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농업농촌발전전략을 통해 살펴본 베트남 농업의 미래
  • 트렌드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한아름
  • 2022-06-09
  • 출처 : KOTRA

2030년까지 농림수산 분야 GDP 성장률 연평균 2.5~3% 기대

내수 농산물 품질을 향상하고, 고부가가치상품 생산 농가 육성을 목표로 하나 해외 기업 및 투자자의 협력이 뒷받침되어야 가능할 것으로 예상

베트남 농업농촌개발전략의 주요 목표

 

베트남 농업농촌개발부(MARD) 2022128일 결정서 2050년까지의 비전, 2021~2030년 지속 가능한 농업농촌개발전략’(Decision No. 150/QD-TTg)을 통해, 향후 약 10년간의 농림수산 분야 발전 목표 및 전략, 그리고 2050까지의 장기적인 비전을 공표하였다. 베트남 정부는 2030년까지 농림수산 분야의 GDP 성장률 목표를 연평균 2.5~3%로 설정하였으며, 노동생산성과 농림수산물 수출액은 연평균 5.5~6% 성장시키고자 한다.

 

베트남은 2030년까지의 개발 전략을 바탕으로, 2050년에는 현대적·효율적·친환경적인 생산 환경을 갖춘 세계 최고의 농업국가 중 하나로 도약하고자 한다. 아울러, 농촌 가구의 생산성 향상을 통해 소득 증대와 생활 여건의 개선을 이루는 동시에 도시와 농촌의 상생 발전을 목표로 한다.

 

<2050년까지의 비전, 2021~2030년 지속 가능한 농업농촌개발전략 주요 내용>

2030년 목표

농림수산 분야 GDP 성장률

연평균 2.5~3%

농림수산 분야 노동생산성 성장률

연평균 5.5~6%

농림수산물 수출액 증가율

연평균 5~6%

농어촌 거주자 소득

2020년 대비 2.5~3배 증가

농어촌 지역 빈곤가구 비율

연평균 1~1.5% 감소

전체 노동 인구에서 농업 인구 비중

20% 미만으로 감소

숙련 농업인력 비율

전체 농업 인력의 70% 이상

행정구역별 현대식 농촌 표준 충족 비율

90%, 70%, 35%↑ 달성

농림수산분야 온실가스 배출량

2020년 대비 10% 감축

지속가능성 인증 삼림면적

100만 헥타르

해양 및 연안보호구역 면적

국가 총 해역 면적의 3~5% 도달

2050년까지의 비전

- 현대적·효율적·친환경적인 농산물 가공 산업을 통하여 세계 최고의 농업국 중 하나로 도약

- 농촌지역 빈민가구 퇴치

- 농촌 주민의 생활여건 개선 및 소득 개선

- 농촌과 도시가 조화롭게 연결되고, 살기 좋고 깨끗한 농촌으로 개선

[자료: ‘2050년까지의 비전, 2021~2030년 지속 가능한 농업농촌개발전략’(Decision No. 150/QD-TTg)]

 

지속 가능한 농업농촌 개발을 위한 주요 발전 전략

 

베트남 정부는 지속 가능한 농업농촌 개발을 위한 주요 전략으로 내수 농산물 품질을 향상하고, 고부가가치상품 생산 농가를 먼저 육성하여 농가 및 농업 소득을 증진하고 성장률을 증가시킬 목표를 세웠다.

특히 정부는 국가 주요 생산 및 수출 품목을 지역별 우수 생산지 기준으로 파악하여 우수 지역 특산품 생산에 우선권을 둔다. 또한 고품질 농림수산물 가공산업에 필요한 원자재 제공, 인프라 구축, 서비스 조직, 물류 시스템 향상, 공급망 혁신 등을 통하여 주요 생산 품목의 생산량을 증대하고 품질을 향상하고자 한다.

 

<생산 지역별 주요 농림수산 품목 발전 전략>

일반

- 농림수산물 전반의 내수 수요 충족

- 농작물 생산 및 유통 구조 혁신(공급망 개선)

- 농지사용 목적에 대해 보다 유연한 관리체재 구현

- 고품질 쌀, 수출용 열대 과일, 사료용 곡물 등 고부가가치 상품 개발 우선

- 약용식물, 관상용 식물, 식용버섯, 옥수수, 목화, 담배, 열대 과채류, 대두 등 유망 농산물 개발

- 국가 식량안보 보장

- 토지/수자원 효율 사용

- 벼 재배 농경지(메콩·홍강 삼각주) 엄격 관리

- 생산성 향상 및 농민 소득 구조 개선

- 윤작, 간작, 물새사육 등의 농법을 결합하여 농민 소득 증진 및 농업 시스템 개선

가축

- 축산물 내수 수요 충족

- 가금육, 유제품 등의 잠재 제품 시장 개발

- 가축, 가금류 등의 고부가가치 상품을 개발하고 식품안전, 환경 지속 가능성, 질병 예방 등에 노력

- 대규모 농장 및 기업체에서 첨단 기술을 적용한 산업용 축산 개발

- 축산업의 전문화 및 유기농법 적용 

- 인구밀집 지역에서 떨어진 곳에 농장 설립

- 돼지, 가금류, 젖소 등 중요 상품에 대한 종자기술, 사료, 선진 수의학, 첨단 가공 발전을 위한 마스터 플랜 수립

- 가축 폐기물의 효율적인 관리 및 사용법 마련, 가축 생산 선 순환 경제 모델 촉진

수산업

- 수산업을 전략적 생산 산업으로 발전시켜 내수 수요 충족 및 수출 확대

- 개량 기술을 적용한 대규모 생산시설 및 소규모 양식장을 위한 현대기술 접목

- 새우, 판가시우스 등 전략 수산물 주요 특화농업지역 개발

- 양식업 및 해산물 가공 시 발생하는 폐수 재활용 기술 적용

- 수산물 관개 시스템 완성

- 맹그로브 숲 경작 및 보호를 통한 연안 양식업 발전 강화

임업

- 현대적이고 고효율적인 임업 분야 개발을 통한 임업종사자 소득 증진

- 생태환경보호, 수자원보호, 재난완화, 기후변화 대비 등 기존 천연림의 지속가능성에 중점을 두고 삼림을 관리 및 보호 

- 지역 순환형 임업을 통해 산림자원의 선 순환체계를 구축하고 목재의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하여 임업 역경제 활성화에 기

- 목재가공 및 수공예품 생산을 위한 기본 원자재 내수 수요 충족

- 비 목재 임산물 개발, 산림 캐노피 약용 식물 재배, 산림 환경 서비스, 삼림 탄소 배출권 거리, 생태 관광, 과학 연구, 혼농 임업 촉진

[자료: ‘2050년 전망 2030년 목표 지속 가능한 농업농촌개발전략’(Decision No. 150/QD-TTg)]

 

농업농촌 개발 현황

 

2017년 기준 베트남의 도시화율은 35.03%였으나 베트남 정부는 2035년까지 국가 도시화율이 50~55%에 도달하리라 예측한다. 대도시 근교 농촌에서는 도시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2010년부터 2020년까지 10년간 1급지인 하노이시, 호찌민시, 다낭시, 껀터시, 하이퐁시 등에서는 도심을 중심으로 농지를 확장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 대도시들은 농촌지역과 도심을 연결하는 구심점이며, 원자재와 노동력 및 경제기반 시설을 제공해왔다.

 

하노이시

 

하노이시에 발달한 도시 농업은 주로 Long Bien, Cau Giay, Hoang Mai, Tay Ho 등의 지역에 일자리와 소득을 창출하고 있다. 2008년 하노이의 도시 면적이 확장되면서 하노이는 도심과 외곽 지역에서 농업 개발을 우선시했다. 하노이 근교에서 생산되는 농림수산물은 바질, 채소류, , 복숭아, 송어, 새우 등이다. 하노이 근교 군현 중에서 도시화에 따라 농촌과 도시의 경계에 놓인 곳은 민카이군의 박뜨리엠이다. 민카이는 오렌지와 포멜로(자몽과 유사한 시트러스 과일) 산지로 유명했다. 그러나 2030년까지 하노이 수도의 발전계획 (Decision 1259/QD-TTg)에 따르면 민카이는 행정구역상 박뜨리엠과 남들이 엠으로 분할되어 각각의 개발 방향이 다소 상이하다. 하노이시는 무역, 서비스, 농촌관광을 결합한 현대산업 지향 농업 생산모델로서 민카이의 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해 오렌지와 포멜로 재배에 중점을 두고 주말농장, 도시 농장 등의 도심형 체험 농장을 개발하고 있다.

 

호찌민시

 

(1) Phuoc An 농업협동조합

 

호찌민에서 성공적인 도시형 농장은 Phuoc An 농업협동조합이다. 빈짠 지역에서 2006년에 설립된 Phuoc An 농업협동조합은 호찌민시 농업농촌개발부, 식물 보호청, 농업 지원 자문센터 등과 협력하여 농가 훈련 및 지원을 지속하고 있다. 또한 베트남 정부는 Phuoc An 농업협동조합에 가입한 농가에 가구당 월 2천만 동( 862달러)을 무담보, 월 이율 0.6%로 지원한다. 정부의 지원을 받은 농가는 CoopMart, Metro, Vinatex Mart등과 같은 호찌민시의 대형 슈퍼마켓에 납품하며 소득이 증대된 바 있다. Phuoc An 협동조합은 지역사회에 안전하고 신선한 채소를 제공하기 위하여 더 많은 농가에 지원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 빈증 성의 도시 농업

 

빈증성은 베트남의 63개 성시 중 가장 도시화율이 높은 성 중의 하나이다. 도시화로 인하여 대표적인 남부 산업공단으로 자리 잡은 빈증성의 농경지는 약 2,655헥타르에 불과하며, 농업 종사자는 4,188, 빈증성 전체 토지 면적의 22%만이 농경지로 이용되는 반면 빈증 성의 농림수산업 규모는 506억 동에 도달하고, 연간 1헥타르당 평균 생산량은 6,940만 동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단위 면적당 생산량이 높은 편이다. 빈증성은 난초, 관상용식물 등 도시 농업 생산에 적합한 고부가가치 농업으로 전환하면서 수익성을 향상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다낭시

 

2006년 다낭시 정부는 주거지역의 환경 오염을 이유로 도심에서 가축 및 가금류 사육을 금지했다. Da Nang Fisheries-Agriculture Extension Center Hai Chau District Economic Office는 농가를 위한 수십 개의 기술 교육과정을 개설하여 고부가가치 농업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도왔으며, 이에 따라 다낭의 농가는 재배가 가능한 농작물로 주요 경작물을 전환하는 구조조정을 시도하였다. 다낭시 농업 종사 가구는 생육 속도가 빠른 새싹 및 식용버섯을 재배하여 고부가가치 농작물을 생산하고 있으며, 난초 등의 관상용 화초를 재배하여 농가 수익을 증대시켰다. 2020년 기준 다낭의 각 지역에는 관상용 식물 협회 및 전시장이 있으며, 일부 농가에서는 1만 포기 이상의 국화와 5천 그루 이상의 살구나무를 재배하여 공동으로 연간 3천억~4천억 동(1,293~1,725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스마트팜의 선구자 럼동성

 

럼동성은 2004년부터 하이테크 농업 발전정책을 실시한 선구적인 도시이다. 글라디올러스, 거베라, 난초 등 고급 관상용 화초 재배를 전문으로 하는 농가는 연간 수입이 수억 동에 달하며, 수출용 고품질 상업 채소를 재배하는 농가도 다수 있다.

2022 5 24일 럼동성 인민위원회는 2021년부터 2025년까지 포괄적이고 지속 가능하며 현대적인 농업 발전계획을 승인하고 4년간 평균 성장률 4.5~5%, 농업 기여도 75~78%, 축산업 기여도 18~20%, 농업 관련 서비스업 기여도 4~5%의 목표를 세웠다. 또한 2025년까지 농업 가치사슬 참여 가구를 265개 이상 늘려 총 2 6,700개 이상의 농가가 럼동성 농산물 생산 가치를 50% 이상 향상하고자 하는 목표가 있으며, 럼동성 특산품을 총 250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럼동성은 2022 154억 동, 2023 167억 동, 2024 202억 동, 2025 20억 동 등 4년간 약 723억 동을 투자하여 농업 가치사슬을 발전시키고, 농가의 부가가치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럼동성은 지난 5 20일 한국 정부가 지원하는 300만 달러 규모의 ‘베트남의 스마트하고 안전한 농산물 가치사슬 구축’ 프로젝트 착수식을 했다. 한국 정부의 지원으로 토마토, 피망, 딸기 등의 생산 및 유통 전 과정을 스마트팜 실증 모델로 구축하여 생산 및 유통의 최적화를 하는 프로젝트로서, 스마트팜 구축 및 모니터링, 스마트팜 운영 소프트웨어 시스템 개발, 기술 역량 구축 및 이전, 냉장 유통 및 운송, 고품질 브랜드 개발까지 럼동성의 특산물을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향상하는 프로젝트이다.

2022 1월부터 2024 12월까지 3년간 진행될 1단계 사업에서는 16개의 온실, 냉장 보관 시스템 및 유통 시스템을 통하여 딸기, 방울토마토, 파프리카를 생산부터 유통까지 책임지는 스마트팜이 구축된다. 2단계에서는 농업 모니터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데이터분석을 위한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3단계에서는 스마트농업에 대한 베트남 정부의 국가 마스터 플랜 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베트남의 스마트하고 안전한 농산물 가치사슬 구축프로젝트 착수식>

[자료: VNEconomy]

 

베트남 주요 농림수산품목 생산 실태

 

베트남 농촌농업개발부(MARD)에 따르면 2021년 베트남의 쌀 생산량은 4,368만 톤으로 전년 대비 110만 톤 증가했으며, 쌀 수출량은 전년 대비 233,000톤 증가한 640만 톤, 쌀 수출 규모는 전년 대비 5% 증가한 327,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베트남은 인도에 이어 세계 2위 쌀 수출국 지위를 유지했다. 또한 2021년 기준 베트남은 브라질(22.2%)에 이어 16.1%의 세계 커피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는 세계 2위 커피 수출국이다. 쌀과 커피 이외에도 연간 30억 달러 이상 수출되는 베트남의 6대 농림수산 품목은 목재 및 목제품, 해산물, 캐슈너트, , 야채, 고무 등이 있다. 고부가가치 농림수산 품목이 존재하지만, 베트남의 농림수산 생산 분야는 다음과 같은 특징 및 한계를 갖고 있다.

 

<베트남의 주요 농림수산품목 생산 동향 및 한계>

생산품

생산 품목 동향

곡물

- 사료 부문의 호황과 옥수수 생산의 어려움으로 베트남은 최대 옥수수 수입국 중 하나로 등극

- 사료 분야는 외국인투자기업이 지배

- 정부는 옥수수 생산 증대 목표가 있으나 아직까지 정부의 생산 증대 방식은 비효율적이며 실효성이 낮음

- 주요 쌀 수출국

- 노동 집약적 쌀 재배 방식과 토지 부족 난관 직면

- 경작/수확 면적 증대 불가로 인한 생산량 증대 불가 문제 봉착

유제품

- 갈수록 치열해지는 베트남 유제품 내수 시장에서 국영 유제품 생산 기업인 비나밀크(VINAMILK)의 주도권 강화

- 베트남 우유 생산 증대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

커피

- 베트남의 커피 생산 및 수출 증대, 커피 품질 향상을 위한 정부의 목표가 있었으나 아직까지 고전

- 세계 2위의 로부스타종 커피 수출국이나, 브랜드 인지도 약함

- 국제 시장에서 커피 생산국으로서의 중요도 상승 중

가축

- 베트남,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육류 소비국

- 육류 수입 증가 추세

- 지역 축산업, 사료 및 육류 가공 부문 확장 및 급속 성장 중

- 가금육 생산 산업화가 옥수수 수입 증대 요인으로 작용

[자료: Fitch Solutions]

 

농업농촌개발부(MARD)는 베트남이 지난 10년간 농림수산 분야에서 연간 부가가치 성장률 약 8~10%를 달성하며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다고 밝혔다. 또한 2021년 기준 베트남은 연간 약 12천만 톤 이상의 농산물을 처리할 수 있는 7,500개 이상의 수출가공시스템을 갖춘 농림수산 분야 수출 기업이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베트남이 세계 농업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현재 생산환경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중앙정부 및 지방성 차원에서 농촌지역을 지원하기 위한 세부 전략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다. 기본적으로 베트남의 농림수산 분야는 생산품의 품질이 전반적으로 낮으며 고전적인 방식으로 생산하고, 냉장 유통이 취약하여 식품 안전 및 위생을 보장하지 못할 잠재적 위험을 안고 있다. 농림수산물의 수확 후 손실은 산업에 따라 2021년 기준 여전히 전체 수확량의 10~20%로 높은 편이다. 농산물 가공 기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기술 수준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농림수산 분야 선진 국가에서 기술이전 및 투자 협력을 통한 방법이 가장 실용적이나, 이와 같은 투자 및 협력은 대기업 위주로 이루어지므로 소작농에 대한 지원과 대책을 마련하기까지 갈 길이 멀다는 단점이 있다.

 

2022년 베트남의 농림수산 분야 목표

 

2022년 베트남 정부의 연간 산업 성장률 목표는 2.8%~2.9%이다. 농림수산 분야 성장률 목표는 2.9%~3.0%이며, 농림수산물 수출 규모는 490억 달러를 목표로 한다.

 

베트남은 옥수수, , 우유, 커피, 가금육, 돈육, 쇠고기 등을 주요 생산 품목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2022년부터 2026년까지 생산 목표와 전년 대비 생산 증가율을 설정했다. 옥수수의 경우 전 세계 생산량 대비 베트남의 공급 비중을 0.4%로 설정하고 생산량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계획이며, 쌀은 세계 생산량 대비 5.0%의 비중을 차지하도록 할 계획이다. 주요 생산 품목에 대한 베트남 정부의 생산 목표 및 증가율은 다음과 같다.

 

<주요 농림수산 품목별 생산 목표 및 전년대비 증가율 (2022-2026)>

(단위: 천 톤, %)

 

2022

2023

2024

2025

2026

옥수수

생산량

4,406

4,626

4,719

4,860

4,958

증가율

-4.0

5.0

2.0

3.0

2.0

세계 생산 비중

0.4

0.4

0.4

0.4

0.4

생산량

27,154

27,072

26,964

26,775

26,668

증가율

-0.1

-0.3

-0.4

-0.7

-0.4

세계 생산 비중

5.3

5.3

5.2

5.1

5.0

우유

생산량

759.0

779.0

831.0

883.0

935.0

증가율

3.5

2.6

6.7

6.3

5.9

세계 생산 비중

0.1

0.1

0.1

0.1

0.1

커피

천 자루(60kg 한 자루)

31,000

32,000

32,480

32,967

33,461

전년 대비 증가율

6.2

3.2

1.5

1.5

1.5

세계 생산 비중

19.2

18.5

19.0

18.1

17.3

가금육

생산량, 천 톤

1,216

1,289

1,379

1,476

1,579

전년 대비 증가율

3.0

6.0

7.0

7.0

7.0

돈육

생산량, 천 톤

2,710

2,845

2,916

2,975

3,049

전년 대비 증가율

5.0

5.0

2.5

2.0

2.5

우육(쇠고기, 송아지고기)

생산량, 천 톤

251

255

261

267

273

전년 대비 증가율

2.7

1.9

2.0

2.3

2.2

[자료: Fitch Solutions]

 

 

시사점

 

베트남의 농림수산 수출 규모가 매년 증가하는 것은 고무적이나, 전문가가 바라보는 농림수산 분야는 가야 할 길이 멀다베트남 산업무역부 산하 베트남 산업무역전략 및 정책연구소의 한 관계자는 KOTRA 하노이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수출 제품은 경쟁이 치열하고 농림수산 자원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각 농가를 선진화 및 대형화하여 품질을 증진하고 생산량을 증대해야 하나, 베트남 농림수산 분야에 종사하는 80%의 농어민은 1헥타르 미만의 면적을 차지한다고 밝혔다. 농림수산 분야 종사자가 소규모로 파편화된 현재의 1차 산업 형태는 균일한 품질의 우수 농림수산물 생산을 제한하는 가장 큰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2022 3월 기준 농림어업분야에 대한 투자는 총투자 자본의 5.69%에 불과하여, 2차 산업 대비 턱없이 부족한 투자 규모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베트남의 농림수산 분야 시장 정보 및 분석 시스템은 아직 제한적이며, 검사, 감독 및 품질 관리가 제한되어 수출 품질에 영향을 끼치는 것도 베트남 농림수산업이 극복해야 할 과제 중에 하나라고 덧붙였다. 그는 베트남 정부가 기업 및 농가와 협력하여 특산품 생산 지역의 고품질 수출상품 가공에 투자하고 독자 브랜드를 개발함과 동시에, 인증제도를 단순화 및 구체화하고 수출 기준에 부합하도록 독려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처럼 다양한 한계가 존재하지만, 베트남 정부는 기관, 현지 기업, 외국인 투자자 및 국제기구와 협력하여 농림수산 분야의 고질적인 문제를 타파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다음 편에서는 마지막으로 베트남 농림수산업의 최신 동향과 국제협력 동향, 외국인 투자자를 위한 인센티브 및 기회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공동 작성: Truong Thi My Duyen

자료: 베트남통계청(GSO), 베트남 농업농촌개발부(MARD), 베트남 기획투자부(MPI), 미국 농무부, Fitch Solutions, VCCI, Grandthornton, Vietnam Briefing KOTRA 하노이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농업농촌발전전략을 통해 살펴본 베트남 농업의 미래)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