개사, 안후이성 56개사, 랴오닝성 45개사, 충칭시 40개사 순임.

    - 그러나 아직까지 중국의 로봇산업이 조립생산 수준에 그치고 핵심기술력이 부족해 자국산 로봇의 중국시장 점유율이 4%에 불과함.

    - 시장에서 팔리는 로봇은 대부분 수입브랜드임.

    - 중국은 중저급품에 해당하는 3축 로봇이나 4축 로봇을 주로 생산하며 기술력이 높은 6축 다관절 로봇 생산기술이 낮음.

 

중국 정부, 로봇산업 육성 박차

 

 ㅇ 중국은 2016년 중국공업정보화부,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재정부가 공동으로 발표한 '로봇산업 발전규획'을 통해 2020년까지 6축 로봇과 7축 이상 다관절 로봇을 5만 대 생산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함.

    - '규획'에 따르면 2020년에는 서비스로봇 연간 매출액이 300억 위안을 초과하고, 국제 경쟁력을 보유한 중점기업을 3개사 이상 육성할 계획임.

 

자동차산업용 로봇이 전체의 36.8% 차지

 

  ㅇ 중국 로봇시장이 활황이지만 아직까지 제조현장의 로봇 사용 비중은 0.5%가 되지 않아 시장잠재력이 매우 큼.

    - 중국전동망이 제시한 2015년 중국의 분야별 로봇 납품비중을 보면, 자동차산업이 전체의 36.8%로 가장 많음. 뒤를 이어 전기기계 및 기자재 제조업(23.3%), 금속제조업(15.2%) 등 순임.


2015년 중국의 산업별 공업용 로봇 납품 비중

자료원: 중국 전동망(www.chuandong.com)

 

정밀감속기, 제어기, 고성능 드라이브 등 핵심부품, 수입산 사용

 

  중국은 정밀감속기, 제어기, 고성능 드라이브 등 로봇 핵심 부품을 거의 대부분 수입산으로 사용함.

    - 일본산과 독일산이 인기가 있으며 일본 제품이 정밀감속기 시장 전체의 75%를 차지함.

    - 중국 시장에서 유통되는 해외 로봇 브랜드로는 AAB, Funuc, Yaskawa, Kuka, Kawasaki 등이 있으며 중국 기업의 자동화 수요가 크기 때문에 유명 로봇기업이 중국내 생산공장을 운영하고 있음.

    - 중상정보망에 따르면, 중국 로봇시장 점유율은 Funac가 전체의 13%로 가장 크고 뒤를 이어 Yaskawa(12%), Kuka(10%), ABB(9%), OCT(5%) 순임.

 

중국의 주요 로봇생산 기업

구분

기엄명

운영현황 및 생산능력

해외기업

AAB(스위스)

2009년 상하이에 공장 설립

Funac(일본)

2012년 상하이에 공장 설립

Yaskawa(일본)

장쑤성 창저우에 2개 로봇 조립 공장 설립. 2015년 생산량 6000대 초과

KUKA(독일)

상하이에 공장 설립. 2015년 생산량 5000대 초과

kawasaki(일본)

2013년 쑤저우에 공장 설립. 2015년 생산량 8000

중국기업

SIASUN

항저우에 공정 설립. 2015년 생산량 5000

EFORT

2015년 생산량 500대 초과

GSK

2015년 생산량 1000

Triowin

2015년 생산량 500

자료원: 중국 로봇망(www.robot-china.com)

 

중공업중심지 다롄, 산업용 로봇 수요

 

  ㅇ 동북3성은 중국의 대표적인 중공업 지역으로 동북3성의 관문에 해당하는 랴오닝성 다롄시는 자동차, 선반기자재, 선박업이 주력 산업임.

    - 다롄에는 치루이, 둥펑닛산, 황하이(黄海) 등 완성차 기업 외에 다롄중공기중그룹(大连重工起重集团), 다롄공작기계그룹(大连机床集团), 중처다롄기관차량유한공사(中车大连机车车辆有限公司), 다롄선박중공그룹(大连船舶重工集团有限公司) 등 중공업 기업이 집중해 있음.

    - 다롄에서는 자동차산업 외에 다른 중공업 분야로 로봇사용이 확대되고 있어 로봇 시장성이 매우 큼.

    - 다롄시 정부도 생산자동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로봇도입에 관심을 크게 기울임.

    - 다롄 로봇 시장 진출을 위해 개별적으로 기업을 접촉하거나 관련 전시회에 참가하는 방법 외에, 다롄시기계공업협회와 협력해 자동화설비가 필요한 기업을 대상으로 제품 설명회 개최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중국산업정보망, 중국로봇망 및 KOTRA 다롄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자동화 추세로 중국 로봇시장 활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