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미얀마, 농업용 제품에 상업세 면세
  • 트렌드
  • 미얀마
  • 양곤무역관 김근향
  • 2012-06-30
  • 출처 : KOTRA

 

미얀마, 농업용 제품에 상업세 면세

- 7월부터 농약, 비료, 농기기 상업세 면세로 농업시장 급성장 전망 -

 

 

 

□ 미얀마 기본 정보와 농업 현황

 

 ㅇ 지리적 위치상 미얀마는 왼쪽으로는 방글라데시와 인도, 오른쪽으로는 태국과 중국과 인접하며 북쪽으로는 히말라야 산맥, 남쪽으로는 벵골과 및 안다만을 끼고 있어 산악, 고원, 협곡, 강, 평야 및 해안선 등 다양한 지리적 모습을 보임. 국토면적은 67만6577km²로 국토 양쪽으로는 해발 900미터 이상의 산맥이며 북쪽으로는 2000미터 이상의 히말라야 고원 남부의 끝에 해당하기 때문에 다양한 기후대, 토양 분포대를 보이고 이로 인해 다양한 농작물이 재배됨. 대체적으로 3월부터 5월까지 덥고 건조한 여름과 6월부터 10월까지 덥고 비가 많이 오는 우기(Monsoon), 11월부터 다음해 2월까지 비교적 서늘하고 청명한 날씨(Cool season)를 보임. 2007~2008년도 분야별 GDP 현황은 아래와 같음.

 

서비스업의 회계연도별 GDP 대비 비중

            (단위: %)

구 분

2000-2001

2005-2006

2011-2012

2012-2013

1차산업(농업)

57.2

46.7

34.70

33.60

2차산업(제조업)

9.7

17.5

27.10

27.60

3차산업(무역·서비스업)

33.1

35.8

38.20

38.80

자료원 : 미얀마 중앙통계청, Asian Development Bank

 

 ㅇ 미얀마 농업인구는 2011년 총인구의 64%를 차지하며 국내 총 생산 중 34%를 차지함. 2009~2010 농업부 발표자료에 따르면 총 토지 면적은 1억6700만에이커 중에 3000만에이커를 농사를 짓을 수 있음. 농업의 중요성 때문에 이른바 미얀마식 사회주의를 표방한 정권을 포함, 미얀마의 역대 정부는 정권안보 차원에서 벼를 중심으로 한 식량생산 증대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한편, 농산물 가격안정을 위해 필요 시 정부가 직접 시장에 개입하는 정책을 유지했음. 천혜의 자연조건으로 쌀을 포함한 주요 곡물은 충분히 생산되나 오랜 군사독재로 인한 비효율적인 경제운용, 서방의 경제제제 등 요인으로 연관 산업이 낙후돼 농업생산성은 극히 낮은 수준임.

 

 ㅇ 미얀마의 농산물 총 재배(Gross Sown) 면적은 2041만4000헥타르에 달하며 순 재배(Net Sown)는 1202만3000헥타르로 동일 토지를 여러 번 이용하는 다모작이 일반적이며, 65개 이상의 다양한 품종의 농산물이 재배됨. 즉 남부의 광활한 델타지역, 약 1960km에 달하는 해안선지역, 중부 건조지역, 동서부 산악지역으로 다양한 분포를 보임. 곡물(Cereal) 경작면적은 2004/2005년 전체 경작면적(Sown area) 4307만3000에이커 중 44%를 차지하는 1743만1000에이커에 달하며 특히 벼는 미얀마 경제의 근간으로 경작면적이 전체 경작면적의 39%임.

 

 

 

 ㅇ 미얀마에 파종 면적 중에 벼 파종 농장이 제일 크며 쌀은 주곡으로서 정부 가 사실 상 수출을 독점하는데 비해 콩 등 기타 곡물 및 농작물은 민간에서도 정부의 허가를 얻어 자유롭게 수출할 수 있음. 미얀마에서 주로 수출되는 농산물에는 쌀, 콩, 깨, 옥수수, 생고무, 양파, 마늘 등이 있으며 최근 가장 많이 수출되는 품목은 콩임.

 

 ㅇ 콩은 쌀과 더불어 미얀마의 주요 수출 농작물 중 하나이며 1987년도부터 콩의 생산과 수출이 크게 늘어났음. 미얀마는 약 17가지 종류의 콩이 생산되며, 그 중 Black gram, Green gram, Pigeon Pea가 콩 수출의 80~90%를 차지함. 또한 콩은 쌀과는 달리 정부의 간섭 없이 농민들이 자유로이 재배해 수출할 수 있음.

 

미얀마 농업부 조직도

  자료원 : 미얀마 농업부 발표자료 2011

 

□ 농업 투자진출 환경

 

 ㅇ 미얀마의 외국기업(외국인) 농업투자에 대한 개방 가능함.

  - 외국기업(외국인)에 PSA(Product Sharing Agreement)방식으로 농지 장기임대 30년 (15+5+5+5 +등)는 가능함. 다만 농지 매각은 허용되지 않음.

 

미얀마 토지임차료

자료원: 무역관 자체 조사

 

□ 미얀마 농업투자 관련 담당 기관

 

 ㅇ 기관명: Department of Agriculture Planning

  - 담당자명: Mr. Hla Kyaw (Director General)

  - 전화: (95-67) 410 106, 410 011 (95-1) 651 353

  - 팩스: (95-67) 410 119, (95-1) 651 184

  - 이메일: dap-hq@mptmail.net.mm, ddg-dap@myanmar.com.mm

 

 ㅇ 한국 기업의 농업투자자와 농업부의 협의에 따라 농업부에서 수천헥타 임대 가능함. 임대기간은 최대 30년이며 상호 협의에 의해 연장이 가능함. 토지임대료는 상호 협의에 따르며 토지이용의 종류에 따라 2~8년간 면제됨. 소득세는 투자 후 상업적 가동이 가능한 시점을 기준으로 최소 3년간 면제되며 상호 협의에 따라 추가 면제도 가능함. 미얀마의 토지는 국가소유이므로 이론상 현재 농지의 임지투자도 가능하나 농민의 경작권은 사실상의 소유권이므로 농민과의 합의를 거쳐야 함.

 

□ 수입동향과 수입 관세율

 

연도별 농약 사용량

회계연도

사용량/톤

2007/2008

3,776

2008/2009

4,647

2009/2010

4,940

2010/2011

10,778

2011/2012

11,101

      자료원: CSO(미얀마 중앙통계청)

 

연도별 비료 수입량

회계연도

사용량/백만톤

2007/2008

9.4

2008/2009

2.3

2009/2010

11.0

2010/2011

14.9

2011/2012

20.2

      자료원: CSO(미얀마 중앙통계청)

 

□ 요소비료 플랜트 시장 동향

 

  미얀마 에너지부 산하 석유화학공사(Myanmar Petrochemical Enterprise, MPE)는 국가의 농업 부문 발전을 위해 필요한 요소 비료 생산에 노력함. MPE는 3개 비료공장에서 천연가스를 이용해 요소비료를 생산하며 1989년부터 2000년까지 약 112만톤의 요소비료를 생산했음. 명목상 하루 1272톤의 요소비료 생산능력을 보유하며 그 내역은 다음과 같음.

 

구분

플랜트명

설립연도

생산능력(Metric Ton/day)

암모니아/톤

요소 비료/톤

1

No.1 Fertilizer Factory (Sale)

1970 ,Unit A

-

205

1984 , Unit B

-

260

2

No.2 Fertilizer Factory (Kyun Chaung)

1972

-

207

3

No.3 Fertilizer Factory (Kyaw Zwa)

1985

-

600

4

No.4 Fertilizer Plant (Myaungdaga)

2010.12.5일

325

500

5

No.5 Fertilizer Plant (Pathein)

2011.1.12일

325

500

합계

650

2,012

자료원: 미얀마 에너지부 발표자료

 

 ㅇ 2010년 중앙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미얀마 농기기 수입량이 약 1만1000대 수입됐으며 농기기 가격이 비싸 농기기 수요가 많지 않으며, 상업세 면제로 인해 농기기 수입이 증가될 것임.

 

□ 농업시장 진출 전략

 

 ㅇ 기능성 농약의 필요성을 잘 아는 수입·도매상이 늘어남에 따라 품질 좋은 농약에 대한 수요도 점차 늘어나며, 이에 따라 농민의 의식도 점차 변화할 것임. 농약 상업세 면제로 인해 품질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미얀마 농약 시장규모는 꾸준히 늘어날 것임.

 

 ㅇ 농약, 비료의 주요 홍보 수단은 신문, 잡지, TV 등이며, 지방 등 농사현장을 방문해 농민에 대한 농약, 비료 사용법 등의 교육이 필수적임. 당장 현재보다는 미래를 대비해 유통상과 농민에 대한 교육을 통해 가격에서 품질을 우선시하는 사고방식 전환을 위해 기업의 꾸준한 노력이 필요함.

 

 ㅇ 기능성 비료 외에도 기능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제품도 시장성이 있을 것임.

  - 예를 들어 높은 생분 해도와 토질개선에 효과가 있는 인체무해의 ‘종이필름’ 등의 제품들도 병행해서 판매하는 전략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음. 샘플 테스트와 제품홍보 등을 충실하게 해줄 수 있는 규모 있는 수입상을 파트너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가장 중요한 것은 성능과 가격이므로 가격경쟁에도 초점을 두어야 함.

 

 

자료원: Weekly Eleven 주간지, 농업부 발표자료, KOTRA 양곤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얀마, 농업용 제품에 상업세 면세)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