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철강산업을 통해 본 한국-파키스탄 FTA 체결 필요성
  • 통상·규제
  • 파키스탄
  • 카라치무역관 손수윤
  • 2015-04-20
  • 출처 : KOTRA

 

철강산업을 통해 본 한국-파키스탄 FTA 체결 필요성

- 한국의 시장점유율 하락…중국은 시장점유율 45% 유지 및 지속 상승 -

 

 

 

□ 파키스탄 철강산업 현황

 

 ○ 파키스탄 연 철강수요는 700만 톤가량. 이중 국내 공급가능 물량은 전체 소요물량의 50%인 350만 톤 정도로, 350만 톤가량을 매년 수입에 의존

  - 특히 생산기술문제로 고급 강에 대한 파키스탄 국내 공급여력이 부족해 수입의 대부분은 고급 강임.

 

 ○ 주 수입국은 한국, 중국, 일본이나 최근 엔화 및 루불화의 약세로 일본 철강 공급 증대. 러시아도 시장에 진입 중

  - 중국은 2007년 발효된 파-중 FTA에 따라 최근 수년간 급격하게 시장을 늘려가고 있음.

  - 이 사이에 한국이 끼어 많은 시장을 잠식당하고 있음.

     

□ 파키스탄 주요 철강업체 현황

     

 ○ 파키스탄에는 약 15개사의 철강 생산공장이 있음.

  - 일관밀 업체로는 Pakistan Steel Mill이 유일하며, 국영기업으로 재부상태가 매우 불건전해 공장가동률이 낮음.

  - 재압연공장으로는 ASML, ISL, Ittefaq Sons Ltd, Amreli Steel, Siddiqsons TP Ltd 등이 있음.   

 

□ 파키스탄 주요 철강 수입국 현황

 

  파키스탄 연도별 철강 수입현황

 

HS Code : 7208, 7209, 7210, 7211, 7212, 7213, 7214, 7215, 7216, 7217, 7218, 7219, 7220,

 7221, 7222, 7223, 7224, 7225, 7226, 7227, 7228, 7229

#

국가

2011~2012

2012~2013

증감률

2013~2014

증감률

1

한국

    97,363,358

      87,617,570

-10.1

    65,181,616

-26

2

일본

  184,897,274

   231,442,160

23.9

  146,837,061

-36

3

중국

  295,603,305

   330,486,440

11.8

  459,998,000

39

자료원:파키스탄 관세청

  

 ○ 중국은 계속 증가하고 일본은 변동폭이 있으며 한국은 지속적인 감소 추세

 

 ○ 일본도 파키스탄과 FTA 체결국가는 아니지만 기술력을 앞세운 고급강재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냄. 파키스탄 국내 수요에 따라 변화가 있지만 한국보다 배 이상의 시장점유율을 보임.

 

 중국은 FTA 체결로 한국, 일본보다 낮은 관세율로 꾸준히 시장점유율을 큰 폭으로 넓혀가고 있음.

 

□ 한-파 FTA 체결 필요성

 

 ○ 현재 철강 수요 증가 둔화에 한·중의 설비 증설로 공급과잉 확대, 신수요처 필요

  - 한국의 조강 생산량은 2010년 5900만 톤에서 2020년에는 8000만 톤으로 증가할 전망

  - 중국도 2010년 6억3900만 톤에서 2020년에는 8억 톤으로 증가할 전망

  - 세계 최대 공급과잉 국가인 중국의 저가수출로 한국 시장은 이미 중국의 잉여물량을 처리하는 저가시장으로 변질됨. 한국 철강산업은 수익성 만회를 위해 자동차 강판 등 고수익 제품의 수출활로 확대 필요

  - 연평균 내수증가율이 한국은 1.2%, 중국은 1.8%

 

  중국, 인도·파키스탄 등 서남아시아와 이란 등으로 철강수출 증가 지속

  - 파키스탄 철강 수입시장 350만 톤 중 중국산이 절반에 가까운 160만 톤 차지

  - 중국은 파키스탄과의 FTA를 활용해 2012년 이후부터 집중적으로 파키스탄 시장에 진출

     

  일본 또한 엔저를 바탕으로 파키스탄 수출을 증가시키고 있으며, ODA 공여국으로서 투자기업이 상대적으로 많은 상황에서 철강에 대한 용도별 면세를 확보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무관세 수출이 가능한 분야도 있음.

 

 ○ 철강제품은 민감품목 분류로 FTA를 통해 중국수준의 양허조건을 확보하지 않으면 시장확대는 고사하고 점차 중국 제품에 잠식당할 확률이 매우 높음.

 

 ○ 한국은 여러 조건에서 경쟁국과 불리한 상황에 있음. 기술력의 일본, 가격경쟁력의 중국에 더해 최근 철강 순수출국으로 돌아선 인도까지 잠재적인 경쟁국임.

 

 ○ 한-파 FTA 체결은 파키스탄 시장에서 이렇게 불리한 상황을 상당 부분 개선해 줄 것으로 기대됨.

 

 

자료원: KOTRA 카라치 무역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철강산업을 통해 본 한국-파키스탄 FTA 체결 필요성)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