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러시아, 아연도금 강판 시장동향
  • 경제·무역
  • 러시아연방
  • 모스크바무역관
  • 2010-12-31
  • 출처 : KOTRA

 

러시아, 아연도금 강판 시장동향

 

 

 

 ○ 지난 몇 년간 러시아 아연도금 강판 및 폴리머 피복강 시장은 꾸준히 성장해왔음. 2009년 러시아에서는 약 343만 톤의 아연도금 강판과 95만 톤의 피복강이 생산됐음. 비록 새로운 생산라인이 설치됐고, 주요 강철 생산업체들이 향후 생산라인을 더 건설할 계획이지만 여전히 러시아 시장에서는 아연도금 강판제품이 부족한 실정임(연간 100만 톤).

 

 ○ 건설산업은 2008년까지 빠른 속도로 성장해 왔고 국내 생산자들은 증가하는 국내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었음. 반면, 지난 몇 년간 수입은 증가해왔고 2009년 러시아 국내시장의 25~30%가량을 해외 생산품이 점유했음. 러시아 생산자들에 따르면 국내 수요의 하락에도 카자흐스탄(54%), 중국(11%), 우크라이나(13%)의 저렴한 아연도금 강 제품의 수입이 증가했음.

 

 ○ 2009년 1월 러시아는 2만8000여 톤의 아연도금 강판을 생산했고, 이는 2008년 9월의 생산량 15만2000톤에 비해 81.6%의 생산량이 감소했음. 한편 러시아 국내 시장에서의 아연도금 강판 가격은 톤당 3만 루블이고, 자국 통화가치 절하로 우크라이나 가격보다 20%가량 높음. 러시아 주요 강철 생산업체는 Magnitogorsk Iron & Steel Works(MMK), Novolipetsk Steel(NLMK)와 Severstal로, 이들 기업들은 200일간 수입 아연도금 강판에 대한 관세를 현재의 5%에서 33%로 인상할 것을 러시아 산업에너지부에 요청했으나 이와 같은 규정이 아직 승인되지는 않았음.

 

 ○ 2009년 MMK사와 NLMK사는 독일의 Zungwig equipment사와 이탈리아의 FATA equipment사와 더불어 새로운 도금 라인을 설치할 계획이었음. Severstal 사 또한 2010년 새로운 생산라인 개설(SMS DEMAG, 독일)에 관해 발표했고, 이들 주요 3대 생산기업의 생산량은 150만 톤이 될 예정이었으나 건설산업의 불황으로 기업들은 이러한 계획을 포기해야만 했음. 2009년 총 생산량은 수요 감소로 2008년 생산량의 80% 수준이었음.

 

 ○ 아연도금 강판 제품의 주요 원자재인 아연시장은 러시아에서 빠른 성장세를 보임. 가장 큰 규모의 아연 생산업체는 Chelyabinsk zinc plan와 Electrozinc사로, 이들 기업은 아연제품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현재 시설들을 개조할 계획임. 만약 이러한 계획이 이행된다면 2012년 말까지 러시아 아연 생산량은 연간 40만~50만 톤으로 증가할 것임. 그러나 현재 국내 아연 수요가 연간 20만 톤을 초과하지 않기 때문에 러시아에서 생산된 초과 아연은 CIS 국가 및 유럽 국가 등지로 수출됨.

 

 ○ 한편 러시아에서는 건설산업이 그 어떤 분야보다도 아연도금 강판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은 반면, 미국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아연도금 강판 제품의 수요가 높은 부문은 자동차산업 부문이고, 그 비율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러시아에서 이 분야는 HSLA(High-Strength Low-allow Steel) 및 AHSS(Advanced High Strength Steel)에 대한 소비가 줄어들었는데, 이는 주로 국내 자동차 산업이 이러한 종류의 강철 제품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임. 최근 러시아에 생산 시설을 개공하기 시작한 해외 자동차 제조 업체 수의 증가를 고려하면 2012년 말까지 연간 HSLA, AHSS 제품에 대한 수요는 각각 20만 톤, 13만 톤이 될 것이나 이러한 제품에 대해 국내 수요가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미미할 것임.

 

 ○ 현재 저온 아연도금 강판 제품이 80%가량을 점유하나 고온 아연도금 강판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임. 전문가들은 자동차 산업이 향후 고력강 제품에 대한 수요 형성의 주요 원인이 될 것이라 언급함. 또한 2012년까지 러시아에서 생산될 해외 브랜드 자동차의 70%가량이 한국, 일본, 미국 브랜드가 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이러한 성장이 연간 35만 톤의 아연철 도금 강판(ZF)에 대한 수요를 이끌어 낼 수 있음. 아연도금 강판 시장에서 새로운 트렌드가 될 기타 상품으로는 아연도금(알루미늄, 마그네슘, 실리콘) 강철 제품임.

 

 ○ 이러한 상품들은 강철 부식 방지 및 도금 아연 소비량 감소를 가능케 할 것임. MMK를 포함한 몇몇 야금공장들은 이러한 아연도금 강판의 생산에 착수했으나 수요는 아직 높지 않은 편임. 전문가들은 이를 신기술에 대한 낮은 소비자 인식으로 설명함. 위에 언급된 MMK, NLMK 및 기타 강철 생산업체들의 전망 고려는 자동차 산업에서 이용되는 고강도 제품을 포함한 강철 제품의 생산 차별화 전략을 설명함.

 

HS Code 721061 아연 강판 수입통계

국가

수입액(백만 달러)

점유율(%)

증감률(%)

2008

2009

2010,1-9

2008

2009

2010,1-9

09/08

09/10,1-9

0

세계

149.707

171.391

113.867

100.00

100.00

100.00

14.48

-17.24

1

우즈베키스탄

23.834

34.999

26.216

15.92

20.42

23.02

46.84

35.40

2

아제르바이잔

17.224

26.088

24.216

11.51

15.22

21.27

51.47

11.08

3

요르단

0.000

23.144

0.000

0.00

13.50

0.00

0.00

-100.0

4

이란

2.597

12.708

7.239

1.74

7.42

6.36

389.40

-20.28

5

폴란드

2.040

8.208

8.020

1.36

4.79

7.04

302.45

17.62

6

카자흐스탄

10.593

7.975

4.508

7.08

4.65

3.96

-24.71

-25.76

7

라트비아

23.021

7.261

11.437

15.38

4.24

10.04

-68.46

113.47

8

우크라이나

33.650

6.150

19.177

22.48

3.59

16.84

-81.72

327.89

9

포르투갈

0.673

5.709

0.000

0.45

3.33

0.00

748.87

-100.00

10

이스라엘

8.287

4.999

0.217

5.54

2.92

0.19

-39.67

-95.25

자료원 : World Trade Atlas, 러시아 관세청

 

수입 관세

HS Code

설명

수입 관세

VAT

72104900

폭 600㎜ 이상의 철 혹은 비합금 강철의 평판 압연제품

 - 그 밖의 도금 아연

 - 기타

 - 기타

5%(ЕТТ)

상품은 특혜관세를 받지 않는다. Import from the country of most-favoured-nation treatment

 – 기본 관세율이 적용됨.

18%

VAT 비율-VAT는 지정돼 있다(주로 18%). 이 비율은 정부가 발표한 목록에 준해 10%나 0%로 감소될 수 있음.

72106100

철 및 비합금 강철

 - 폭 600㎜ 이상의 철 혹은
    비합금 강철의 평판압연제품

 - 알루미늄 도금 혹은 합금:

 - 알루미늄-아연도금 혹은 합금

5%(ЕТТ)

상품은 특혜관세를 받지 않는다. Import from the country of most-favoured-nation treatment

 – 기본 관세율이 적용됨.

18%

VAT 비율-VAT는 지정돼 있다(주로 18%). 이 비율은 정부가 발표한 목록에 준해 10% 혹은 0%로 감소될 수 있음.

자료원 : 러시아 관세청

 

 

자료원 : 러시아 관세청, KOTRA 모스크바 KBC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러시아, 아연도금 강판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