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EU 전력통합 가속화, 우리 전력기자재 기업에는 비관세 장벽될까?
  • 통상·규제
  • 헝가리
  • 부다페스트무역관 양효준
  • 2014-06-30
  • 출처 : KOTRA

 

EU 전력통합 가속화, 우리 전력기자재 기업에는 비관세 장벽될까?

- 역내 에너지시장 단일화로 공급 안정과 가격 안정 도모 -

- 전력표준 통일화로 비관세장벽으로 작용 -

 

 

 

□ 배경

 

 ○ EU의 '에너지시장 단일화'는 1996년부터 오랫동안 추진한 정책과제 중 하나로 에너지 공급 안정, 규모의 경제 실현, 인프라 투자 촉진, 에너지 안보 확보를 목적으로 함.

  - 에너지 공급 안정: 역내 '기존 에너지원에 대한 공급 안정성'을 확보해 역내 에너지시장을 안정화시키려는 목표

  - 에너지 가격 안정: 이러한 정책의 궁극적 목표는 EU가 물리적으로 단일 에너지시장 정책을 추진해 규모의 경제 실현을 촉진하고 에너지비용을 낮춰 에너지 효율성을 제고할 뿐만 아니라 관련된 투자를 촉진하는 것임.

  - 인프라 투자 촉진: 에너지시장 통합화를 위해서는 국가별로 전력, 가스망을 연계하는 에너지망(interconnertor)이 필요하며 시장 통합으로 에너지망 구축에 투자가 촉진돼야 함.

  - 에너지 안보 확대: 화력 에너지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천연가스의 경우 러시아에 의존하며 에너지시장 통일 시 효율성 성장으로 천연가스 의존도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함.

  - 에너지제도 통합: 에너지시장 통합을 위해 EU 각국의 에너지 제도를 통합하고 에너지시장 표준화를 통해 추후 신재생 에너지 수출 등을 EU 역외로 확대하려는 전략적 목적

 

  

 

 ○ 2014년 2월 유럽 15개국의 전력 공동경매(Market Coupling)가 시행됨.

  - 이는 전 EU의 에너지시장 통합을 위한 파일럿 프로젝트이며 EU 에너지시장 통합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됨.

  - 공동 경매시장으로 시장동조화를 도모하는 의미에서 EU의 전력 공동경매를 'Market Coupling'이라고 명시

 

□ Market Coulpling(EU 전력 공동경매) 주요 내용

 

 ○ 주요 내용

  - 유럽은 2006년부터 에너지시장 단일화를 위한 중간 단계로 유럽을 7개 지역으로 나눠 지역별 에너지시장 통합을 추진

  - 2014년 2월에 위의 지역분류 주 CWE(서유럽), North Europe(북유럽), Baltic(발틱)의 15개 국가를 대상으로 전력공급계약을 위한 하루 전 전력시장* 첫 공동 경매가 실시됨. 유럽의 전력 관련업체가 자국이 아닌 15개 국가를 대상으로 전력 공급 계약을 따낼 수 있는 경매 시스템

  * 에너지시장은 하루 전 시장(Day-ahead Market)은 다음날 전체적으로 소비될 전력량을 예상하고 발전소들의 전기를 경매해 송전용량(Transmission Capacity)를 사들임.

  - 참여 15개국: 오스트리아, 벨기에, 덴마크, 에스토니아, 프랑스, 핀란드, 독일,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룩셈부르크, 노르웨이, 네덜란드, 폴란드, 스웨덴, 영국임.

 

유럽 지역별 에너지시장 통합(7지역 구분)

자료원: EMCC

 

 ○ 주요 성과: 전력 15개 국가를 대상으로 표준화가 이뤄지면서 업체는 비용을 줄여 더 큰 시장을 확보

  - 시장이 통합되기 전에도 전력매매 기업들은 다른 국가로 전력을 판매할 수 있었으나 송전망 확보 및 경매를 위해 이중비용을 지불해야 했으며 국가별로 관련 법도 상이했음. 국경 간 송전량이 PX에 의해 바로 쓰여져 가격에 거품이 있을 수 있음.

  - 이번 EU 전력 공동경매로 회원국 간 전기요금 격차가 줄고 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임.

  * 2014년 2월 기준으로 같은 EU 회원국이지만 독일의 전기요금은 1㎿(1시간) 당 35.39유로인 반면, 영국은 53.88유로 수준으로 가격차를 보임.

 

□ 전력시장 단일화 전망

 

 ○ 오는 5월에 Market Coupling에 스페인, 포르투갈도 참여

 

  그리스, 슬로베니아는 연말에 참여할 예정

  - 당초 목표 연말까지 28개국의 EU 모든 국가가 참여하지는 못할 것임.

 

□ 우리기업에 미치는 영향

 

 ○ 헝가리의 경우 Market Coupling에 참여하지 않으나 중동부 유럽 지역통합에는 참가가 예상되며 이로인한 에너지시장 통합은 가속화될 것

 

 ○ 현재 유럽 전력시장의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는 송전망을 통해 복잡하게 연결돼 생기는 송전망 요금의 국가별 차이임. 시장단일화를 위한 Interconnetor 프로젝트를 발주할 때 EU 기금의 활용으로 EU 역내 기업에 입찰서류 참가 시 자국언어로 제출해야 하는 등 역내 기업의 보호를 위한 조치가 취해질 가능성이 높음.

 

 ○ 또한, 송전망 표준이 다시 재정립될 것이며 이러한 표준 변경이 interconnector 전력기자재 납품을 준비하는 우리 기업에 무역장벽으로 적용됨.

 

 우리 기업 L사와 인터뷰 결과, 우리나라 전력자재 기업들의 경우 아직 헝가리에 진출한 기업이 없으며, 국경간 송전탑 프로젝트 경우, 현재도 우리나라 기업의 경우 Pre Qualification (사전자격심사)자체를 통과하지 못할 정도로 유럽내 서유럽 기관들에게 유리한 ;보이지 않는 장벽'이 있는 실정. 금번 전력통합이 가속화되면서 서유럽 전력기업들의 사전 정보입수, 프로젝트 사전 대비 등은 심화될 것으로 우리나라 기업에 대한 진입 장벽은 더욱 커질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자료원: 블룸버그, EMCC, ACER(에너지규제기구협력정), ECC, PLATTS, N  -SIDE, KOTRA 부다페스트 무역관 자체 조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EU 전력통합 가속화, 우리 전력기자재 기업에는 비관세 장벽될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