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러시아가 중국 희토류 독주에 탈출구 될 수 있을까?
  • 경제·무역
  • 러시아연방
  • 모스크바무역관
  • 2012-01-31
  • 출처 : KOTRA

 

러시아가 중국 희토류 독주에 탈출구 될 수 있을까?

 

 

 

 ㅇ 2010년 9월 7일, 동중국해 일부 섬들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 간의 영유권 분쟁에서 일본이 중국 선원을 구금시키자 중국은 일본에 희토류 수출금지라는 경제적 조치로 압박을 가했고, 이에 일본은 체포했던 중국 선원을 곧장 석방한 바 있음. 희토류가 영토분쟁을 둘러싼 2010년 9월의 외교전에서 중국의 일방적 승리를 이끌면서 희토류라는 자원에 대한 중요도가 부각되고 자원 강국으로서 중국의 국제적 지위가 상승함.

 

 ㅇ 중국은 그동안 생산 과잉과 업체들의 경쟁 심화로 저가 장점을 필두로 시장에서 희토류 공급기지 역할을 해옴. 그러나 2009년 10월 중국 공업정보화부에서 ‘희토공업 발전정책’, ‘2009~2015년 희토공업발전규회’ 등을 발표하며 서서히 희토류 보호에 나서기 시작함.

 

 ㅇ 정책 주요 골자

  - 희토류 산업의 강력한 구조조정

  - 수출관세 20% 부과 등 수출 통제

  - 외국 자본의 진입 통제와 표준화 제정

  - 희토류 생산 총량 제한(총량 8만9200톤)

  - 국가 규획광구 지정

  - 한경보호규제 강화

  - 희토 분리추출, 정밀가공분야에 한해 외자기업의 합작투자를 허용

 

 ㅇ 이에 따라 희토류 가격이 급등함. 일례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영구자석에 사용되는 네오디뮴의 가격은 2011년 11월 초 현재 톤 당 7만9750달러로 2010년 대비 4배 이상, 액정패널의 연마제에 필수적인 세륨은 톤 당 가격이 2009년 8월에는 2950달러, 2010년 9월에는 2만50달러, 2011년 11월에는 5만1950달러로 폭등함. 이에 미국과 호주 등은 폐광된 광산을 재가동하거나 새로운 생산지를 개발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대처할 예정임. 희토류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대한민국도 국내외 희토류 광산을 직접 개발하는 등 안정적인 희토류 수급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함.

 

연도별 희토류 가격 상승 동향과 전망

 

 ㅇ 희토류는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하고 건조한 공기에서도 잘 견디며 열을 잘 전도하는 특징이 있으며, 상대적으로 탁월한 화학적·전기적·자성적·발광적 성질이 있음. 현대사회에서 희토류는 전기·하이브리드 자동차, 풍력발전, 태양열 발전 등 21세기 저탄소 녹색성장에 필수적인 영구자석 제작에 꼭 필요한 물질임. 예를 들어, 전기자동차 한 대를 움직이는 데 필요한 영구자석에는 희토류 원소가 약 1kg 포함됨. 또한 희토류는 LCD·LED·스마트폰 등의 IT산업, 카메라·컴퓨터 등의 전자제품, CRT·형광램프 등의 형광체, 광섬유 등에 필수적일 뿐만 아니라 방사성 차폐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원자로 제어제로도 널리 사용됨.

 

 희토류의 종류의 따른 용도

 

 ㅇ 미국 USGS의 2011년 자료에 의하면, 세계 최대의 희토류 매장국은 중국으로 매장량은 약 5500만 톤에 이름. 중국 희토류협회는 중국 내의 미확인 희토류 량을 1억 톤으로 추정하기도 했음. 두 번째 최대 매장국은 CIS로 희토류 매장량이 1900만 톤이며, 미국의 희토류 매장량이 1300만 톤으로 그 뒤를 이음.

 

 ㅇ 점유율은 각각 48.4%, 16.7%, 그리고 11.4%로 3국가(지역)의 총 매장량 점유율은 76.5%에 이름. 희토류 생산량을 보면, 최대 생산국은 중국이며, 2010년 생산량은 13만 톤으로 전 세계 생산량의 97%를 차지함. 그 뒤를 이어 인도가 2700톤, 브라질이 550톤을 생산함.

 

 ㅇ 시대별 희토류 주요 생산지를 보면, 1948년까지는 인도와 브라질이 주요 생산지였다가, 1950년대에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이, 1960년대에서 1980년대까지는 미국이, 그리고 1980년대 이후에는 중국이 희토류 주요 산지로 떠오름.

 

 ㅇ 이 당시 중국은 희토류를 저가로 대량 공급해 미국 등 경쟁국가를 압도함. 그 결과 미국의 대표적인 희토류 광산인 캘리포니아의 마운틴 패스 광산은 2002년부터 채광을 중지하게 됨.

 

시대별 희토류 생산량의 변화

 

 ㅇ 러시아 국영방송 ‘러시아의 소리’는 중국이 주도하는 희토류 시장에서 러시아의 영향력이 확대돼간다고 2011년 6월 28일에 보도함.

 

 ㅇ 현재 희토류시장은 중국의 움직임에 따라 변동폭이 큰 상황임. 이에 따라 희토류 주요 소비국을 중심으로 대체물질 개발이나 희토류 광산 확보, 제련시설 확충에 나서는 모습이 가속화됨.

 

 ㅇ 그럼에도 희토류의 가격은 연일 상승해 시장 전체에 다양한 희토류 생산 메이커가 등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음.

 

 ㅇ 러시아는 미사일 유도장치나 휴대폰에 사용되는 세륨∙에르븀∙터븀 등을 포함, 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희토류 매장량이 풍부한 국가로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국가로 손꼽힘.

 

 ㅇ 러시아 서북부의 무르만스크, 남동부의 치타에서는 현재 희토류 개발이 진행 중임. 올해 초에는 레늄∙게르마늄∙인듐∙하프늄 등 막대한 매장량의 희토류가 쿠릴열도 부근에서 발견되기도 함.

 

 ㅇ 이러한 상황에서 희토류 주요 소비국 또한 희토류 보유국과의 협력을 강화할 것으로 보여 현재 중국이 독점하는 희토류 시장에서 러시아의 역할은 크게 부각될 것으로 예상

 

 ㅇ 러시아 희토류 보유량에 대한 추정은 다양함. 러시아 국내 지질학자들은 지구의 희토류 공급량의 30%를 점유했다고 하고, 미국 지질조사국은 러시아와 구소련국가들이 1900만 톤의 보유량, 즉 전 세계 총 보유량의 14%를 지녔다고 보고함.

 

 ㅇ 현재 러시아의 희토류는 풍부한 보유량에도 대부분이 미개발 상태임. 생산은 무르만스크 주의 한 곳의 소련시대 공장에 한정됨.

 

 ㅇ 일본의 SARECO사는 야쿠티아에서의 가능한 프로젝트를 고려함.

 

 ㅇ Norilsk Nickel과 같은 주요 광업기업에 의해 부산물로 생산되는 적은 양의 희토류를 제외하고도, 러시아는 오직 하나의 활성 광산 Lovozersky를 보유함. 광산의 로퍼라이트 농축은 란탄, 세륨 등의 경(輕)희토류를 다룸. 기업 웹사이트에 의하면 지난해 1만1000톤에서 올해 1만2000톤의 농축이 예상

 

 ㅇ Lovozersky는 농축을 우랄에 위치한 Solikamsk 마그네슘 공장에 운송함. 이 공장은 지난해 Silmet, Estonia의 미국 Molycorp’s 공장과 카자흐스탄의 Ulba Metallurgical 공장에 프로세싱을 위해 1466톤의 산화물을 수출함.

 

 ㅇ 야쿠티아의 Tomtor 보유는 러시아의 미개발 자원의 하이라이트로 주목받음. 야쿠티아는 12% 농축 희토류와 상당한 양의 경희토류 세륨과 사마륨 등의 1억5000만 톤의 광석을 보유함.

 

 ㅇ 불행히도 중요한 수요가 자석의 재생분야에 활용되는 특정 중(重)희토류에 있다고, Ernst & Young의 금속·광산 부장 Michael Nestour는 말함. 그는 “경희토류에 관해서는 2013년에 시장 공간에서 어떠한 부족도 없을 것이고, 2016~2017년에는 중희토류 부족도 종결될 것이다.”라고 밝힘.

 

 ㅇ 여전히, 석유 고온 균열 촉매에 사용되는 란탄 같은 경희토류와 니켈 금속 수소전지 가격은 급등을 지속함. 러시아는 스마트폰과 같은 첨단제품의 생산업체 수요가 적고 풍력 발전소가 붐을 일으키지 않았기 때문에 시장에서 동떨어진 국가 중 하나였다고, Ernst & Young의 Nestour는 언급함.

 

 ㅇ 분석가들은 러시아가 희토류 수출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국내 기업들이 투자와 수요를 보장하기 위해 최종 사용자와의 협력을 체결해야 한다고 말함.

 

□ 주요 희토류 공급업체

 

 ㅇ Lovozersky GOK

  - Homepage: http://lovgok.ru

  - Address: Murmansk region

  - Tel: +7-81538-3-13-34

  - Fax: +7-81538-3-31-36

 

 ㅇ OAO Apatit (asset of PhosAgro, www.phosagro.ru)

  - Homepage: http://www.phosagro.ru/about/actives/production/apatit/text633.html

  - Address: Kirovsk, Murmansk region

  - Secretary: Pozolotina Svetlana

  - Tel: +7-81531-55-590, 32-250, 35-202

  - E-mail: Spozolotina@phosagro.ru

 

 ㅇ OAO Solikamsk Magnesium Plant

  - Homepage: http://smw.ucoz.ru

  - Address: Solikamsk, Permsk region

  - E-mail: smw@smw.ru

  - Tel: +7-34253-5-24-48, 7-02-37 (export department)

  - Fax: +7-34253-5-23-75

 

 ㅇ Novosibirsk rare metals plant

  - Homepage: www.cesium.ru

  - Address: Novosibirsk

  - E-mail: info@cesium.ru  

  - Tel: +7-383-224-5631, 224-63-91

 

 ㅇ Uralredmet

  - Homepage: http://uralredmet.ru

  - Address: Sverdlovsk region

  - Tel: +7-34368-9-20-35, 9-20-15

  - E-mail: URALREDMET@URALREDMET.RU

 

 

자료원: Ernst & Young, 러시아의 소리,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자체조사 및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러시아가 중국 희토류 독주에 탈출구 될 수 있을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