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유아용 분유시장 동향 및 진출전략
  • 트렌드
  • 중국
  • 선양무역관
  • 2014-02-28
  • 출처 : KOTRA

 

중국 유아용 분유시장 동향 및 진출전략

- 單獨二孩 정책으로 인해 중국 유아 인구 대폭 증가 예상 -

- 분유 시장 매년 10~20% 성장 -

 

 

 

□ 중국 유아용 분유시장 현황

 

 ○ 중국 유아용 분유 시장규모는 약 600억 위안에 달하며, 연간 10%가 넘는 고속성장을 유지하고 있음.

  - 현재 중국은 미국에 이어 세계 제2의 분유 소비시장으로 부상하고 있음.

 

중국 유아용 분유 시장규모 현황

(단위: 억 위안)

자료원: 中國産業硏究報告

 

 ○ 중국은 2014년부터 ‘한 자녀 정책’을 완화한 ‘단독 두 자녀(單獨二胎)’ 정책을 전면 시행한다고 밝혔으며, 이 정책의 도입은 중국 분유시장 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 중국은 연간 1700만 명의 신생아가 태어나며 0~3세 영유아의 수는 6900만 명에 달함.

 

중국 연간 신생아 현황

(단위: 만 명)

자료원: 중국국가통계국, 騰訊財經

 

 ○ 전문가에 따르면, ‘단독 두 자녀’ 정책 시행으로 중국에서 매년 200만~300만 명의 신생아가 더 늘어나 연간 신생아 수가 18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 이에 따라 2017년 말까지 ‘단독 두 자녀’ 정책 도입으로 유아용 분유시장의 규모는 연간 160억 위안이 추가될 것으로 전망됨.

 

 ○ 2013년 말 기준 중국 유아용 분유기업은 128개사에 달하며, 유아용 분유 브랜드는 500여 개가 있음.

 

 ○ 중국유제품협회에 따르면, 2013년 중국 기업의 유아용 분유 생산량은 70만 톤으로 전년 대비 15% 증가함.

  - 상위 15개 중국 브랜드의 분유 생산량은 전체 생산량 중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 중국 분유업체는 M &A를 통한 대형화 재편에 주력함.

  - 멍뉴(蒙牛), 승위안(聖元) 등 중국의 대표적인 분유 기업들은 2008년 멜라민 파동 사건으로 큰 타격을 받았으며, 외국 브랜드가 이를 기회로 중국 고급 유아용 분유시장을 독차지했음.

 

 ○ 중국 분유업체들은 기업 간 인수합병, 대대적인 홍보활동, 해외 원유 생산기지 구축 등 다양한 자구책을 모색하고 있음.

  - 성위안(聖元)은 중국 분유업체인 위잉보스(育□博士)를 인수하고, 위잉보스에 대한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단행한다고 밝혔으며 프랑스에 7억 위안을 투자해 연간 생산량 10만 톤 규모의 분유생산 공장을 설립함.

  - 멍뉴(蒙牛)는 유아용 분유시장에서의 약세를 보완해 시장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중국 분유업체인 야스리(雅士利)를 인수

  - 식품회사인 캉스푸(康師傅)는  일본 4대 분유기업인 와코도와 손잡고 분유판매에 진출함.

  - 분유시장을 떠났던 신시왕(新希望) 그룹은 뉴질랜드 Synlait Milk와 손잡고 분유 판매를 재개함.

 

□ 유아용 분유 수입 현황

 

 ○ 2008년 이후 중국기업의 식품안전 사건들이 잇따라 발생해 소비자들이 중국산 제품에 대한 불신으로 분유제품 수입 수요가 급증함.

 

 ○ 2013년 중국의 유아용 분유 수입량은 12만3000톤, 14억8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각각 34.2%, 41.0% 증가

중국 유아용 분유 수입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자료원: 중국세관

 

 ○ 주요 수입국으로는 네덜란드, 뉴질랜드, 싱가포르, 프랑스, 아일랜드 순이며 한국은 8위임.

 

중국 유아용 분유 주요 수입국 수입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

2011년

2012년

2013년

수입액

증가율

수입액

증가율

수입액

증가율

1

네덜란드

124

254.4

242

95.1

331

36.6

2

뉴질랜드

161

10.4

190

18.5

259

36.0

3

싱가포르

303

-14.9

221

-26.8

236

6.6

4

프랑스

102

202.7

137

34.6

188

37.4

5

아일랜드

30

211.3

82

169.6

129

58.3

6

덴마크

46

135.0

42

-8.7

81

93.9

7

호주

35

28.4

40

11.9

76

91.8

8

한국

21

127.3

31

46.3

53

69.4

자료원: 중국세관

 

□ 경쟁동향

 

 ○ 중국산 제품 품질에 대한 불신으로 고가 수입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조사에 따르면, 58.6%의 소비자가 수입 분유제품 선호함.

 

중국 소비자 유아용 분유제품 선호 현황

자료원: 騰訊財經

 

 ○ 특히, 고소득층 소비자들은 수입 분유에 대한 선호도가 높고, 품질이 좋으면 기꺼이 고가 제품을 구매하려는 성향이 높음.

  - 월소득 2만 위안 이상 가정 중 70.2% 수입 분유 선호

 

 ○ 시장점유율로 보면 중국 분유시장에서 수입 브랜드가 절대적인 우세를 차지하고 있음.

 

브랜드별 시장점유율

            (단위: %)

순위

브랜드

원산지

시장점유율

1

Mead Johnson

미국

12.3

2

Dumex

프랑스

11.7

3

Wyeth

미국

11.0

4

Begin Mate

중국

8.7

5

Abbott

미국

7.7

6

Yili

중국

6.7

7

Biostime

프랑스

5.7

8

Yashili

중국

4.5

9

Shengyuan

중국

3.9

10

Nestle

스위스

3.7

 

기타

 

24.1

자료원: AC닐슨

 

 ○ 상위 10개 유아용 분유업체 중 수입브랜드가 6개이며, 중국 분유시장의 50% 이상을 점유 중임.

  - 특히 상위 3위 브랜드는 모두 수입브랜드이며, 중국 브랜드의 시장점유율은 훨씬 뒤떨어짐.

 

분유 가격대별 점유유율 현황

가격대

시장점유율

고급(300위안 이상/통)

9%

중고급(200~299위안/통)

42%

중급(150~199위안/통)

29%

중저급(100~149위안/통)

16%

저급(100위안 이하/통)

4%

자료원: 中國産業信息網

 

 ○ 수입 브랜드는 유아용 분유 시장을 입체적으로 장악하고 있음.

  - 수입 브랜드 가운데 Mead Johnson, Dumex, Wyeth 및 Abbott는 한 통당 150위안 이상 가격대의 고급 분유와 60~120위안의 중저가 분유 상품을 고루 갖추고 있으며, Nestle는 중저가 제조분유를 주력상품으로 내놓고 있음.

  - 수입 브랜드는 중국 중·고급(통당 가격 200위안 이상) 유아용 분유시장의 80% 이상을 차지하며 Mead Johnson(25%), Wyeth(20%), Dumex(12%) 3개 브랜드의 고급제품은 중·고급 유아용 분유시장의 50% 이상을 점유 중

 

 ○ 안전성 및 품질은 소비자가 분유 구매 시 주요 감안요소임.

 

주요 감안 요소

자료원: 騰訊財經

 

□ 유통구조

 

 ○ 한국과 달리 중국 유아용 분유의 유통구조는 느리고 복잡함.

 

중국 수입분유 유통구조

 

 ○ 수입 분유 제품은 제조공장에서 대리상, 성급 도매상, 구, 현급 도매상을 거쳐 백화점, 대형슈퍼마켓 등 주요 소매채널로 유통됨.

 

 ○ 최근 들어 온라인(인터넷)도 중요한 분유 소매채널로 부상됨.

 

□ 한국제품 진출 현황

 

 ○ 2013년 한국에서 수입한 유아용 분유는 53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69.4% 증가.

 

중국의 대한국 유아용 분유 수입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자료원: 중국세관

 

 ○ 최근 한류 영향으로 한국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고 있음.

  - 아시아산 분유가 동양인 체질에 잘 맞는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한국제품에 대한 선호도 증가

  - 롯데푸드, 남양유업과 매일유업은 중국 유아용 분유시장 공략에 나섬.

  - 이 업체들은 한국 제품의 우수한 품질을 기반으로 중국 고급 프리미엄 분유시장을 개척하고 있음.

 

중국 진출 한국 업체 현황

 

 ○ 중국에서 한국 분유에 대한 평가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으나 전체 시장에서 한국 분유의 인지도는 여전히 낮은 편임.

 

□ 관세율 및 수입절차

 

 ○ 유아용 분유 수입관세는 5%, 부가가치세는 17%.

 

 ○ 수입 전 자동수입허가증(自動進口許可證)을 취득해야하며 중국 식품토축수출입상회(中國食品土畜進出口商會)에 사전 등록해야 함.

 

 ○ 식품유통허가증(食品流通許可證)을 취득하지 않은 유아용 분유 수입 및 유통업체는 영업이 불가능하므로 합작파트너가 허가증을 소지하고 있는지 사전에 확인해야 함.

 

□ 시사점

 

 ○ 최근 중국 유아용 분유시장은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산아제한정책 완화와 소득 향상을 고려하면 앞으로도 높은 성장세를 유지될 것으로 기대됨.

 

 ○ 식품안전 관련 이슈 등으로 소비자들은 중국 제품보다는 수입 브랜드를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함. 이에 따라 중국 기업에 신뢰를 회복하는 데 시간이 다소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 한국 분유에 대한 중국 소비자들의 관심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으나 한국 업체들은 아직 진출 초기단계로 시장 지배력은 아직 미미한 실정임.

 

 ○ 중국 분유 소비자들의 최대 관심이 안전성과 품질이라는 점에 착안, 한국 제품의 위생과 안전성을 집중 홍보할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됨.

 

 ○ ‘아시아인의 체질에 적합한 우유’라는 한국 분유의 특징을 내세워 기능의 차별화를 통한 시장진입이 효과적임.

 

 ○ 한편, 중국 시장의 원활한 진출과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서는 낮은 브랜드 인지도, 복잡한 유통구조, 외국 기업에 엄격해지는 중국 감독당국, 외국 기업 간의 치열한 경쟁 등의 어려움을 슬기롭게 극복해야 함.

 

 

자료원: 中國産業硏究報告, 중국국가통계국, 騰訊財經, 중국세관, AC닐슨, 中國産業信息網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유아용 분유시장 동향 및 진출전략)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