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녹색산업기술] 카자흐스탄 농업성장 선두엔 비닐하우스가
  • 경제·무역
  • 카자흐스탄
  • 알마티무역관 슈퍼관리자
  • 2011-12-14
  • 출처 : KOTRA

 

카자흐스탄 농업 성장 선두엔 비닐하우스가

- 정부의 적극 지원 아래 카자흐스탄 비닐하우스 시장 성장 중 -

 

 

 

□ 카자흐스탄 비닐하우스 시장 현황

 

 ○ 카자흐스탄의 비닐하우스 시장 규모는 난방시스템, 관개시스템, 가습 및 냉각 시스템, 공기 순환 시스템 등 여러 가지 시장이 복합돼 있어 그 규모를 정확히 측정하기는 어려우나 대략 연간 2000만 달러로 측정됨.

 

 ○ 카자흐스탄의 모든 비닐하우스는 모두 수입품이었으나, 2011년 쉼켄트에 최초로 비닐하우스 생산공장이 설립됨. 이 프로젝트에는 한국 “KS Industry Co., Ltd.” 기업의 장비 및 기술이 적용됐음.

 

지역별 야채 가격

지역

토마토(소매, KZT/kg)

오이(도매, KZT/kg)

Astana

280

500

Aktobe

250

560

Almaty

195

350

Atyrau

170

500

Kokshetau

190

450

Karaganda

145

336

Kyzylorda

186

459

Kostanai

169

436

Pavlodar

273

418

Petropavlovsk

194

510

Taldykorgan

145

326

Taraz

194

288

Uralsk

220

430

Ust Kamenogorsk

223

443

Shymkent

190

330

주: 국가 평균가격 이상인 지역의 수는 토마토 6개 지역, 오이 10개 지역임.

 

 ○ 현재 모든 지역이 비닐하우스에서 모를 심고 꽃을 가꾸고 있으나 그 면적은 현재 많이 미약한 수준임. 전체적으로 108개의 야채 온상시설이 있으나 재배 면적은 60헥타르 수준임.

 

 ○ 유통량이 많은 지역은 카자흐스탄 남부지역과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중국 등임.

 

 ○ 기온이 낮은 북부 카자흐스탄 지역에도 비닐하우스 시설이 확대되는데, 현재 코스타나이 지역에 22개의 비닐하우스가 설치돼 있지만 카자흐스탄 북부지역 채소 수요량과 비교하면 턱없이 부족한 양임.

 

□ 카자흐스탄 비닐하우스 생산 현황

 

 ○ 비닐하우스는 기후 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사계절 채소들을 시기에 구애받지 않고 생산할 수 있음. 국가 지원으로 비닐하우스 시설은 확대되는 추세이며, 현대적인 장비를 갖추고 있음.

 

 ○ 반면, 기존 비닐하우스의 현대화에 필요한 비용(이스라엘 기준)이 1헥타르 당 15만~25만 달러이며, 최신 기술을 도입할 경우 1헥타르 당 100만 달러가 넘기 때문에 아직까지 카자흐스탄에는 부담되는 수준임.

 

 ○ 아울러 대부분의 종자가 네덜란드나 러시아에서 수입되기 때문에 이에 드는 비용 또한 만만치 않음. 현재 카자흐스탄 농업분야는 다방면에서 전면 개발이 필요한 상황임.

 

국가별 비닐하우스 채소 생산량

                                                                        (단위: 천 톤)

출처 : 카자흐스탄 통계청

 

국가별 총 채소 생산량 대비 비닐하우스 채소 생산 비율

                                                                        (단위: %)

출처 : 카자흐스탄 통계청

 

 ○ 우크라이나 비닐하우스 채소 생산 비율은 3.6%, 폴란드는 7.6%, 러시아는 5.4%임. 러시아 비닐하우스 채소 생산비율이 고작 5%대임에도 그 생산량은 카자흐스탄의 54배 이상임.

 

 ○ 이들 국가 중 우크라이나는 러시아, 폴란드는 유럽시장으로 수출해 시장규모를 유지함.

 

□ 카자흐스탄 비닐하우스 장단점 분석

 

 ○ 장점 : 정부 지원 확대 예정

  - 카자흐스탄 비닐하우스 협회에 따르면 정부의 보조정책 중 하나로 2012년까지 비닐하우스 수입 부가세가 없음. 이는 수출업자와 수입업자 모두에게 중요한 인센티브임.

  - 비닐하우스 단지의 인프라 개발에 광범위하게 재정적인 지원을 했음.

  - 일례로 2009년 KazAgroFinance의 지원을 통해 40개의 비닐하우스가 건설됐는데, 이는 정부가 농업부문 발전의 필요성을 인지하기 때문임.

 

 ○ 단점 : 비닐하우스의 낮은 생산성

  - 수입산 비닐하우스의 높은 가격

  - 기존 비닐하우스의 낙후된 생산 시설로 인한 낮은 생산성

  - 수입산 종자 사용에 따른 높은 생산 비용

  - 국내 비료 생산 부족

 

 ○ 전망 : 정부 지원에 민간 투자도 확대될 예정

  - 매년 비닐하우스 건설은 15헥타르 이상임. 2009년 20헥타르, 2010년 15헥타르, 2011년 20헥타르가 건설됐음.

  - 향후 비닐하우스 채소 생산 비율이 4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앞으로 정부뿐만 아니라 민간 투자도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 예상

 

□ 카자흐스탄의 비닐하우스 수입 현황

 

 ○ 비닐하우스 수입 현황

(단위 : 백만 달러, %)

순위

국가

수입액

점유율

증감률

2009

2010

2011(상)

2009

2010

- 10/09

0

전 세계

3,898789

8,698459

7,052437

100

100

123,11

1

러시아

0,096259

3,643162

0

2,47

41,88

3684,75

2

한국

2,678196

3,150597

0,394

68,69

36,22

17,64

3

중국

0,37829

1,59616

0,033101

9,7

18,35

321,94

4

이란

0

0,29443

0,23614

0

3,39

0

5

키르기스스탄

0

0,01411

0

0

0,16

0

6

프랑스

0

0

0

0

0

0

7

네덜란드

0

0

0

0

0

0

8

스페인

0

0

0

0

0

0

9

터키

0,677672

0

0,289364

17,38

0

-100

10

우즈베키스탄

0

0

0,02

0

0

0

11

이스라엘

0,066272

0

5,858638

1,7

0

-100

12

아랍에미리트

0,0021

0

0,221194

0,05

0

-100

출처 : WTA

 

 ○ 카자흐스탄에서는 국내 생산이 없거나 국내 수요를 자체적으로 충족시킬 수 없는 경우 부가가치세를 면제해주는 혜택을 제공함.

 

 ○ 2012년부터 비닐하우스를 무관세 품목으로 지정함.

 

□ 카자흐스탄 비닐하우스 시장에 진입 전략

 

 ○ 현재 카자흐스탄 농업시장은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신기술과 러시아, 이스라엘, 미국 등의 선진 시스템을 도입함.

 

 ○ 내년도부터 관세가 없어지기 때문에 앞으로 경쟁은 더 치열해질 것이므로, 경쟁력을 갖기 위한 가격 및 품질 경쟁력 확보가 필요함.

 

 ○ 가격이 저렴한 중국산 비닐하우스가 카자흐스탄에서는 성공적이지 못한 것을 고려할 때 신기술 시스템 설비, 품질 개선 등을 강조한 마케팅 활동이 필요함.

 

 

자료원 : 카자흐스탄 통계청, WTA, KOTRA 알마티 무역관 보유자료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녹색산업기술] 카자흐스탄 농업성장 선두엔 비닐하우스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