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영국 해상풍력 보조금 삭감, 전력・플랜트산업에는 기회
  • 경제·무역
  • 영국
  • 런던무역관 김성주
  • 2012-08-10
  • 출처 : KOTRA

 

영국 해상풍력 보조금 삭감, 전력·플랜트산업에는 기회

- 2017년까지 10% 삭감, 자본·인력 등 대체산업으로 눈 돌려 -

- 터빈 대신 해상플랜트, 송전설비가 수출활로 -

 

 

 

영국 해상풍력 개발지역

출처: 영국 왕실자산관리부

 

□ 개요

     

 ○ 영국 정부, 신재생 발전차액지원제도 개정하며 풍력발전 보조금 삭감 계획 공개

  - 7월 20일, 신재생 에너지 발전차액제도 개정안 발표

  - 영국 에너지기후변화부 DECC(Department for Energy and Climate Change), 7월 25일 풍력발전 보조금 삭감에 대한 재무부(HM Treasury)와의 이견을 좁히고 삭감규모를 확정했음을 발표

  - 8월 7일, 환경기업협회 EA(Environment Agency) 통해 업계에 공식 삭감계획 통보

  - 2017년까지 육·해상 포함 모든 풍력발전사업에 대한 보조금 10% 삭감 예정

     

 ○ 예견됐던 해상풍력산업 미래전망 악화, 현실화

  - 영국은 2010년 해상풍력 발전규모 1GW 달성으로 세계최고 해상풍력발전 건설 국가로 등극

  - 2011년 이후 과잉투자와 불안한 미래전망, 정부 지원중단 가능성 때문에 투자급감

  - 터빈가격 하락과 기술발전으로 인한 비용감소 예상하고 추진한 무리한 사업계획과 달리 비용감소가 거의 없어 사업성 악화

  - 2012년 초부터 기존 건설단지 향후 투자(FOI) 취소로 건설 중단과 신규사업 취소 등 현상 심화됨.

 

 ○ 풍력산업, 해상플랜트산업으로 대체될 전망

  - 풍력발전 보조금 삭감 가능성으로 수개월 전부터 신재생분야 펀드들이 풍력시장에서 자본을 회수, 향후 성장잠재력 높은 해상플랜트산업으로 이동 추세

  - 특히, 해상풍력발전단지 상당수가 북해와 같이 주 전력 수요처인 잉글랜드 남부에서 먼 환경에서 송전 인프라에 대한 투자는 미약해 해상송전 구조물, 수퍼그리그와 같은 해상플랜트 수요 성장 예상되므로 이 분야 전망이 밝음.

     

□ 영국의 해상풍력 발전시장

     

 ○ 해상풍력 시장규모와 현황

  - 영국은 해상풍력 열풍이 한창이던 2010년도에 이미 11개 해상풍력발전단지에서 1341㎿(1.3GW)의 전력을 생산, 전 세계 해상풍력발전(3080㎿) 43.5% 점유 달성

   * 주요국 해상풍력 발전규모(2010년 말 기준): 덴마크(854㎿), 네덜란드(249㎿), 벨기에(195㎿), 스웨덴(164㎿), 중국(134㎿), 독일(92㎿), 핀란드(26㎿) 등

   * 현재 운영 중인 세계 최대 규모의 해상풍력단지는 2010년 9월 가동을 시작한 영국 동남부 Foreness Point 소재 Thanet으로 300㎿(베스타스 터바인 100개)를 생산

     

 ○ 현재 건설 중인 해상 풍력단지는 16개로 2014년까지 7.6GW를 생산할 전망

  - Triton Knoll(1200㎿, 터바인 240대), London Array(1000㎿, 터바인 341대) 등 500㎿급 이상의 대형단지 8개 포함

  - 나아가 영국 정부는 2020년까지 17개 대규모 해상풍력단지를 추가로 조성해 총 해상풍력발전규모를 48GW로 늘린다는 계획

     

 ○ 해상풍력발전 48GW 조성 시 기대효과

  - 영국 전체 전력생산량 중 해상풍력 비중: 25%

  - 총 투자규모(추정): 약 2000억 파운드

  - 터바인(7000여 대): 총 630억 파운드(대당 평균 900만 파운드)

  - 해저송전설비(해저 케이블 7000㎞ 등): 총 300억 파운드

  - 신규 일자리 창출규모: 7만 개

  - 온실가스 감축 효과: 750억 파운드 상당

     

□ 영국 해상풍력발전의 문제점

     

 ○ 영국 해상풍력발전의 사업성 문제

  - 영국 정부 기관·연구기관과 관련 업계에서는 영국의 연안 해상풍력발전 계획이 현 상태로는 목표를 달성할 수 없으며 대규모 예산이 추가투입돼야만 한다고 경고했음.

  - 지난 2011년 7월 영국 에너지 기후변화 위원회 보고서는 영국 에너지 기후변화부가 기획을 책임진 연안풍력발전사업성 평가에서의 손익분기점 계산 기준이 향후 수년간 풍력발전설비 가격이 하락하고 터빈의 발전효율성이 기술발전으로 개선될 것을 가정하고 추진된 것으로 현실성이 없다고 지적

  - 현재 영국 연안에는 약 500개 이상의 풍력터빈이 가동 중이며, 1000여 개 이상이 건설 중인데, 2020년까지 총발전량의 15%를 신재생 에너지로 대체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수천 개가 더 필요한 것으로 드러남.

  - 에너지기후변화위원회 보고서는 “오늘날 국가전력망은 간신히 버티는 상태로 발전량의 대부분이 멀리 떨어진 지역, 특히 북쪽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실제 전력 수요가 많은 남부 도심지역으로 송전하는데 쓰이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이 한계에 도달한 상태다”라고 경고하면서 “만약 영국 정부가 비용효과를 극대화하면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풍력발전단지들을 연결하는 효율적인 전력망을 건설하는 것이 유일한 길”이라고 보고서는 지적

     

 ○ 발전기만 있고 송전 인프라 없는 반쪽짜리 사업

  - 에너지 기후변화위원회는 영국의 석유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가장 현실적 대안은 연안풍력발전 밖에 없다고 인정하면서도 풍력발전은 투자비용이 매우 높은 비싼 발전수단이며 간헐성(intermittency)이 높은 불안정한 수단이기에 장기적으로 전력소비자들에게 에너지가격 인상만을 가져올 뿐이라고 평가

  - 영국의 전력망 건설을 담당하는 독점적 에너지인프라 사업자 National Grid Plc사의 대외협력부장 Alison Wood 는 런던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영국 정부가 11개사에 달하는 풍력발전단지 사업자들에게 260만 파운드의 보상금을 지급하고 가동 중인 풍력터빈들을 멈추도록 했다고 밝히면서 이는 갑자기 늘어나는 발전량을 현재의 전력망이 감당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

  - 발전시설만 늘리면서 이를 뒷받침하는 전력 송전망은 그대로인 게 가장 큰 문제로 지적돼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제는 발전단지만 세울 게 아니라 서로 연결하는 전력망 즉, 송전시설의 확충이 필요한 상황 도래

  - 에너지 기후변화 위원장 Tim Yeo는 이를 해결할 방안으로 영국과 유럽을 잇는 슈퍼 전력망 'Super-grid'의 건설을 정부에 건의할 예정이라고 밝힘. 그는 “현재 우리는 발전사업자들에게 돈을 주고 발전기를 끄도록 하고 있다. 이는 생산되는 전력을 수요처까지 공급하는 전선(wire)이 부족해서 생기는 현상이다. 발전을 해상(offshore)에서 하는데 송전망도 해상에 건설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주장

  - 영국 정부는 이를 위해 2020년까지 전력망 개조비용으로 320억 파운드가 소요될 것으로 전망하며 영국 에너지기후변화부 대변인은 유럽 북해 인접국 9개국과 논의해 북해에 우선 super-grid를 공동 건설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밝힘. 북해지역에 현재 건설된 단지와 건설계획된 단지들을 영국 본토와 인접국과 연결하는 전력망을 구축하는 데 드는 비용은 약 600억 파운드가 될 것으로 전망함.

  - 따라서 영국에서 풍력발전을 위한 터빈 들 발전설비 수요는 제한됨과 동시에 전력망 건설을 위한 송전 케이블, 트랜스미터(변압·변류) 등 제품의 수요는 폭증할 예상

     

유럽 수퍼그리드 개념도

    

자료원: 영국에너지기후변화부

     

□ 시사점과 기회

     

 ○ 수퍼그리드 시대 온다

  - 현 정권 내각에서는 전 노동당 정권 당시 추진해오던 해상풍력 육성사업에 대한 정치적 비판을 많이 했던 만큼 지난 수년간 금기시되던 풍력산업에 대한 비판이 DECC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공론화

  - 논쟁의 중점은 ‘이미 우후죽순 건설된 풍력발전 단지들은 폐기할 순 없고 그렇다고 장기적으로 유지비용이 많이 드는 송전환경을 무시할 수도 없다’는 딜레마

  - 정부와 업계는 터빈 건설 레이스 유지보다는 이를 후방지원하는 송전인프라 구축과 함께 북해지역에서 유럽대륙의 인접국가의 전력망과 연계, 전력의 배분과 거래를 가능하게 할 북해 슈퍼그리드 건설에 대한 투자를 하기로 합의점 도출

  - 따라서 영국 정부는 막대한 투자비용이 소요되는 해저케이블 등 해상송전분야에 대한 민간투자 유치를 적극 유치·장려하기 위한 목적으로 해상송전설비 임대운영권 공개 경쟁입찰제도를 도입

  - 개발자(또는 발전사업자)가 시공한 송전설비는 영국 독립에너지 규제기관인 Ofgem이 주관하는 공개경쟁입찰절차를 거쳐 선정된 사업자에게 향후 20년간 해상풍력발전단지와 육상전력망(National Grid)을 연결하는 송전설비 운영권한을 부여

     

 ○ 송전설비, 플랜트·특수선박 등 수출기회

  - 지난 7월 런던에서 개최된 Renewable UK 주관 해상풍력 2012 컨프런스에서 업계 관계자들과 정책담당 정부 관리들의 공통된 의견은 하나같이 송전시설이 부족한 이유가 관련 장비 부족이라는 것으로 결론

  - 해상풍력단지에서 육상으로 전력을 끌어오는데 필요한 케이블 매설 특수선의 공급이 수요 대비 절반에도 못미쳐 풍력발전소 건설보다 배전인프라 구축에 2배 더 많은 시공기간이 소요

  - 특히 2012년 2월 영국 National Grid사가 한국 L사의 전력케이블과 트랜스포머 기술에 관심을 보여 검토를 했으며 한국 D조선업체에서도 영국의 E.On과 해상플랜트 수주 건으로 협상을 개시해 영국에서도 한국산 기자재에 대한 인지도 증가 추세

  - National Grid는 런던 무역관과의 인터뷰 당시 특수선 공급부족에 대해 강조하면서 북해는 유럽 최대의 석유공장인 만큼 새로이 건설되는 풍력단지로 주변 해안도시 안전 리스크 증가와 인근 해역 해운 마비 등 문제가 심각해진다며 PBP(Point-by-point) 방식이 아닌 End-to-end 방식으로 매설이 가능한 선박기술로 한국업체들이 홍보한다면 분명 영국 풍력시장에 진출할 것으로 분석

  - 공급이 크게 부족한 해저케이블, 터바인 구조물 설치선 등 특수선박분야에 수요가 크게 증가하므로 한국 조선업계와 케이블링, 전력설비 업계의 진출이 용이

 

 

자료원: DEFRA, DECC, HM Treasury, Renewable UK 및 KOTRA 런던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영국 해상풍력 보조금 삭감, 전력・플랜트산업에는 기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