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수처리 현황 및 진출 방안 2
  • 트렌드
  • 중국
  • 난징무역관
  • 2013-06-09
  • 출처 : KOTRA

중국 수처리 현황 및 진출 방안(2)

- 산업정책, 지역별 상황 등 고려해야 할 리스크 많아-

 

 

 

오수처리산업의 기업 구조

 

 중국 오수처리산업 내 각종 기업을 소유제 형태로 분류하면 민영기업이 가장 많으며 국유기업, 합자 기업이 2, 3위를 차지함.

 

 

  - 등록 유형 기업별 자산은 국유기업이 39.15%의 최고의 비중을 차지했으나 2010년의 53% 대비 크게 하락했음. 주요 원인은 중국 오수처리산업이 정부 독점 시기에서 점차 개방적인 시장화로 발전하고 있는 단계로 국유자산이 여전히 주도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으나, 시장화 정도가 비교적 낮기 때문. 합자기업은 오수처리산업에서 영리 최고의 소유제 유형으로 자산이 17.03% 비중을 차지해 오수처리산업의 가장 우량 자산이 됐음. 민영기업은 기업 수는 가장 많으나 자산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아 규모의 경쟁력이 국유기업, 합자기업 대비 약함.

 

2011년 중국 오수처리산업 각종 등록 유형 자산 비중

자료원: 국가통계국

 

 2012년 중국내 가장 영향력 있는 수처리 기업

 

진출 시 고려해야 할 리스크

 

 산업 정책

  - 오수처리산업은 국가 정책으로 주도하는 산업으로 정책 추이가 산업 발전에 영향을 미침. 국가의 정책이 오수처리산업 발전의 주요 통제 요소로, 기업은 전체적인 산업 정책 추이를 면밀하게 주시하면서 지역별·기업별 개별 프로젝트들이 정책의 방향성에 부합하는지 검토해야 함.

 

 기술

  - 중국 정부가 오수처리기술에 대해 더욱 높은 요구를 제시하는 가운데 일부 기업은 새 표준의 요구에 도달하기 위해 공법의 선진화, 기술의 업그레이드를 진행함.

  - 현재 중국 오수처리산업의 자체 기술 수준은 낙후한 상태로, 기술 연구 개발에 자금 투입이 적고 국외 기술을 모방하거나 첨단 설비를 수입해 운영하는 기업이 다수

  - 중국이 개발도상국이고, 한국 대비 낙후됐다는 전제하에 과거 범용됐던 제품으로 진출할 경우 성공 가능성 낮음.

 

 가격

  - 중국의 물값은 중앙정부가 총괄 관리하며, 각급 지방 정부는 지역의 수자원 보유 정도, 경제발전 정도, 물가 상황, 오염 상태 등의 요인을 감안해 세부 사항을 확정함. 이러한 가격 제도는 지역별 안정적인 물값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오수처리산업에 있어서는 지역별 가격 조정 불균형의 리스크를 초래할 수 있음. 오수처리 가격 상승폭이 높은 지역의 경우 수처리 기업 이윤수준도 크게 상승하는 반면, 반대의 경우에는 기업의 이윤수준 및 발전가능성이 적어질 수 밖에 없음.

  - 오수처리산업의 가격 리스크는 장기적으로 존재하며 기업이 소재한 지역의 오수처리 가격 정책 및 미래 발전 추세를 고려해야 함.

 

 시장 경쟁

  - 중국 오수처리산업이 직면하고 있는 과제는 자금, 운영체재, 기술공법, 관리 경험 등을 어떻게 확보하느냐에 있음. 대다수 오수처리기업은 여전히 지방 정부의 지원을 받아 지역 범위 내에 운영되며 전 중국 범위 내에서 오수처리를 본업으로 하는 기업은 많지 않은 상태임.

  - 중국의 공공사업에 많은 해외 수처리 관련 기업과 투자 펀드가 적극적으로 참여함. 그중, 4대 거두기업인 프랑스 Suez Environnement, 파리 Veolia Water, 독일 Berlin, 영국 Thames Water Utilities Limited는 이미 중국에 진출해  프로젝트를 추진한 바 있음.

  - 2004년에 미국아태투자펀드(美太投基金)는 北京碧海行有限公司와 합자해 중국 오수처리사업에 참여했음. 글로벌 수처리 거대기업 및 자본은 오수처리산업의 기술 관리 실력과 자본 운영 경험으로 중국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의 오수처리산업 기업과 경쟁할 때 절대 우위를 차지하며 시장 내 경쟁은 날로 치열해짐.

 

 지역

  - 동남부 연해 대도시의 오수처리율이 전 중국의 평균 수준을 크게 상회하는 만큼, 처리시설 등도 상대적으로 완전한 것으로 평가됨. 이러한 지역의 경우 역내 경쟁력 있는 대형 기업이 경쟁대상이 될 수 있음.

  - 중국 서부지역은 경제 발전이 비교적 늦고 수자원이 부족해, 오수처리시설 건설이 동남부 지역과 대비 분명한 차이가 있음. 중국내에서 오수처리장이 가장 적은 칭하이성(海省)은 그 수가 3개에 불과해 1위의 장쑤성의 1/80에도 못미치고 있음. 칭하이, 닝샤, 간쑤 지역의 오수처리 능력은 평균 100만㎡/일 이하임.

  - 지역경제의 발전 상황, 지역 정책 지원 상황, 지역 공업 발전 상황, 지역 인구 상황, 지역 수자원 상황, 지역 오수처리산업 발전 상황, 지역내의 오수처리 기업의 경쟁 상황 등 방면을 전체적으로 고려해야 함.

 

 

자료원: 工控(공공망),中设备(중국수처리설비망),中(중국산업 연구망),中(중국수망),统计局(국가통계국),中(중국환경보), 金陵晚报(금릉만보), 水商圈(수상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수처리 현황 및 진출 방안 2)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