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인도, 4500억 달러 소매유통시장 전격 개방 – 외국기업 본격 진출허용
  • 경제·무역
  • 인도
  • 뉴델리무역관 슈퍼관리자
  • 2011-11-25
  • 출처 : KOTRA

 

인도 4500억 달러 소매유통시장 전격 개방 – 외국기업 본격진출 허용

- 단일 브랜드 100%, 멀티브랜드 51% 허용, 사실상 전면 개방 -

- 대형 외국계 유통기업, 공격적 시장 진출 예고 –

 

 

 

□ 인도 소매유통시장 지각 대변동 예고

 

 O 11월 25일 만모한 싱 총리가 이끄는 인도 정부는 외국 소매기업에 대한 소매시장 개방 허용을 전격으로 발표함.

  - 월마트, 테스코, 까르푸로 대표되는 멀티브랜드 유통기업에 대해 51% FDI 허용, 스타벅스, Zara, M &S와 같은 단일 브랜드 유통기업에 100% FDI를 전격 허용

  - 통상부 장관 Anand Sharma는 24일 인도 정부 내각(Cabinet)에서 이와 같은 정부 결정을 언론에 공개하고, 의회 동의를 취득할 예정임을 발표

 

단일 브랜드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제조시점에 부착된 브랜드의 판매시점까지 유지 외에 해당 브랜드의 매장에서는 다른 브랜드 제품을 판매할 수 없으며, 판매되는 제품은 국제적으로도 동일한 브랜드로 판매돼야 한다는 제한조건을 충족시켜야 함.

 

 O 인도 소매시장은 현재 4500억 달러 규모이며, 월마트, 테스코, 까르푸 등 해외 거대 유통기업들이 유통시장 개방에 대비해 시장에 진입해 있음.

  - 인도 소매시장은 2015년까지 7850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BMI:Business Monitor International)

  - KPMG 인도 법인은 이 발표를 두고 “세계 최대의 유통기회가 새롭게 열렸음을 의미하며 입맛만 다지던 외국 유통기업들이 이제 앞다퉈 바쁜 행보를 시작할 것”이라고 평함.

 

 O 이번 유통시장 개방은 만모한 싱 총리 정부가 출범한 이래 가장 획기적인 정책 결정으로 평가

  - 인도 정부는 1997년 Cash &Carry 유통점에 대해서만 100% 허용했으며, 2010년까지 총 780억 루피(16달러)의 FDI가 유입됨. 2006년 단일 브랜드 소매업에 대해 51% 진출을 허용했으며, 2010년까지 9억 루피의 FDI가 유입됨.

  - 멀티브랜드 기업 진출은 첫 논의가 시작된지 16년만에 허가 발표가 이뤄짐. 2011년부터 멀티브랜드 기업 진출 법안이 본격 논의됐으며 지난 11월 8일 산업부가 각료회의에 51% 허용 법안을 제출하며 급물살을 타기 시작, 11월 18일 대부분의 각 부처장관이 동의함.

  - 24일 발표와 동시에 CNN, BBC 등 주요 채널과 Bloomberg, WSJ 등 주요 매체들이 경쟁적으로 헤드라인으로 보도, 높은 관심도를 반영

  - Big Bazzar를 소유한 Future Group의 CEO는 향후 5~10년간 최소 70억~100억 달러 규모의 외국인 투자 유입이 기대된다고 당일 인터뷰에서 언급

  - 24일 인도 주요 소매기업의 주가는 일제히 상승. Pantaloon +12.56%, Shoppers Stop +5.49%, Trent +10.11% 등

 

 O 이번 유통시장 개방 결정은 내수 시장 식료품 인플레이션에 이어 세계 경제 침체의 영향을 우려한 정부의 과감한 결정으로 분석됨.

 

 O 정부가 발표한 유통시장 개방 관련 조건부 조항은 다음과 같음

  - 외국 유통 기업은 최소한 1억 달러를 투자해야 함.

  - 총 투자액의 최소 50%를 백엔드(back-end) 인프라 구축에 투자해야 함. 이는 냉장 운반 및 물류 창고 구축 등을 의미함.

  - 총 구매의 최소 30%는 중소상인을 대상으로 해야 함.

  - 최소 100만 인구 이상 규모의 도시에만 매장 오픈할 수 있음. 인도에는 100만 인구 이상 도시가 현재 42개 있음.

  - 또한 주정부 별로 유통기업 진출 조건부를 달 수 있게 할 예정임.

 

 O 단일 품목을 취급하는 단일 브랜드(Single brand) 유통기업은 100% 투자가 가능해짐에 따라 다국적 생활가구 단일 브랜드 기업인 이케아(IKEA)의 시장 진입도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것이 유통 업계의 관측

 

 O 또한, 단일 브랜드 100% 진출 허용으로 다국적 패션 럭셔리 브랜드들의 진출이 본격화될 전망

  - 대표적으로 루이뷔통은 단일브랜드 진출 허가를 기다리며 인도 진출을 준비해옴.

  - 이외 이미 진출한 패션 브랜드 Zara, Tommy Hilfiger, Giorgio Armani(DLF와 합작) 등은 합작법인을 통해 진출해 있었으며, M &S는 Reliance Retail사와 51:49 합작을 통해 진출해 있음.

 

□ 부분 진출한 외국 유통기업의 동향

 

 O 다국적 유통기업들은 유통시장 전면 개방에 앞서 합작형식으로 시장에 진입해 있음.

 

 O 외국 유통업계의 관계자 말에 따르면, 인도 유통기업에 대한 인수전이 본격화될 것이라는 업계시각이 팽배함.

  - 월마트는 2007년 인도 바티 그룹과 50:50의 합작 법인을 설립, 백엔드 방식으로 참여하며 현재까지 150여 개 Easy Day 매장을 운영 확장해 옴. 개방 정책 발표 직후부터 바티 그룹의 Easy Day를 인수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음.

  - 이외에도 월마트는 인도 1위 유통점 Big Bazzar에 대한 인수설이 끊이지 않은 가운데, 본격적인 인수가 시작될 것이라는 관측도 이미 나오고 있음.

  - 테스코(Tesco)는 2008년 Tata 그룹의Trent와 합작을 설립함.

  - 까르푸는 2010년 뉴델리에 Cash &Carry 매장을 1개 오픈하며 시장에 진입했으며, 이번 개혁 정책을 매우 환영한다는 공식 입장을 발표하고 C &C 매장 운영에 집중할 계획을 시사함.

  - 독일 Cash &Carry 유통기업 METRO는 2003년 최초로 인도에 진출한 다국적 유통기업이나 소매유통 매장을 오픈할 확률은 낮은 것으로 분석됨.

  - 미국 대형 가전유통 매장인 Best Buy는 인도 진출을 위해 현재 Reliance Retail과 접촉 중임.

 

인도 Zirakpur에 있는 월마트 도매형 매장과 인도 최대 유통매장 Big Bazzar

 

자료원: Bloomberg 및 Times of India

 

□ 야당의 거센 반대 및 논점

 

 O 야당인 인도국민당(BJP)은 인도 중소상인을 죽이는 정책이라고 비판하며, 전면 반대를 선포, 정치 이슈로 여론 몰이를 시작함.

  - 'Kirana'로 불리는 인도 재래식 소매점의 생계 위협이 가장 큰 관건. 현재 90%의 소매 유통시장이 가족 소유 소매점인 Kirana로 구성됨. 이제 대기업형 유통이 시장을 잠식할 것이라는 우려 속에 야당인 BJP 당이 반대 여론을 주도함.

  - 대형 유통기업들이 직구매를 본격화하면 인도 중개업체들이 대폭 감소될 전망

  - 대형 유통기업 구매력에 의해 인도 식생활용품(FMCG) 기업들의 마진이 낮아질 수 있음.

 

 O 반면, 다양한 측면의 긍정적 효과들이 부각되며 인도 소매업계는 환영

  - 막대한 외국 투자금 투입으로 소매 유통업시장 활성화

  - 수출 및 채용 기회의 증대

  -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선택과 소비자 친화적 가격을 제공

  - 공급자들과 농부들의 공급가격 향상과 구매 증대 효과

 

 O 외국 유통기업의 선도적인 유통시설과 기술 필요성은 계속 증대

  - 현재 인도 과일채소류 40%는 냉장 및 물류 운반시설이 미흡해 판매되기 전에 썩거나 시들어서 폐기되는 것으로 정부가 발표한 바 있음.

  - 2010년 월마트 인도 CEO Raj Jain은 대형 외국 유통기업이 공급체인 개선 및 인프라 구축을 통해 가격 인하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언급했으며, 바티 월마트는 펀자브지역의 1200여 개 농가로부터 직구매를 실시하며 생산기술 향상에 기여하고 있음을 강조한 바 있음.

 

□ 시사점

 

 O 주별 주정부의 실제 집행에 있어 제약이 발생할 수 있음. 서 뱅갈주의 장관은 정책이 공개 발표되자 마자 반대 입장을 표명한 바 있으며, 우타프라데쉬 주는 선거를 앞두고 이번 개방 정책에 반대 입장을 취하고 있어 추이를 지켜봐야 함.

 

 O 단일브랜드 100% 투자가 가능해짐에 따라 부문별 진출을 고려해 볼 수 있음.

  - 인도 식료품 시장의 비중은 전체 소매시장의 59.5%로 식품 관련 단일 브랜드 진출을 적극적으로 고려해 볼 수 있음.

  - 또한 패션 및 액세서리 부문 역시 식료품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약 10% 비중을 차지함

  - 대형 패션 유통점 중 GAP, H&M의 인도 진출이 임박한 것으로 알려졌음.

 

 O 인도 소매유통시장은 급팽창하는 만큼 재래식 유통망의 개선이 필요하며 열악한 인프라에 따른 투자 부담이 발생할 수 있음.

 

 O 인도 중산층의 증가 추이에 따라 소비 트렌드와 잠재 소비시장 분석과 철저한 준비가 선행돼야 할 것임.

 

 

자료원: Times of india, Economic Times, CNBC, Bloomberg 및 KOTRA 뉴델리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4500억 달러 소매유통시장 전격 개방 – 외국기업 본격 진출허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