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태국, 올 1분기 한국산 수입 20.8% 증가
  • 경제·무역
  • 태국
  • 방콕무역관 박영선
  • 2011-04-21
  • 출처 : KOTRA

 

태국, 올 1분기 한국산 수입 20.8% 증가

 

 

 

□ 태국, 1분기 수출 28.2%, 수입 27.9% 증가

 

 ○ 태국의 1분기 수출은 전년 동기대비 28.2% 증가로 양호한 상황을 나타냄. 지역별로는 일본에 대한 수출 증가가 30.2%로 가장 크며 나머지 국가들에 대한 수출도 모두 20% 넘는 증가세를 보임.

 

 ○ 태국의 수출 증가를 주도한 품목은 고무(86.3%), 고무제품(31.1%), 쌀(26.4%) 등 농산물 등이며, 이밖에 자동차 및 부품(21.1%), 보석(119.6%), 석유화학제품(65.5%), 전기기기(49.5%) 등의 수출이 크게 증가했음.

 

 ○ 태국 상무부는 올해 전체 태국의 수출이 전년 대비 12% 증가한 2190억 달러로 전망하는데, 이는 증가하는 원유가격 및 이자율, 주요 산업에 부족한 노동력 등을 감안한 수치임.

 

태국의 지역별 수출 현황

                                                                                                              (단위 : 백만 달러, %)

국가

2009

2010

2011.1~3

증가율

세계

152,426.3

195,311.6

56,874.4

28.2

아세안(9개국)

32,489.7

44,333.9

12,709.6

20.7

일본

15,723

20,415.7

5,940.6

30.2

미국

16,661.3

20,200.4

5,349.9

21.2

EU(27개국)

18,153.6

21,814.6

6,311.2

21.7

자료 : 태국 상무부

 

 ○ 올 1분기 태국의 수입은 전년 동기대비 27.9%가 증가했으며 아세안 9개국과 EU 27개국, 미국에 대한 수출이 모두 30% 이상의 증가율을 보였음. 높은 수입 증가를 보인 품목은 선박(586.9%), 가정용 전기제품(35.5%), 원유(44.7%), 철광석(32.2%), 채소류(47.7%) 등임.

 

태국의 지역별 수입 현황

                                                                                                              (단위 : 백만 달러, %)

국가

2009

2010

2011(1~3월)

증가율

세계

133,663.4

182,406.5

54,177.2

27.9

아세안(9개국)

24,699.0

30,327.5

9,570.1

34.5

일본

25,023.4

37,856.1

10,480.1

20.5

미국

8,373.2

10,675.3

3,328.6

31.4

EU(27개국)

12,049.7

13,887.8

4,372.8

35.1

자료 : 태국 상무부

 

□ 1분기 한국의 대태국 수출 20.8% 증가

 

 ○ 올 1분기 한국의 대태국 수출은 18억5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20.85% 증가했으며, 수입은 13억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32.5%가 증가했음.

 

한국의 대태국 수출입 현황

                                                                                                              (단위 : 백만 달러, %)

국가

2009

2010

2011.1~3

증가율

수출

4,528

6,460

1,859

20.8

수입

3,239

4,169

1,307

32.5

수지

1,289

2,291

552

0

자료 : KITA

 

 ○ 올 1분기 한국의 대태국 수출이 크게 증가한 품목은 아세테이트섬유, 섬유기계, 폴리에스터사, 폴리에스텔 섬유, 편직제의류 등 섬유산업 관련 제품이 다수를 차지해 태국 섬유산업의 성장을 반영함.

 

 ○ 그밖에 다이캐스팅 금형, 플라스틱 금형, 프레스금형 등 각종 금형제품의 수출도 크게 증가했으며, 식품포장기계, 산업기계, 운반하역기계 등 각종 기계류 수출 증가도 돋보임.

 

 ○ 올해 태국의 경제가 작년에 이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한국산 제품의 대태국 수출도 20% 안팎의 양호한 증가가 예상됨. 또한 대태국 수출품목의 구조 역시 지난 수년간 강세를 보여온 철강제품, 석유화학제품, 전자부품, 각종기계류를 주축으로 큰 변화 없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함.

 

대태국 수출 증가 높은 제품(2011년 1~3월)

                                                                                                                     (단위 : 달러, %)

순위

품목명

2010

2011(1-3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6,459,776,005

42.7

1,858,689,523

20.8

1

아세테이트섬유

4,705,886

-

1,786,475

43,041.20

2

꿀 및 로열젤리

33,829,165

14,432.70

16,196,050

30,755.50

3

프레스금형

7,123,350

210

16,733,175

1,803.40

4

운반하역기계

22,537,370

187.6

15,457,408

1,334.90

5

경보신호기

1,126,416

20.1

2,426,787

1,255.80

6

반도체 제조용 장비

10,817,652

94

2,126,292

893.6

7

분석시험기

4,175,778

-42.7

1,823,619

651.2

8

무기류

8,818,062

62.6

8,633,771

494.4

9

다이캐스팅 금형

5,565,211

316.2

3,424,373

481.7

10

플라스틱 금형

46,693,153

127.3

33,042,842

476.5

11

황산

2,673,597

321.9

1,262,150

408.5

12

섬유기계

6,840,097

39.9

4,145,685

365.1

13

자동제어기

11,499,326

302.3

1,294,645

334.1

14

전구

3,614,382

47.8

3,428,504

232.5

15

유지가공품

3,663,996

60.9

1,808,306

214.4

16

유선통신기기부품

5,339,214

-4

1,883,918

203.4

17

식품포장기계

6,758,702

10.1

2,095,057

186.3

18

기타어류

4,854,829

26.9

1,454,635

177.3

19

기타산업기계

35,077,963

7.5

20,672,241

176.6

20

강반제품

22,529,993

328,182.0

2,324,214

169.6

21

무선전화기

83,637,938

-5.2

46,628,703

161.7

22

석유화학중간원료

12,444,122

57.2

3,606,874

159.2

23

기타기계류

53,989,919

118.5

15,466,049

157.7

24

계측기

14,486,174

31.9

4,426,256

139.4

25

폴리에스터사

4,028,349

154.1

1,491,290

138.3

26

폴리에스텔 섬유

9,480,134

91

4,629,193

132.8

27

편직제의류

2,140,951

208.1

1,042,265

127.2

28

의료용기기

3,746,791

-16.5

1,517,797

121.8

29

VCR

5,384,761

31.8

2,928,221

114.4

30

기초유분

127,597,368

51.1

61,454,735

112.5

자료 : KITA

 

 

자료원 : 태국 상무부, KITA, 방콕포스트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태국, 올 1분기 한국산 수입 20.8% 증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