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신성장정책] 中 신소재, 정부가 밀어주고 시장이 끌어준다
  • 경제·무역
  • 중국
  • 다롄무역관
  • 2012-03-02
  • 출처 : KOTRA

 

中 신소재, 정부가 밀어주고 시장이 끌어준다

- 신소재 산업 12·5 발전 계획으로 투자 확대 -

- 2020년까지 중국 경제 선도산업으로 발전시킬 것 -

 

 

 

□ 신소재 산업: 전략적 신흥산업

 

 ○ 2010년 10월 10일 중국 국무원은 7대 전략적 신흥산업 육성을 결정함. 신소재 산업은 전략적 신흥산업의 하나로 선정됨.

  - 7대 전략적 신흥산업은 에너지절약과 환경보호 산업, 신세대 정보기술 산업, 바이오 산업, 첨단장비 제조업, 신에너지 산업,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과 신소재 산업임.

  - 국무원은 2% 수준인 7대 전략적 신흥산업의 GDP 내 비중을 2015년에 8%, 2020년 15%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움.

  - 2001년 중국 신소재 산업 규모는 100억 위안에도 미치지 못했으나 2010년 6500억 위안에 달함. 신소재산업은 2005년 이후 연간 20% 정도 성장함.

 

 ○ 중국 신소재 산업은 희토류, 텅스텐, 안티몬 등 희귀금속을 포함한 지하자원과 13억 명의 큰 내수시장, 보조금 등 적극적인 정부의 지원정책을 통해 성장함. 강력한 정부 주도 육성이 신소재 산업 발전에 큰 강점이 됨.

 

□ 신소재 산업 현황과 특성

 

 ○ 산업 밀집지역에 따라 분업화가 이뤄짐.

  - 신소재 산업은 중국 20여 개 성시에서 주요 첨단기술 산업 중 하나로 자리잡음. 신소재산업의 분포는 주로 산업기지 형식으로 이루어짐. 중국 횃불계획(신산업·신기술 육성계획)의 특색 산업기지를 보면 신소재 산업기지 수는 총 49개이며 전국 특색 산업기지 중 20.9%를 차지함. 신소재 산업은 지역경제의 주요 성장축으로 자리잡으며 그 중 장쑤성(江蘇省), 저장성(浙江省), 산둥성(山東省)에서의 발전이 두드러짐.

 

성(省)별 신소재 특색 산업기지 분포

자료원: 千龍網

 

  - 각 지역의 신소재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지역에 따른 분업체계가 형성됨. 동부지역은 시장, 기술, 인재 등 요소에서 가장 우위를 점했으며 특히 화동지역의 연구개발능력이 두드러짐. 동남지역은 수요가 광범위하며 동북지역은 중공업 위주로 수요가 발생함. 중서부 지역은 주로 광산자원을 통한 신소재 원료 분야에서 강점을 지님.

 

신소재 산업의 지역별 분업 체계

자료원: 百度, KOTRA 다롄무역관 재구성

 

 ○ 다양한 학문, 산업과 교류·결합을 통해 발전함.

  - 신소재 산업은 산업 특성상 다양한 학문과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함. 역학, 열학, 광학, 전자학, 의학, 생물학, 화학, 정보학 등 학문과 교류를 통해 신소재의 기능 강화와 산업활용 등에 활용됨.

  - 산업 분야에서는 에너지, 정보, 건축, 교통, 의료위생 산업 등과 결합 추세가 두드러짐.

 

 ○ 신소재 산업 발전은 멀티, 스마트, 녹색, 통합 방향으로 진행됨.

  - 신소재 기술은 멀티 소재구조와 스마트한 기능, 사용과정의 녹색화, 소재와 부품의 통합이라는 큰 방향으로 발전함.

  - 신소재와 기초소재 산업 간의 결합이 갈수록 긴밀해지며 신소재 기술과 부품제조 산업이 통합되는 양상을 보임.

 

□ 신소재 산업 12·5 계획 발표

 

 ○ 공업정보화부(工信部)는 2012년 1월 22일 ‘신소재 산업 12·5 발전계획’을 발표함. 12·5 기간 중국 신소재 산업 규모는 2조 위안에 달하고 연평균 성장률을 25% 이상일 것이라고 전망함. 정부는 30개의 중점 신소재 종류를 확대할 방침임.

 

 ○ 계획에 따르면 2015년까지 독자적 기술개발능력 함양, 시장규모 확대, 산업 인프라를 갖춘 신소재 산업 시스템 완성 등을 추진할 예정이며 2020년까지 강력한 기술개발 능력과 지속 가능한 발전 능력, 긴밀하게 결합된 신소재 산업 시스템 구축 등을 통해 신소재 산업을 중국 경제의 선도산업으로 육성할 계획임.

 

12·5 신소재 산업 발전 목표

산업규모

 - 총 생산규모 2조 위안, 연평균 성장률 25% 초과

개발능력

 - 연구개발 투자 증가를 통해 주요 신소재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가 매출 비중의 5%에 달하게 할 것

- 신소재 공정기술 연구개발과 공공 서비스 플랫폼 건설

산업구조

- 기술개발 능력이 강하고 핵심 경쟁력을 갖추며 신소재 매출 수입이 150억 위안 이상인 선진 기업 10개 육성

- 신소재 매출 수입이 50억 위안을 넘는 주력기업 20개 육성

- 신소재 산업이 주가 되고 산업 간 결합이 잘 이루어지며 연간 생산규모가 300억 위안 이상인 신소재 산업기지와 산업 클러스터 건설

보장능력

- 신소재 제품의 종합 보장능력을 70%까지 향상시키고 핵심 신소재 보장능력은 50%에 달하도록 함.

- 탄소섬유, 티타늄 합금, 내식성 철강, 반도체 소재, 부틸고무 등 주요 품목의 산업화와 규모화 추구

소재교체

- 30개 주요 신소재 종류 확대와 시범 프로젝트 실시

 자료원: 工信部

 

□ 신소재 산업 주요 영역

 

 ○ 대체 에너지 소재

  - 대체 에너지 소재는 태양전지, 2차 전지 등을 포함하며 대체 에너지 발전의 핵심이자 기초가 됨.

  - 태양전지는 결정 실리콘 태양전지, 박막 실리콘 태양전지, 집광 태양전지가 있음. 이 중 결정 실리콘 전지의 사용이 가장 광범위하고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함. 현재 세계 태양전지 생산 분포는 개발도상국으로 옮겨가는 추세이며 미래 태양전지는 다양한 기술이 공존할 것임.

  - 박막 실리콘 태양전지는 다층 구조로 전환효율을 대폭 상승시키기 때문에 미래에 결정 실리콘 전지를 제치고 고효율 전지 영역을 주도할 것임.

 

태양전지 중 박막 실리콘 전지와 결정 실리콘 전지 비율

자료원: iSuppli

 

  - 2차 전지는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수소 전지, 리튬 전지, 납축 전지 등을 포함하며 신에너지 자동차의 핵심임.

  - 니켈수소 전지는 현재 2차 전지 분야를 주도하나 용량이 작고 자가 방전률이 높아 미래 수요를 만족시키는 데는 어려움이 있음.

  - 리튬 전지는 니켈수소 전지에서 더 발전한 것으로 산업공정 통합을 통해 리튬-이온 전지 분야가 발전함. 아직 시장이 발전 단계로 독과점 업체는 없는 상태임.

  - 연료전지는 에너지 밀집도와 효율성이 높고 오염정도가 낮다는 특징이 있어 차재용 전지의 최종 발전방향으로 예측됨. 그러나 아직 실험 단계이므로 2025년 정도에야 대규모 상업화가 이뤄질 전망임.

  - 중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2차 전지를 생산하는 나라이며 이미 리튬 전지의 생산라인을 완벽하게 구축함.

 

 ○ 정보전자 소재

  - 정보전자 소재는 광전자, 마이크로 기술, 신형 전자부품 영역에서 쓰이며 정부에서 가장 관심 있게 지켜보는 분야이자 시장규모 역시 가장 큰 분야임. 정보전자 소재와 관련 상품은 컴퓨터·통신, 정보 네트워크 기술, 공업자동화, 가전 등 첨단기술 산업의 발전의 기초가 됨.

  - 광전자 소재는 광전자 기술의 기초이며 그 중 LED 산업은 중국에서 이미 발전이 비교적 빠르고 향후에도 빠른 성장추세를 보일 전망임. LED 기술은 이미 대규모 시장화에 들어선 단계임.

  - 마이크로 소재 수요는 주로 폴리시드 웨이퍼(polished wafer), 에피 웨이퍼(epi wafer), 반도체용 폴리 실리콘, 넓은띠 반도체 등 영역임. 95% 이상의 반도체 부품과 99% 이상의 집적회로는 폴리시드 웨이퍼와 에피 웨이퍼로 제작되며 고순도 폴리 실리콘은 집적회로와 태양전지의 주요 소재임.

  - 신형 전자부품 방면으로는 자성 소재, 전자 세라믹 소재 등이 주요 발전 영역이 될 전망임.

 

 ○ 고분자 소재

  - 고분자 소재는 상대 분자질량이 비교적 높은 화합물로 구성된 소재로 고무, 플라스틱, 페인트, 접착제 등을 포함함.

  - 엔지니어링(변성) 플라스틱은 쉬운 가공성, 내충격성, 내열성 등 특수 성능을 지님. 중국은 세계 최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잠재 시장이자 수요의 성장동력이 됨.

  - 중국의 유기 실리콘 산업은 비교적 낙후되고 가격도 해외보다 높음. 따라서 유기 실리콘 분야는 아직 외국 기업들이 시장을 주도함.

 

□ 시사점

 

 ○ 12·5 계획을 통해 중국정부가 신소재 산업 투자를 늘리고 산업기지를 건설하는 등 산업을 육성하는 한편, 다양한 후방산업에서도 신소재 수요가 증가해 중국 신소재 산업은 빠르게 발전할 것임.

 

 ○ 중국 신소재 산업은 아직 독자적 기술개발 능력과 경쟁력을 갖춘 핵심기업이 부족함. 따라서 창의적인 기술을 갖춘 기업에 중국시장은 기회가 될 것임. 그러나 중국기업들 역시 정부의 지원과 가격경쟁력을 무기로 빠르게 성장해 향후 신소재 기업 간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임.

 

 * 첨부: 신소재 산업 12·5 계획 중점 제품 목록(중문반)

 

 

자료원: 千龍網, 工信部, 百度, 人民日報, KOTRA 다롄무역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신성장정책] 中 신소재, 정부가 밀어주고 시장이 끌어준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