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알제리 여성에게 `마스카라` 가장 인기
  • 현장·인터뷰
  • 알제리
  • 알제무역관 오현탁
  • 2011-09-24
  • 출처 : KOTRA

 

알제리 여성에게 '마스카라' 가장 인기

- 신뢰와 인지도 있는 화장품 선호도 높아 -

- 화장품 유통 경로가 극히 제한적, 암시장 특수성 상존 –

 

 

 

☐ 알제리 미용시장 분석

 

 ○ 현재 미용시장

  - 알제리 여성의 구매가 활발해져 2010년 색조화장품의 가치는 7% 증가한 60억 알제리 디나르(약 8450만 달러)에 이름.

  - 화장품 소매상인들 간의 유통 시스템의 발달로 암시장에서 화장품 구매를 하던 많은 여성이 합법적으로 유통되는 제품에 눈길을 돌리는 추세

 

 ○ 알제리 여성들의 화장품 구매 성향

  - 알제리 여성들은 짙게 화장하는 것을 부정적으로 간주함. 따라서 일상적인 화장 톤은 가벼운 편이며, 이른바 ‘풀 메이크업’은 결혼식과 같은 행사에서만 하는 경향

  - 전통적으로 콜(kohl)이라고 부르는 검은색의 아이펜슬은 예언자 무함마드의 종교적 관습에 기원해 전국적으로 여성들은 눈을 검게 칠하는 화장을 하는 경향이 있음. 종교심이 깊은 여성들은 물에 씻기지 않는 매니큐어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음.

  - 가장 높은 가치를 지는 제품은 마스카라로 2010년 11%의 구매 증가율을 보임. 다음으로 립스틱, 아이펜슬, 블러셔가 가장 인기 많은 색조 화장품임.

  - 알제리 국내 화장품 업체는 극히 소수임. 이는 화장품 제조를 관리하는 법제 및 규율이 없기 때문. 따라서 알제리 여성들은 자국 회사의 제품은 거의 쓰지 않으며 외국 브랜드를 선호함

 

알제 소재 대형 쇼핑몰 ‘Bab Ezzouar’ 내에 있는 ”Make-up Studio”(네덜란드 회사 브랜드)의 boutique

자료원 : http://www.make-upstudio.com

 

지난 5년간 품목별 색조 화장품 판매

(단위: 백만 알제리 디나르)

구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눈 화장제품

698.2

740.5

798.5

867.5

944.7

1,033.2

얼굴 화장제품

1,534.0

1,625.0

1,676.3

1,768.4

1,873.6

2,007.4

입술 화장제품

1,419.0

1,505.0

1,609.0

1,716.9

1,835.6

1,971.5

네일 제품

746.0

793.0

834.6

880.3

930.6

986.2

색조 화장품

4,397.2

4,663.5

4,918.4

5,233.1

5,584.5

5,998.4

* 1알제리 디나르 = 약 14센트

자료원: Euromonitor

 

 ○ 알제리 미용시장 제품 유통 특성

  - 제품의 유통경로가 제한돼 있으며, 구매력이 높지 않아 고가 제품의 구매 대상은 극도의 소수 여성임.

  - 신제품 혹은 고가 화장품은 알제리 내에서 거의 찾아볼 수 없기 때문에 구매를 원하는 여성은 주로 해외 여행 시 구매하거나 특정 보따리장수들로부터 구매함.

  - 아직까지 암시장, 보따리장수들의 화장품 유통 활동이 활발하므로, 수입이 낮은 여성은 암시장에 의존함.

  - 이와 같이 암시장의 유통경로를 무시할 수 없으며, 이러한 유통경로를 통해 들어온 화장품 중에는 위조품이 많으므로 소매상인들과 고객의 신뢰도가 중요시됨.

  - 현재 알제 수도에서 찾아볼 수 있는 공식적인 화장품 브랜드 매장은 Yves rocher(9개), make up forever(1개), Arcancil(1개)가 있으며, 합법적으로 유통되는 나머지 제품들은 약국, 마트, Tabac(담배가게)에서 거래됨.

 

 ○ 현재 알제리 화장품 생산, 공급 주요 업체

  - 국내기업: 약 20개

    (Arcocer, Floreal Sarl, Groupe Allouache, Moulouk, Madcos, Gd Pharm, Eurl 등)

 

알제리 내 프리미엄 화장품 브랜드 점유율

             (단위: %)

Company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L’Oreal Groupe

27.2

27.8

28.1

29.1

Valdor Arcancil, Laboratoires

17.6

17.8

17.5

17.7

Beiersdorf AG

11.6

11.6

12.3

12.7

Bourjois SA

8.1

8.7

8.9

9.1

Yves Rocher SA

7.1

7.3

7.6

7.8

Clarins SA

6.6

6.8

6.8

7.0

Gemey Maybelline Garnier SNC

4.9

5.2

5.3

6.1

기타

17.0

14.9

13.5

10.5

합계

100.0

100.0

100.0

100.0

자료원: Euromonitor

 

☐ 시장 전망 및 시사점

 

 ○ 시장전망

  - 색조 화장품을 생산하는 알제리 자국 회사는 소수이며 여전히 암시장으로 유통되는 외국 화장품들과 심한 경쟁이 예상됨. Bourgeon과 같은 알제리 화장품 회사는 생산라인을 확장하려고 하지만 상류층 여성들은 외국 회사의 제품만을 구매하고, 서민 여성은 암시장을 이용하므로 화장품 판매 업체들의 점유율은 크게 변하지 않을 것임.

  - 일반적으로 알제리 여성들의 구매력이 낮기 때문에 암시장의 구매가 끊이지 않으며 불법 유통 거래의 성행이 다른 무역 화장품 회사들에 큰 걸림돌이 될 수 있음.

  - 가장 인기 있는 제품인 마스카라는 지속적으로 5%의 연간 누적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됨.

 

 ○ 마케팅 시사점

  - 한국 화장품의 다양성: 다양하지 종류의 화장품을 구하기 어려운 알제리 시장에서 한국화장품의 다양성은 경쟁적인 요인이 될 수 있음.

  - 품질 대비 가격 경쟁력: 한국 화장품은 가격이 저렴한 제품이 많고 모든 화장품은 피부과 실험을 거치므로, 알제리 자국산 회사 제품보다 알제리 여성들의 신뢰와 호감을 얻을 수 있음.

  - 그러나 알제리 여성들에게 아시아 브랜드의 인지도는 저조함. 따라서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으로 이미지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고 판단됨.

 

 

자료원: Euromonitor, http://www.city-dz.com/, www.lesoirdalgerie.com/, KOTRA 알제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알제리 여성에게 `마스카라` 가장 인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