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사우디, 공사대금 지급 정상화 예정
  • 현장·인터뷰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Osama Alhajouj
  • 2016-03-22
  • 출처 : KOTRA

 

사우디, 공사대금 지급 정상화 예정

     

 

 

□ 정보 개요

     

 ○ 사우디 정부는 지난해 10월 이후 지급지연 사태를 겪었던 정부발주 공사에 대한 대금을 3월 이후 점진적으로 정상 지급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함. 이에 따라 그동안의 지불유예 사태가 해소될 전망임.

     

  사우디는 올해 중에 각종 프로젝트 실행비용으로 약 480억 달러에 달하는 금액을 지급함으로써 건설분야의 자금 경색 해소와 건설경기 활성화를 유도할 계획임.

 

  사우디 정부는 지난해 10월 저유가로 인한 재정압박이 심해지자, 2015년 중 프로젝트 신규발주 및 계약 체결금지 훈령을 발표함. 이에 따른 공사대금 지급도 지연시켜 현재까지 약 100억 달러에 달하는 금액이 지급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됨.

 

  익명의 은행 관계자에 따르면, 정부의 지급방침 천명 이후에도 지연된 대금지급이 이뤄지지 않고 있으나 주요 프로젝트 실행자들에게는 향후 대금지급 계획이 통보됐으며, 3월 이후 점진적으로 지불될 계획이라고 설명

     

  다만, 사우디 재무부나 관련 부처는 향후 대금지급에 대해 분명한 일정은 밝히지 않고 있으며, 부수적인 조건을 문제 삼아 대금 지급을 지연시키거나 삭감 지급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힘.

     

  사우디는 2014년 11월부터 시작된 저유가로 인해 국가재정 수입이 고유가 시기에 비해 2/3 수준으로 급감해 재정적인 어려움에 직면함. 2015년 사우디는 국가재정의 73%인 4445억 리얄(약 1185억 달러)을 원유 수출을 통해 창출했으며, 이는 전년대비 23%가 감소된 수치였음.

     

  반면에 프로젝트 발주와 같은 국가 재정지출은 당초 예산 계획에 비해 13.4%나 초과한 9750억 리얄에 달해(약 2600억 달러) 재정적 압박이 가중되자, 신규 프로젝트의 발주와 계약 금지 및 기존 프로젝트에 대한 지불유예 결정을 취한 바 있음.

     

□ 심화되는 재정적자

     

  사우디 정부는 2016년 예산안을 통해 올해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적자규모가 사우디 연간 GDP의 10.4%에 이르는 3262억 리얄(약 87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 이러한 이유로 사우디 정부는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 예산을 2015년 630억 리얄(168억 달러)에서 239억 리얄(63억7000만 달러)로 60% 이상 감소시켰음.

     

  그 결과, 수십억 달러를 상회하는 메가 프로젝트는 국채발행이나 기타의 방법으로 부족한 재원을 충당할 때까지 발주가 연기되거나 잠정적으로 보류될 예정이며, 실행에 시급성이 요구되지 않는 프로젝트의 경우는 발주 자체가 취소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임.

     

  현재 대부분의 사우디 은행들은 프로젝트에 대출해준 자금이 과도한 상태이며, 건설회사들 역시 과도한 채무부담으로 인해 신용등급에 적색경고가 켜져 현금 보유 및 지출에도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사우디 상의는 지난달 사우디 정부가 개입해 정부가 지불해야 할 공사대금을 관련 기업들에 명확하게 밝힐 것을 건의함. 살만 국왕에게 서신을 보내, 상당수 기업들이 6개월 이상 공사대금 지불을 받지 못한 현 상황이 길어질 경우 부도나 영업중단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며 정부의 대금지급 조치를 촉구함.

     

  현재 가장 심각한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은 사우디 빈라덴 그룹(Saudi  Binladen Group)으로, 주로 관급공사를 수행하면서 적기에 대금지급을 받지 못해 4개월째 약 2000명의 엔지니어와 사무직원들의 급여를 지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사우디 정부는 부족한 재원의 조달 방안으로 ① 국채발행을 통한 예산 확보 ② 국제금융을 통한 융통 ③ 정부 보유 펀드 및 기금 활용 ④ 민간은행 자금 대출 등 다양한 부족예산 보충방안을 강구하고 있으나, 이들은 정부재정에 부담을 주는 행위라 많은 제약이 따를 것으로 보임.

     

□ 잇따르는 민간 기업의 정리해고와 인원 감원

     

  올해 들어 임금체불과 관련 노동자들의 항의 시위도 잇따르고 있음. 특히, 빈라덴 그룹의 노동자들은 지난달 메카에서 항의시위를 벌였으며, 노동부의 중재로 노사간 합의를 도출했음.

     

  노사가 합의한 내용은 노동자들은 체불임금을 수령하기 전에라도 회사를 떠날 수 있으며, 다른 기업으로의 스폰서를 변경할 수 있도록 조치함.

     

  빈라덴 그룹은 조만간 약 1만5000명의 노동자를 해고할 예정이며, 그 중에서도 건축과 프로젝트 건설부문의 노동자들을 집중 정리해고할 방침으로 알려졌으나, 현재까지 정확한 해고자 수는 밝혀지지 않고 있음.

     

  이 기업은 그룹의 모기업인 Construction Products Holding Company(CPC)에서 약 8000명의 인원을 제다공항 건설현장으로 보직 이동시켰으며, 이 외의 인원들은 해고조치를 단행한 것으로 알려짐.

     

  또 다른 대기업인 Oger사는 하청업체와 기자재 공급업체들에 대금지급 일정을 조정했으며, 소속 종업원들에 대한 급여지급 역시 지체상태이나 자체적인 해결방안을 강구 중인 것으로 추측

     

  건설분야의 대기업들의 재정상의 문제는 중소기업과 하청업체들에 전이되고 있으며, 기자재 납품업체, 원료 공급업체 등 관련 업체들로 부정적인 영향이 확산되고 있어 저유가로 인한 건설부문의 체감 경기는 갈수록 악화될 것으로 보임.

     

□ 시사점 및 평가

     

  사우디는 정부가 경제의 주도권을 가진 국가로, 정부의 비중이 전체 경제행위의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음. 저유가로 정부부문의 재정악화의 영향은 민간 분야에 막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밖에 없어 향후 사우디 건설 분야의 경기 부진과 민간 경제의 위축이 우려되는 상황

     

  정부는 예산 조달상의 문제로 프로젝트의 발주를 저유가가 해소되는 시점까지 연기하거나 취소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우리 기업들이 사우디에서 신규 프로젝트를 수주하는 것은 더욱 어려운 과제가 될 것으로 보임.

     

  전력, 담수, 교통, 신규 수입 창출 프로젝트 등은 국민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수적인 분야라 사우디 정부 역시 열악한 재정상황에서도 우선순위를 부여해 실행해야 하는 상황. 이 분야의 프로젝트를 민관공동개발(PPP)이나 민자개발(IPP) 방식으로 추진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임.

  

  최근 사우디 전력청의 CEO는 공관과의 면담에서 사우디 전력청 입장은 민관공동개발이나 민자개발을 선호하지는 않으나 사우디가 직면하고 있는 상황이 이들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으므로, 우리 기업들의 보다 적극적인 민자개발 참여와 사업 제안을 기대한다고 밝힘. 우리 기업들이 이러한 저유가 위기를 적절하게 활용할 경우 좋은 사업 기회와 프로젝트 수주 기회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됨.

 

 

자료원: Meed, 2016년 3월, 사우디 재무부 자료, Arab construction 및 KOTRA 리야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사우디, 공사대금 지급 정상화 예정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