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수출입의 견인차, 전기기계산업 향후 발전방향은?
  • 경제·무역
  • 중국
  • 선양무역관
  • 2012-06-29
  • 출처 : KOTRA

 

중국 수출입의 견인차, 전기기계산업 향후 발전방향은?

- 2012년 2월, 전기기계 수출입에 관한 12.5 발전규획 발표-

- 수출입규모 2조5000억 달러 달성목표 -

 

 

 

 시장 개요

 

  중국 세관통계에 따르면 2011년 수출입 총액은 3조6420억 달러, 그 중 전기기계 제품이 1조8387억 달러(↑15.4%)로 50.5% 차지함.

  - 2011년 전기기계 수출총액은 1조855억 달러(↑16.3%), 수입총액은 7532억 달러(↑14.1%)임.

 

 중국 전기기계 제품 수출입 주요 특징

 

 1) 수출입 증가세 지속

 

  수출

  ⁃ 중국 전기기계 3대 수출지역인 광둥, 강소, 상하이 지역은 각각 3597억2000만 달러, 2077억5000만 달러, 1483억50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3.9%, 10.3%, 13.2%씩 증가했음.

  ⁃ 중국 전기기계 제품은 주로 아시아, 유럽, 북미지역으로 수출하고 그중 對아시아지역 수출이 18.3% 성장한 것으로 최대치를 보임.

 

*中 전기기계 수출 10대 지역: 유럽연합(2110억9000만 달러), 홍콩(1979억3000만 달러), 미국(1974억1000만 달러), ASEAN(873억 달러), 일본(712억7000만 달러), 한국·인도·대만·호주·브라질

 

  ⁃ 중점 전기기계 수출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며 그 중 기중기와 공사용기계 중저가품의 수출총액은 306억1000만 달러로(↑34%) 국제수출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대폭 확대됨

 

 ○ 수입

  ⁃ 중국 전기기계 3대 수입지역인 광둥, 강소, 상하이 지역은 각각 2266억2000만 달러, 1319억9000만 달러, 1281억70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0.4%, 9%, 17.4%씩 증가했음.

 

*中,전기기계 수입 10대 지역: ASEAN(1390억2000만 달러), 일본(1328억8000만 달러), 중국(1108억3000만 달러/중국산 물품의 재수입), 한국(1045억7000만 달러), ASEAN(938억2000만 달러), 대만(878억7000만 달러), 미국, 스위스, 멕시코, 홍콩

    

  ⁃ 중국 전기기계 수입은 아시아, 유럽, 북미 등 3개 지역이 약 98.5%를 점유하고 그 중 아시아지역이 71.3%로 가장 큰 비중을 점유함.

  ⁃ 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전자부품 수입총액은 2210억5000만 달러(↑9%)에 달함. 자동차와 핵심부품 수입액은 736억4000만 달러(↑30%)임.

 

 2) 일반 무역방식이 가공무역방식대비 빠른 성장 보임.

 

 ○ 2011년 일반무역방식의 수출액은 3589억80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26.9% 증가하고 수입액은 3007억3000만 달러로 30.4% 증가했음.

 

 ○ 가공무역방식의 수출액은 6523억2000만 달러로 10.4% 성장하고 수입액은 3056억4000만 달러로7.8%증가함.

 

 전기기계와 첨단기술제품 수출입관련 12.5 발전규획

 

  무역구조 조정, 수입장비 품질제고 및 기술혁신을 통해 산업발전을 실현하고 수출입규모 2조5000억 달러 달성, 연평균 10% 이상 증가 계획으로 중국 상무부는 올해 2월, '전기기계와 첨단기술상품 수출입에 관한 12.5 발전규획(机電和高新技術産品進出口“十二五”發展規的通知)'을 발표함.

 

  11.5 규획기간 수출입 성과

  - 2010년 말 전기기계시장 시장점유율은 14.8%로 세계 1위를 차지함, 무역규모는 6조3400억 달러로 163.2% 증가

  - 선박수출액은 402억9000만 달러로 10.5 규획기간 대비 6.3배 증가해 한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선박수출국으로 부상함.

  - 中 정부는 수입확대를 위한 대폭적인 관세 하락정책을 실현하고 관세율을 9.8%수준으로 유지했음. 그 결과, 수입기업은 7만3000개에서 8만9000개로, 수입규모 1억 달러가 넘는 기업은 506개에서 940개로 증가했음.

 

 ○ 12.5 규획기간 주요 목표

  - 수출

   . 첨단기술상품 수출비중 제고와 신흥산업 육성으로 국제시장 진출

   . 對개발도상국 수출비중을 40%까지 증가율을 65%로 높임.

   . 자동차, 공작 기계, 공사용 기계 등 경제 견인효과가 뚜렷한 25종 산업과 100개 기업의 해외판매망 조성 적극 지원

   . 전기기계와 첨단기술상품 수출기지 200여 개와 기업 2000여 개를 경쟁력이 강한 기업으로 육성 목표

   . 가공무역기업을 중서부 지역으로 이전해 중서부 가공무역비율을 4%에서 10%로, 세관 특수 감독지역 내 가공무역비율을 18%에서 30%로 증가시킴.

  - 수입

   . 투자재, 소비재, 중간생산물의 수입비율을 적정수준으로 조정하고 첨단기술상품 수입 확대

   . 해외기술 소화흡수와 개량능력 증대. 후진국과 무역흑자국으로부터 수입을 확대해 무역수지 균형 추구

 

  12.5 규획기간 중점산업별 실행과제(2015년 기준)

  - ‘저탄소와 에너지절감형 제품 확대’ 목표

 

산업

내용

자동차

- 자동차와 부품 수출기지 건설에 주력

- 자동차 품질검사 상호인정제도 추진

공작 기계

- 금속가공 공작기계를 주요 수출상품으로 육성, 수출품 비중 40%로 확대

- 공작 공구의 무역 적자규모를 30억 달러로 축소

컴퓨터

- 수출액 3810억 달러, 연 성장률 15% 달성, 수입액 766억 달러

- 고성능 컴퓨팅, 어드밴서 서버, 대용량 기억장치 등 R &D능력 제고

반도체

- 수입액 1590억 달러, 집적회로 수입액 1420억 달러

- 칩 디자인 비중을 전체 산업의 1/3, 칩 제조업, 포장 및 테스트 비중을 2/3로 조정

- 칩 OEM 생산능력과 포장 및 테스트 수출 경쟁력 제고

- 지식재산권 보호 강화, 무역구제조치를 통한 중국 내 산업과 기업 보호

신재생에너지

- 전체 에너지 소비중 비화석원료 비중을 13%로 확대

- 신재생에너지 수출 규모 확대, 풍력에너지 장비 수출 1000만kW 달성

전자재료

- 첨단 기술상품 비중을 전체 산업의 30~40%로 제고

- 반도체, LCD, 신형 컴포넌트, 에너지 저장 재료 산업 중점적으로 육성

바이오 의약학

- 고부가가치 의약상품 비중 1/3 이상으로 유지

- 특수 약재, 의약품제제, 중성약, 바이오 약품 등을 중심으로 수출

모형

- 수입액 25억 달러, 연 성장률 5% 달성 계획

- 수출형 기업 육성, 해외판매망 구축 장려

공사용 기계

- 산업클러스터 대량 조성, 산업과 상품기술의 표준 제정과 수정

- 중국 내 외자기업의 공사용 기계와 핵심부품 생산, 연구개발 지지

선박

- 해양공정장비, 유람선을 수출성장동력으로 육성, 유람선 수출액 6억 달러

- 조선기업과 금융업, 원유·가스 개발기업 등 연합을 통한 수출시장 개척

항공 장비

- 수출입액 2000억 달러 달성, 중국산 항공장비 점유율 확대

- 첨단 장비와 기술 수입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킴.

우주 장비

-국제 연합 R &D센터 및 국가급 국제과학기술기지 건설

-해외기업인수 및 합작기업 설립 확대

시멘트 장비

- EPC방식의 시멘트장비 수출 제고, 국제시장 점유율 40%이상 달성

- 저온열 발전기술 및 장비로 국제시장 진출

- 아프리카에 투자방식으로 시범생산라인을 구축

석유설비

- 저탄소, 온실가스배출량 감소 장비 개발

- 시추 장비, 수송관, 내연기, 와이어 로프, 석유 계측기 등 핵심기술 혁신

철도 교통

- 해외시장 수익 비중 총 수익의 30%

- 중국 베이처와 난처, 열차제조기업 수익액 세계 5위권 진입

통신 설비

- 선진 기술과 핵심 부품 수입 확대, 수입 연 25% 증가

- 중국 표준의 국제화 추진

야금

- 해외 광산자원을 이용, 산업 사슬 해외로 확대

가전

- 수입액 45억 달러, 2010년 대비 50% 성장

- 국가인증 기업기술센터 20개 이상 건설

 

□ 中 정부 수출입 확대 주요 정책

 

 ○ 수입확대 정책 구축

  - 국가 투자권장 해당분야에 설비수입 지원, 수입제한품목과 도태형(淘汰類) 품목에 대한 수입관리 강화

  - 금융, 세무, 세관, 통관 등 각 부서 연동서비스로 리스기업 국제시장진출 지원과 리스·융자산업 발전도모

  - 중고설비 교역시장 건설과 중고설비 양도와 유통관련 정책 제정

  - 중국 기업의 해외 구매조달 시스템 및 루트 구축지원

  - 청정에너지, 수치제어 선반, 조선, 열차, 자동차, 항공, 통신 및 전략성 신흥산업 등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산업의 기술 혁신 지원

 

 ○ 무역 편리화

  - 자유무역구역 네트워크 구축으로 주구역과 부구역간의 합작을 추진하고 전기기계와 첨단기술제 품 무역자유화 추진함.

  - 쿼터 허가증관리 등 행정 승인절차를 간소화하고 불필요한 수입절차를 폐지함.

  - 선진 기술설비 수입통관 효율 향상목표

  - 상무비자호혜협정(商務互惠協議) 체결을 통해 비자발급 편의성 제고

 

 

출처: 중국 상무부, 中國机電産品進出口商會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수출입의 견인차, 전기기계산업 향후 발전방향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