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캄보디아 쌀 산업의 현재와 미래
  • 트렌드
  • 캄보디아
  • 프놈펜무역관 백종길
  • 2015-12-31
  • 출처 : KOTRA

     

캄보디아 쌀 산업의 현재와 미래

- 세계적으로 품질을 인정받은 가능성 있는 캄보디아 쌀 -

- 도정시설과 재원 부족, 낮은 생산성은 당면 해결과제 -

     

     

     

□ 캄보디아 쌀 시장 개황

     

 ○ 캄보디아는 전체 인구의 약 70%가 농업에 종사할 만큼 1차 산업 중에서도 농업의 비율이 가장 높으며, 농업은 GDP의 약 26%를 차지함.

  - 전체 농업 종사자 중 약 64%가 쌀 생산에 종사하고 있음.

  - 하지만 캄보디아는 전통적으로 식품 수입국가의 이미지가 커서 투자자들이 쌀 산업에 투자하는 규모가 크지 않음.

     

 ○ 2014년 11월 20일, 프놈펜에서 열린 세계 쌀 대회에서 캄보디아산 향미(Jasmine Rice/ Fragrant Rice)가 3년 연속으로 세계 최고의 쌀로 선정됨.

  - 캄보디아의 향미는 고급 쌀이라 인식되는 캘리포니아산 Rose Rice와는 다른 향미를 인정받아 인기가 높음.

     

 ○ 캄보디아의 쌀(HS Code 1006) 주요 수출 국가는 말레이시아, 프랑스, 폴란드, 네덜란드, 중국, 영국 등이 있음.

  - 2013년 캄보디아의 대말레이시아 쌀 수출은 전년대비 약 112.7% 증가한 약 4620만 달러를 기록했고, 반면 수입은 약 62.4% 감소한 약 600만 달러를 기록함.

  - 2013년 캄보디아 쌀 수출량은 약 38만 톤으로 전년대비 약 87% 증가함.

  - 2015년 11월까지 캄보디아 쌀 수출량은 약 45만6000톤으로 전년대비 약 18% 증가함.

     

 ○ 쌀 수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도 2014년 수출량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함.

  - 이는 캄보디아 내 도정시설의 부족과 도정업자들의 도정 벼 수매를 위한 재원조달의 어려움이 원인으로 판단됨.

  - 도정업자들 대부분의 재원 조달은 사금융을 통해 이뤄지며, 도정업이 채무불이행의 리스크가 높다 판단돼 대출이 쉽지 않음.

  - 이에 대부분의 캄보디아 쌀은 도정되지 않은 상태로 비공식적인 채널로 베트남, 태국 등으로 밀수되고 있음.

     

캄보디아 쌀 수출 동향(2011년~2015년 11월)

                        (단위: 톤)

기간

2011

2012

2013

2014

2015

1월

6,798

9,703

25,726

21,536

35,921

2월

5,089

14,417

24,089

27,037

37,676

3월

12,534

12,310

45,413

35,757

75,867

4월

17,946

15,036

23,276

35,961

51,719

5월

20,520

13,115

28,350

27,971

41,842

6월

17,990

13,426

29,105

29,666

40,800

7월

12,703

20,527

31,411

26,060

28,492

8월

20,404

15,530

29,358

29,871

29,819

9월

14,384

15,169

29,395

35,511

26,969

10월

19,067

16,864

28,031

35,418

39,064

11월

9,559

25,189

37,855

31,137

48,748

12월

44,905

34,328

46,847

51,136

-

합계

201,899

205,614

378,856

387,061

456,917

자료원: Oryza Cambodia

     

□ 캄보디아산 쌀 수출 신흥국가 중국

     

 ○ 캄보디아와 중국 간 위생검역(SPS) 프로토콜을 개발해 보다 많은 캄보디아 농산물이 수출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중국은 유럽연합에 이어 캄보디아 쌀의 핵심적인 시장이 될 것으로 기대됨.

     

 ○ 2015년 2월, 쌀 도정업체이면서 수출업체인 캄보디아의 QC Rice사는 중국의 Rizhao Rui Energy Trading사와 쌀과 농기계의 무역을 성사하는 양해 각서를 체결함.

  - 이 중국 업체는 연간 약 25만 톤의 쌀을, 캄보디아 업체는 연간 약 4억 달러의 농기계를 각각 수입하기로 했음.

 

 ○ 2015년 캄보디아의 대중국 쌀 수출 쿼터는 10만 톤으로, 캄보디아 정부는 장기적으로 이 쿼터를 두 배로 늘리길 희망하지만 일단 2016년에는 10만 톤 쿼터 연장에 합의함.

  - 캄보디아의 대중국 수출은 전년대비 2014년 약 75%, 2015년 약 88% 성장하는 등 급속한 성장세를 나타냄.

  - 중국의 캄보디아산 쌀 수입 증가세의 원인은 캄보디아산 쌀의 우수한 품질뿐만 아니라 양국간 우호적인 관계 때문이기도 함.

 

 ○ 중국으로의 쌀 수출 증가세로 미루어보아, 향후 캄보디아의 대중국 쌀 수출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현재 캄보디아가 유럽연합의 특혜관세(Everything But Arms; EBA) 수혜를 통해 수출을 진행하고 있지만, 앞으로 영구적인 특혜는 진행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음.

  - 이에 반해, 중국으로의 수출량 증가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여 앞으로 캄보디아 쌀 수출의 정책적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됨.

     

 ○ 중국 소비자들의 선호가 보다 고급스러운 유기농 쌀로 변모하고 있음. 쌀 수출을 늘리기 위해서는 현재 캄보디아의 주요 수출품목인 저렴한 쌀 생산에서 벗어나야 할 필요가 있음.

  - 도정기계 투자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는 캄보디아 도정공장협회 측은 "2015년 쌀 수출 목표 달성 여부는 생산되는 쌀의 품질을 얼마나 높이느냐에 달려있다"고 밝힘.

  - 뿐만 아니라 고급 품질의 쌀은 생산자, 수출업자 모두에게 더 많은 이윤을 창출할 수 있음.

  

캄보디아 쌀 수출 상위 5개국(2013년~2015년 11월)

                        (단위: 톤)

2013

2014

2015(~11월)

중국

28,302

48,980

91,883

프랑스

57,308

70,077

64,779

폴란드

28,302

55,938

50,562

말레이시아

51,823

48,120

48,572

네델란드

29,699

32,024

30,967

자료원: Oryza Cambodia

     

□ 캄보디아 쌀 시장의 당면과제

     

 ○ 캄보디아의 쌀 산업은 재배 경작지의 규모 문제와 생산성의 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음.

  - 아시아개발은행(ADB)의 조사에 따르면, 캄보디아의 쌀 단위면적당 평균생산량이 동남아시아 국가 중 최하위를 차지하고 있음.

 

 ○ 캄보디아에는 100여 개의 도정공장이 있지만 대개 태국이나 베트남 등 인근 국가의 벼 수매업자와의 경쟁에서 밀려 도정용 벼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는 실정

  - 물류비용과 부족한 인프라 시설 등으로 인한 높은 제반 비용이 문제가 됨.

  - 또한 수출용 벼를 저장할 자본이 부족해 벼가 인근 국가로 유출되고 있으며, 농민들은 수확시기 동안 금융이자의 급증 현상을 겪음.

  - 세계은행은 캄보디아는 도정시설 부족으로 영농기술이 낙후하고, 상대적으로 운송비용이 높기 때문에 2015년 쌀 수출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고 보고한 바 있음.

 

캄보디아 바탐방 지역의 도정공장

자료원: 구글 이미지

 

 ○ 캄보디아 중소기업협회(SMIA)는 자국 내 도정업자들이 벼 수확기를 맞아 벼 수매자금으로 최대 총 7억2000만 달러의 자본이 필요하다고 발표함.

  - 상업은행과 제2금융들은 현행 8억 달러선의 농업 대출도 10억 달러선으로 증가해야 한다고 지적함.

  - 일반적인 규모의 캄보디아 도정공장은 시간당 2~6톤을 도정할 수 있어 공장당 5~7만 달러의 벼 수매자금이 필요함.

  

 ○ 상업화를 위해선 캄보디아가 도정시설 등과 같은 설비 투자에도 재무적인 진전이 있어야 하며, 농지의 토지소유권과 정부의 기술개발 등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판단됨.

  - 캄보디아 농업 전문가 측은 정부가 농업 현안 중 도정 및 관개 등 농업 기술력 확보를 최우선으로 추진해야 할 것으로 지적함.

 

□ 시사점 및 전망

 

 ○ 캄보디아 연간 쌀 수출액의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도정 쌀의 수출은 증감을 반복하고 있음. 이를 통해 캄보디아 내 건조저장시설 및 도정시설의 지역별 부재 또는 부족을 확인할 수 있음.

  - 캄보디아 농업전문가 및 아시아개발은행(ADB)측도 캄보디아의 도정 쌀을 포함한 쌀 수출의 증대와 쌀 시장 발전을 위해서 도정시설 등과 같은 설비 측면의 문제를 큰 과제로 지적함.

     

 ○ 캄보디아 농림수산부는 2014년, 2015년 쌀 생산 100만 톤 목표 달성을 위해선 현대화된 도정기계에 대한 추가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밝힘.

  - 이에 한국 기업들은 도정 산업으로의 진출과 투자뿐만 아니라 도정관련 기계 등의 수출 또한 고려해볼 필요가 있음.

  - 쌀 도정업은 캄보디아 정부의 숙원 사업인 만큼 한국인 투자자들에게도 매우 매력적이며, 수익성 또한 높을 것으로 기대됨.

     

 ○ 쌀 수출국기구 구성 주도 및 인허가, 법률 및 세제지원 정책 등으로 캄보디아 정부가 적극적인 농업 근대화 의지를 보임. 그러나 자금 부족이 농업 발전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음.

  - 캄보디아 정부의 적극적인 개혁의지로 미루어보아, 한국 기업들이 캄보디아 쌀 시장에 자금을 지원한다면 훗날 이익을 남길 수 있을 수 있을 것이라 짐작

     

 ○ 캄보디아 농림수산부(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AFF)는 2015년 11월 ASEAN국가 간 파트너십 강화를 통해 포괄적이고 지속 가능한 밸류체인 형성을 주장함.

  - 이를 통해 농업 종사자들이 국제시장에 보다 효율적으로 접근해 합리적 시장가격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라 주장함.

  - 이는 훗날 쌀 산업의 ASEAN 지역 연계화가 공고화 될 수 있을 가능성을 시사

     

자료원: The Phnompenh Post, Oryza Cambodia, ADB 및 KOTRA 프놈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캄보디아 쌀 산업의 현재와 미래)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