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카자흐스탄 도로건설 프로젝트 현황
  • 경제·무역
  • 카자흐스탄
  • 알마티무역관 최진형
  • 2011-04-14
  • 출처 : KOTRA

 

카자흐스탄 도로건설 프로젝트 현황

- 자동차도로 및 철도 등 수송 인프라 개선에 주력 -

- 건설장비시장도 동반 성장할 것으로 기대 -

     

  

 

□ 개요

     

 ○ 카자흐스탄 정부는 2015년까지 총비용 약 300억 달러가 투입되는 도로 인프라 개발 프로그램을 진행함.

 

 ○ 구소련 연방 시절에 구축된 카자흐스탄 교통 인프라는 개발이 부족한 상태임. 수송통신부는 2010년 중국-러시아 간 도로 건설을 위한 입찰을 발표했으며, 이를 위해 약 10억 달러를 다자간개발은행으로부터 조달할 예정임.

 

 ○ 세계경제의 위기에도 카자흐스탄은 도로 및 철도 건설과 현대화 등 인프라 프로젝트를 지속할 예정임.

     

□ 산업개요 및 시장 수요

     

 ○ 카자흐스탄은 국토면적이 서유럽 전체와 비슷함. 유라시아 대륙의 중간부분을 점유하며 경제는 주로 자원채굴산업과 광물자원 수출에 집중됐음.

 

 ○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지정학적 요인과 방대한 광물자원을 원거리로 수송해야 하기 때문에 카자흐스탄 경제에 화물수송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며 수송능력은 도로 인프라에 크게 의존함.(WB의 Ease of Doing Business Report에서 카자흐는 국경을 통한 교역측면에서 낮은 순위에 랭크)

 

 ○ 구소련연방의 유산인 열악한 수송 인프라는 개발이 부족해 100square mile당 철도는 3마일, 자동차 도로는 20마일 수준임. 또한 4차선 고속도로는 거의 없고 주요 도시를 잇는 도로도 2차선으로 돼 있어 급격히 성장하는 카자흐의 경제 수요를 맞추기 어려울 뿐 아니라 현대화가 필요함.

 

 ○ 운송 및 물류서비스는 카자흐스탄 정부의 7개 우선분야 중 하나로 국가의 글로벌 경쟁력 향상과 석유 및 가스에 대한 의존도를 다변화시키기 위해서도 꼭 필요한 분야임.

 

 ○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천혜의 지정학적 위치와 러시아와 중국과의 광활한 국경으로 인해 카자흐는 운송시스템 개발을 통해 경제적 수익을 확대할 수 있는 엄청난 수송 잠재력을 보유함.

 

 ○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과 특히 카자흐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서부지역에서 상품을 세계시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새로운 도로건설의 가능성(경제성)이 증가하고 있음.

 

 ○ 카자흐스탄 정부는 중국과 유럽을 잇는 육상 화물 수송을 더 빠르게 만드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음. 현재 대부분의 중국산 제품들은 바다를 통해 유럽으로 운송되며 최소한 30~40일이 소요됨. 만약 카자흐스탄을 통해 육상으로 상품이 운송될 경우 이론적으로 8일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현재 카자흐스탄은 자국의 수송잠재력을 활용하지 못하고 중국과 유럽의 교역액 중 2% 정도만 이 지역을 통해 수송됨. 이러한 이유로 2008년 정부는 향후 10년 동안 카자흐의 수송분야 발전을 위한 프로그램을 시행했으며, 이 프로그램은 자동차, 철도, 항공 및 해상운송을 포함하는 모든 하부분야의 인프라 개발 프로젝트를 포함함.

 

 ○ 2008~15년까지 진행될 인프라개발프로그램의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총비용은 약 300억 달러 규모인 것으로 예상됨. 이 금액 중 정부가 30%를 나머지 70%는 민간 투자가들의 투자로 충당할 예정임.(WB, EBRD, ADB, IDB와 같은 국제 금융개발기관의 자금지원도 포함)

 

 ○ 이 중 110억 달러 이상이 자동차 도로의 건설에 투자될 예정이며, 철도건설에 120억 달러, 항공분야에 47억 달러, 해상운송에 16억 달러가 투자될 예정임.

     

 [자동차도로 인프라 개발]

     

 ○ 2015년에 카자흐스탄은 약 80개의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를 완료할 계획임. 대부분 프로젝트는 국가와 민간의 파트너십 원칙에 따라 이행될 예정이며 “서유럽-서중국” 수송도로는 이미 개발이 진행 중임. 이 도로의 주요 부분은 카자흐스탄 국토에 건설될 것이며, 2013년에는 6개의 다른 수송도로가 건설 완료될 예정임.(Samara-Shymkent, Astrakhan-Atyrau, Tashkent-Almaty-Khorgos, Astana-Kostanai -Chelyabinsk 등)

 

 ○ 카자흐스탄에서의 자동차도로의 총연장은 1700마일이며, 이 중 1550마일은 2012년까지 건설되고 재건될 계획임.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총비용은 53억 달러이며, 이 중 28억 달러는 외국으로부터 조달할 예정임.(WB 1400만 달러, EBRD 1억8000만 달러, ADB 7억 달러, 기타 Islamic Development Bank와 Japanese Bank of Int'l Cooperation도 자금을 지원할 예정)

 

 ○ 주요 도로건설 프로젝트는 다음임.

  - 우즈베키스탄과의 국경부분인 Almaty-Horgos 구간

  - 키르키즈스탄과의 국경에 이르는 Kokopek, Koktal, Blagoveschenka를 관통하는        Shymkent-Taraz-Horgos 구간

  - 러시아(Yekaterinburg)-알마티 구간 (Kostanay, Astana, Karaganda 통과)

  - 알마티-Ust-Kamenogorsk 도로 등

 

 ○ 서카자흐스탄 자동차 도로는 Mangistau, Atyrau 및 서카자흐스탄 Oblast 지역을 연결하기 위해 약 4500만 달러의 정부투자로 건설될 예정임. 프로젝트는 Samara-Shymkent, Atyrau-Aktau, Atyrau-Uralsk 및 Karabutak-Komsomolskoye-Kostanai Oblast 간 도로 재건으로 시작될 계획임.

 

 [철도 인프라 개발]

     

 ○ 철도는 카자흐스탄의 수송시스템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국내 및 트랜짓 화물 운송량의 약 70%가 철도로 운송됨. CIS 수송시스템의 한 부분으로서 카자흐는 독립적인 철도시스템을 보유하지 않으며 때로는 카자흐 국내의 다른 지역으로 운송하기 위해 인접국을 지나는 기차를 이용해야 함.

 

 ○ 인프라개발 계획하에서 1240마일의 철도가 건설될 예정임. 이를 통해 화물이 최단거리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전체적인 수송비용도 떨어뜨리는 독립적 철도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임.

 

 ○ 주요한 철도프로젝트에는 Zheskazgan-Beineu라인 건설이 있는데, 이는 카자흐 중심지를 서부지역과 연결할 것이며 Aktau 항구와도 연결할 계획임. 최근 수송통신부는 총비용 9억 달러의 3개 철도인프라 개발 프로젝트를 발표했음.

 

 ○ 카자흐스탄-중국국경에 있는 Dostyk Station은 2500만t의 화물 처리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 될 예정임. 민간기업들 또한 인프라 부분의 개발에 참여하고, 그 예로 2008년 5월 ENRC Logistic(카자흐스탄의 광물기업인 Eurasian Natural Resources Corp.의 수송부문)은 알마티 인근의 소도시인 Khorgos-Zhetigen 사이의 새로운 철도인프라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계약을 수주했다고 발표했음.

 

□ 프로젝트 진출 시 고려사항

     

 ○ 정부정책의 불안정성 : 카자흐스탄은 SOC 인프라와 발전소 등 다양한 건설프로젝트를 추진하는데, 일부 프로젝트들은 정부의 정책변경으로 인해 외국인 투자기업들의 안정적 프로젝트 추진에 상당한 애로를 주고 있음.

 

 ○ 프로젝트 내용 및 계약내용의 철저한 분석 : 카자흐스탄에서 프로젝트를 추진중인 외국인 투자기업들은 계약 당시 거론되지 않았거나 예상하지 못한 갖가지 문제들이 프로젝트 이행 중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 문제 해결이 프로젝트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어 프로젝트 참여 시 또는 계약체결 시 반드시 철저한 사업타당성 조사와 문제발생시 해결방안을 강구해 둘 필요가 있다고 강조함.

 

 ○ World Bank, EBRD, ADB 등 다자간 개발금융 지원기관의 활용 : 이 국제기관들이 금융지원 형식으로 참여하는 프로젝트의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어 국제금융기관들이 금융을 지원하는 프로젝트의 성공가능성이 큼.

 

 ○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 고조 : 최근 카자흐스탄은 환경관련 규제가 강화되고 수많은 외국 투자기업이 매년 상당한 금액의 환경부담금 또는 벌금을 납부하고 있어, 각 프로젝트의 환경문제 발생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함.

 

□ 시사점

     

 ○ 정부 주도의 활발한 도로건설 프로젝트 추진으로 해외건설분야의 경험과 경쟁력을 확보한 우리 기업의 진출가능성도 큰 것으로 분석됨.

 

 ○ 현재 자동차도로 및 철도 프로젝트는 카자흐스탄과 국경을 맞댄 중국기업의 진출이 가장 적극적임. 이는 중국정부의 막대한 금융지원과 인근국으로서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도 중국기업들의 활발한 진출에 긍정적으로 작용함.

 

 ○ 그러나 최근 카자흐스탄 정부 및 일반국민이 중국기업의 과다한 진출(특히, 석유화학 플랜트 등)에 상당한 우려를 표시하는 점도 우리 기업의 진출 가능성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평가됨.

 

 ○ 중장기적으로 우리 기업의 카자흐스탄 도로건설 등 SOC 사업 참여를 위해 건설, 플랜트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대기업과 장비, 자재를 공급하는 중소기업이 협력형태로 동반진출하는 방안도 강구해 볼 필요가 있음.

    

 

자료원 : 수송통신부, 카자흐스탄 주요 일간지, 관계자 면담 등 KOTRA 알마티 KBC 종합 분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카자흐스탄 도로건설 프로젝트 현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