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신정장상품] 인도네시아, 의료서비스 양극화와 해외 의료쇼핑
  • 경제·무역
  • 인도네시아
  • 자카르타무역관 윤여필
  • 2011-04-29
  • 출처 : KOTRA

 

인도네시아, 의료서비스 양극화와 해외 의료쇼핑

 

 

 

□ 최근의 의료 트렌드

 

 ○ 열악한 생활 및 의료환경으로 다양한 전염성 질병이 증가함.

  - 말라리아(1.5명/1000명), 결핵, 폐렴(39만 건), HIV/AIDS(2009년 약 2만 건 발생), 나병(7.49명/10만 명) 등이 존재

  - 모기로 인해 발생하는 Dengue Fever(2009년 약 16만 건)와 Chikungunya(2009년 약 2만5000건)도 상당수 발생

 

 ○ 2009년 10대 사망 원인으로 혈액, 기생충, 호흡기 등이 꼽힘.

 

순위

질병

사망건

CFR

1

혈액순환관련 질환

23,163

11.06

2

감염성 및 기생충 관련 질환

16,769

2.89

3

신생아 사망

9,108

9.74

4

호흡기 질환

8,190

3.99

5

소화기 질환

6,825

2.91

6

부상, 독 등과 관련된 질환

5,767

2.99

7

내분비계 질환

5,585

6.73

8

비뇨기계 질환

4,542

3.56

9

Neoplasms

4,332

4.70

10

신드롬

4,238

2.80

 

 

 ○ 2009년 정부발표에 따르면 외래환자들의 주요 질병은 급성호흡기 질환, 고열, 피부 등의 질환이 주로 발생

 

순위

질병

건수

1

급성호흡기 질환

488,794

2

고열

275,254

3

피부

247,256

4

감염성 소화기 질환

172,013

5

눈병

156,660

6

소화불량

133,162

7

고혈압

123,269

8

치과질환

122,467

9

청각관련 질환

105,605

10

결막염

153,488

     

 ○ 2009년 입원환자 중 전염에 의한 위/장 질환이 많았으며, 이는 불결한 식생활과 오염된 물 때문인 것으로 보임.

 

순위

질병

Cases

1

설사 및 위장염

143,696

2

Dengue fever

121,334

3

장티푸스

80,850

4

고열

49,200

5

소화불량

47,304

6

고혈압

36,677

7

급성 상기도 감염

36,048

8

폐렴

35,647

9

충수염

30,703

10

위염/십이지장염

30,154

 

□ 저소득계층을 위한 의료정책

 

 ○ 인도네시아 정부는 ‘Healthy Indonesia 2010’을 발표

  - 환경개선을 통한 개인·가족·공공 보건 향상

  - 국민 대부분이 지급 가능하고 접근하기 쉬운 질 좋은 의료서비스 제공과 향상

  - 공공의료서비스의 의존도 향상

 

 ○ 이에 정부는 몇몇 프로그램을 가동

  - (저소득계층 대상) 저소득계층을 위해 대부분 의약품을 1000루피아에 제공하는 JAMKESMAS를 시행

  - (의약품 제조) 정부는 토종 제약업체에 초저가 약품을 생산토록 적극적으로 권장

  - (Generic 보조) 정부는 Generic 생산 제약사에게 약 5억1700만 달러의 보조금을 지급할 계획

  - (투자 인센티브) 제약사 육성을 위해 정부는 각종 원약의 수입관세를 인하

  - (UN MDG 프로그램에 동참) 인도네시아 정부는 저소득 및 유아들을 위해 UN MDG 프로그램에 동참

 

□ 고소득계층의 해외의료서비스 쇼핑

 

 ○ 열악한 의료서비스로 인해 대부분의 고소득층은 해외 의료서비스 쇼핑에 나섬.

 

 ○ 2004년 세계은행 자료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사람들이 해외에서 의료서비스에 지출한 금액은 약 80억 달러임.

  - 한 전문가에 따르면 2010년 해외의료서비스 쇼핑에 든 금액이 약 115억 달러임.

 

 ○ 이들이 가는 주요 국가는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임.

  - 의사소통이 수월하고 비용이 싱가포르보다 저렴한 말레이시아를 더 선호함.

  - 2009년 약 50만 명이 치료를 위해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를 방문했으며, 최근 중국과 태국 방문(성형수술이 주목적)도 증가함.

 

 

자료원 : 인도네시아 보건부, Internation Medical Travel Journal, 각종 언론자료, KOTRA 자카르타 KBC 의견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신정장상품] 인도네시아, 의료서비스 양극화와 해외 의료쇼핑)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