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녹색정책] 불가리아에 부는 신재생에너지 투자 붐
  • 경제·무역
  • 불가리아
  • 소피아무역관 슈퍼관리자
  • 2011-12-31
  • 출처 : KOTRA

 

불가리아에 부는 신재생에너지 투자 붐

- 대형 태양광·풍력단지 조성 지속, 단순 납품보다는 현물투자가 바람직 -

 

 

 

□ 정보 개요

 

 ㅇ 불가리아는 2007년 EU가입과 동시에 2020년까지 전체 소비전력의 16%를 신재생에너지로 충당 해야 하는 의무를 부담했음. 자본축적이 빈약한 불가리아는 외국인 투자유치를 통해 이 의무를 해결하기 위해 2003년과 2006년도에 '재생에너지법'(Renewable Energy Act, 2006)과 2007년도에 입법한 '재생·대체 에너지 법'(Renewable and Alterative Energy Sources and Biofuel Act)을 입법, 실시해 옴.

 

 ㅇ 그러나 이 법안들에 규정된 발전차액(Feed in Tariffs)는 EU 내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발전차액을 겨냥한 투자가 러시를 이루자 부담을 느낀 불가리아 정부는 2011년 421일에 신재생에너지 법(Renewable Energy Act 2011)을 제정, 태양광과 풍력발전에 대한 발전차액 수혜기간을 축소했으며 발전차액을 전년대비 30%를 인하했으며 발전부지에 대한 형질변경 금지, 국가송배전망 연결부담금 부과, 발전사업자에 대한 제반 의무규정 신설을 통해 투자규제 움직임을 보였음.

 

 ㅇ 불가리아 정부는 이전에 비해 까다로운 투자절차를 신설하고 발전차액을 대폭 축소할 경우,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한 외국인 투자가 거의 단절되거나 크게 축소될 것으로 기대했으나 태양광 발전의 경우 전체투자금액의 60%를 차지하는 모듈가격이 급격하게 하락하자 새로운 투자수익 모델의 구성이 가능해졌으며 2011년 7월부터 갑자기 이전과 같은 태양광 투자 붐이 재연됐음.

 

2010년도 모듈 가격 변동추이

 

자료원: http://pvmodules.eu/bg

 

2011년 9월 말 현재 모듈가격 현황

  제조국가 및 형태

유로/wp

추세

8월이후 하락률

추세

9월 이후 하락률

Crystalline 독일

1.33

 

 - 4.4 %

 - 22.2 %

Crystalline 중국

0.98

 

 - 6.0 %

 - 33.5 %

Crystalline 일본

1.27

 - 4.7 %

 - 22.4 %

Thin film CdS/CdTe

0.92

 - 6.9 %

 - 26.3 %

Thin film a-Si

0.77

 - 9.6 %

 - 28.4 %

Thin film a-Si/µ-Si

0,93

 

 - 5.2 %

 - 26.4 %

정보원: 상동

 

  - 이에 따라 1MW 단위 태양광발전소 건립부지의 가격이 신재생에너지법 제정이전으로 회복됐으며 각국의 투자기업들이 입지가 양호한 부지를 선점하기 위해 과열경쟁이 빚어지기도 했음.

  - 2009년도부터 국내기업들은 대불가리아 태양광과 풍력발전분야 진출을 위해 많은 연구와 현지실시에 나서 다른 국가에 비해 일찍부터 투자기회 선점을 노렸으나 대부분의 국내 투자가들은 국내 은행들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roject Financing, PF) 상의 어려움으로 실제 투자실현 단계에는 이르지 못했음.

  - 실제 불가리아의 태양광 투자가 붐을 이루던 2010년 하반기나 2011년 상반기 중에 불가리아 투자를 단행한 기업은 SDN사 1곳뿐이며, 이를 제외하고는 50개 이상의 관심기업 어느 곳에서도 실제투자로까지 연결시킨 곳은 없음.

  - 이와 같이 금융조달상의 애로 때문에 국내기업들의 투자가 지연되는 사이, 중국과 스페인, 독일 기업들은 과감한 투자를 단행했으며, 여기서 밀린 국내기업들은 대형 투자 프로젝트에 대규모 기자재 납품기회만을 모색하는 지위로 전락했음.

 

□ 달라지는 신재생에너지 투자패턴

 

 ㅇ 2010년 하반기 이전에 불가리아의 신재생에너지분야에 투자를 실시한 대부분의 기업은 미국과 유럽기업들이었음. 이에 반해 우리나라와 중국 대만 일본기업들은 직접적인 투자보다는 대형 투자프로젝트에 기자재를 납품하는 기회확보에 치중했음.

 

 ㅇ 그러나 불가리아에 투자하는 기업들 대부분은  외부 금융기관을 통해 투자자금을 조달하는 관계로 기자재 제조업체들에서 단순 납품을 받는 것보다는 현물투자 형태로 참여를 더 희망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가장 저렴한 비용을 제시하는 중국산 기자재를 구매함.

 

 ㅇ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업체들이 대형 프로젝트 발주자들로부터 대규모 오더를 받기는 거의 불가능한 상황임. 여기에 국내기자재 업체들의 또 한 가지의 약점은 유럽지역 내의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참여 경험이 거의 없다는 점임.

  - 이는 납품경력을 기자재 공급자 선정의 중요한 기준으로 삼는 불가리아 내 신재생에너지 투자가들에게는 한국산 기자재를 구입하는데 많은 장애물로 작용함.

 

 ㅇ 아울러 우리기업입장에서는 유럽 내 기자재 납품 이력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시장상황과 관계없 이 기자재 납품만을 고집하는 경우, 부족한 이력과 가격 경쟁력의 열세, 소비자 금융상의 불리한 점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납품기회 수주를 위한 상담마저도 갖지 못할 정도로 입지를 상실하게 될 가능성이 큼.

 

 ㅇ 따라서 제반 여건을 감안했을 때 우리기업이 불가리아 내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은 프로젝트 개발자와 컨소시엄 구성을 통한 현물 출자방식임.

 

 ㅇ 이 경우, 투자자금 회수에는 장기간이 소요되지만 궁극적으로 자사 제품을 현지시장에 소개해 제품의 성가를 현지 투자가들에게 경험하게 하고 타 프로젝트에도 납품 기회를 창출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납품이력을 축적해 갈 수 있는 장점이 있음.

 

 ㅇ 또한 발전차액 운영 면에서 불가리아가 유럽 내에서 양호한 편에 속하기 때문에 발전 차액을 수혜함으로 투자자금을 회수할 수 있으며 발전시설에 대한 인수자가 나타날 경우, 프로젝트를 매각해 일시에 투자자금을 보상받을 수도 있음.

 

 ㅇ 최근 우리기업들은 현물출자와 동시에 태양광이나 풍력 발전투자를 신중하게 검토하며 소규모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이와 같은 현상이 본격화됨.

 

□ 광범위한 납품기회 그러나 투자프로젝트 선정은 신중해야

 

 ㅇ 현재 불가리아 태양광이나 풍력투자에 열을 올리는 기업들은 중국, 독일, 한국, 미국 기업들임. 이 중에서도 중국기업들은 막대한 자금을 동원해 전 방위적으로 우량 사이트들을 매집, 투자를 실현함.

 

 ㅇ 한국기업들은 양질의 사이트를 중심으로 선별적인 투자를 실현시키며 독일은 특정지역을 중심으로 대규모의 태양광 프로젝트를 진행함.

 

 ㅇ 모듈의 경우, 한국산과 중국산의 가격 차이가 20% 이상 나서 현실적으로 대량 납품은 어렵지만 일부 물량의 공급은 협상 여하에 따라 가능할 것이며, 인버터 등 관련 기자재 등도 납품을 시도해 볼 만함.

 

 ㅇ 그러나 투자 실현 전에 컨소시엄 구성 파트너에 대한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며 투자대상인 사이트 검증이 선행될 것이 필요함. 일부 투자가들은 태양광 투자를 실현시킬만한 역량을 갖추지 못한 기업들도 있으며 보유 부지나 매입부지 자체가 열악해 투자의 실효성이 낮은 경우도 많으므로 현지 실사나 컨설팅 전문 업체의 검증을 거친 후에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함.

 

 ㅇ 아울러 현재 불가리아 태양광투자의 가장 큰 관건은 프로젝트 완공 이후에 국가송배전망에 연결을 할 수 있을 것인지가 핵심문제이므로 신규 전력에 대한 수용 여유가 있는 지역의 프로젝트이어야 하며 투자가와 송배전 회사 혹은 국영전력회사의 관계가 어떠한지도 주의 깊게 관찰한 이후 참여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함.

 

최근 진행 중인 불가리아 태양광 프로젝트 내역

프로젝트명

형태

용량(MW)

현상태

투자가

Yambol, Bulgaria PV Plant

태양광

10

착공 직전

Astro Energy

Apriltsi PV Farm

태양광

80

계획 중

Real States EOOD/Austrian

NET(New Energy Technology)

Yankovo Solar Park

태양광

2.4

완공

Solarpro Holding

Devnya Solar Park

태양광

5

계획 중

Solarpro  Holding

Malko Tarnovo Solar Park

태양광

2.4

공사 중

Solarpro  Holding

Nova Zagora, Bulgaria SunCarrier PV

태양광

0.67

완공

-

Sillstra PV Plant

태양광

80

계획 중

AES   Solar

Ihtiman, Bulgaria PV

태양광

2

계획 중

Polar Photovoltaics and Wiscom

Silvern PV

태양광

0.863

계획 중

-

Phoenix Solar 20 MW PV

태양광

20

계획 중

Krass Capital Group

Lyubimets Solar Park

태양광

50

계획 중

Sinosol Group

자료원: EBRD Bulgaria

 

□ 시사점

 

 ㅇ 불가리아의 객관적인 신재생에너지 투자환경과 수익성은 2011년 이전에 비해 크게 악화된 것이 사실이나 여전히 유럽국가 중에서는 가장 안정적이며 높은 수익을 보장하는 매력적인 분야임.

 

 ㅇ 특히 불가리아는 다른 국가와는 달리 발전차액제도를 운영하며 발전차액요율도 인근 국가에 비해서는 매우 높은 편임. 여기에 자연 입지조건이 좋으며 국토전역이 평지로 돼 있어 시공비용이나 발전효율이 양호하다는 것이 장점임.

 

 ㅇ 최근 불가리아 정부는 더 이상의 신재생에너지 투자를 억제하기 위해 2011년도에 제정한 신재생 에너지법 개정을 계획하며 법이 개정될 경우,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 이외에 신규 프로젝트 진행은 거의 불가능한 상황이어서 불가리아 태양광 투자는 2012년 6월이 마지노선이 될 것으로 예측됨.

 

 ㅇ 불가리아 내 태양광이나 풍력 투자가들은 자본이 빈약한 상태이며 모듈이나 인버터 혹은 기타 재생에너지 기자재를 현물 형태로 투자하거나 최소한 소비자 금융을 제공해 납품하는 것을 환영하는 편이므로 우리 기업들에는 마지막 기회가 될 수도 있음.

 

 ㅇ 현물 투자는 대규모 납품기회의 성사는 물론, 현지 홍보, 향후 발전차액 공유, 유럽지역 내의 납품 실적축적 등 유무형 효과를 거둘 수 있으므로 투자 전 신중한 투자수익 분석을 통해 우량 파트너와 입지를 선정, 선별적으로 참가할 경우 기대이상의 성과를 낼 것으로 판단됨.

 

 ㅇ 아울러 대규모 노지 프로젝트 건설뿐만 아니라 경기장, 대형건물의 옥탑과 같은 소규모 고효율의프로젝트 소유자들도 국내업체들의 참가를 희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불가리아에 대한 편견을 버리고 더 적극적인 입장에서 불가리아 신재생에너지 투자를 검토해 보는 것이 필요한 시점임.

 

 

정보원: EBRD, Intelligent News, UBB Reports 등 보유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녹색정책] 불가리아에 부는 신재생에너지 투자 붐)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