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신성장산업기술] 카자흐스탄, 페로실리콘(규소철) 산업 발달 가능성은?
  • 경제·무역
  • 카자흐스탄
  • 알마티무역관 최진형
  • 2010-11-22
  • 출처 : KOTRA

 

카자흐스탄의 페로실리콘(규소철) 산업 발달 가능성은?

- 세계 경기로 생산 하락세 보였던 페로실리콘, 생산 증가 가능성 커 -

 

 

 

□ 페로실리콘(규소철)이란?

     

 ○ 페로실리콘이란 철과 규소(실리콘)의 합금으로 규소 함유량은 15~90%까지이며, 변압기와 모터 등에 사용되는 박판 등이 대표적인 형태라 할 수 있음. 박판 성형을 위한 규소 함유량은 1~5% 사이임.

  - 페로실리콘은 순수 철보다 전기전도도가 높아서 교류자기장에서의 에너지 손실(철손)을 줄여주기 때문에 철손을 줄여 줄수록 좋은 변압기, 모터 제작에 쓰이는 박판 원료라고 할 수 있음.

     

 ○ 페로실리콘은 철손 감소는 물론 산성발생을 줄여주기 때문에 부패 및 부식 방지효과에도 좋은 것으로 알려짐.

     

 ○ 페로실리콘은 용해점이 매우 높아서 합금 생산 시 철 용광로에 직접 용해하며 칼슘, 알루미늄, 마그네슘 성분이 포함된 페로실리콘도 매우 일반적임.

     

페로실리콘 가열 용해점 및 밀도 정보

페로실리콘 기호

규소 함유량(%)

용해점(°C)

밀도(g/㎤)

FeSi 45

45

1215~1300

5.1

FeSi 75

75

1210~1315

2.8

FeSi 90

90

1210~1380

2.4

 자료원 : www.ferro-alloys.com

     

 ○ 페로실리콘의 세계 생산량은 2015년까지 460만 톤일 것으로 예상되며, 연간 생산량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철강 생산량에 따라 생산규모 편차가 매우 큼.

  - 세계 연간 생산량은 약 400만 톤이며, 금액 기준으로는 50억 달러인 것으로 조사됨.

  - 세계 페로실리콘 공급의 66%가 중국이며 러시아, 브라질, 우크라이나 등이 세계적 순위를 차지함.

  - 중국 산 페로실리콘의 25%를 한국에서 수입하며 40%를 일본에서 수입하는 것으로 조사됨.

     

국가별 페로실리콘 생산 비중

자료원 : Asian Metal

     

□ 카자흐스탄 페로실리콘 산업동향

     

 ○ 카자흐스탄의 페로실리콘 생산기업은 ENRC 그룹 자회사인 Kazchrome 사로 세계 생산량의 2%가량의 비중을 차지함.

  - 카자흐스탄은 제조업이 발달해 있지 않아 페로실리콘 생산규모가 크지 않으며 연간 생산량은 약 70만 톤 정도임.

     

 ○ 조사에 따르면, 최근 페로실리콘 생산량이 지난 5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데, 이는 생산 기술력 및 장비가 매우 낙후된 상황에서 현지 수요가 극히 미미한 수준이기 때문임. 한편, 2008년부터 글로벌 수요가 크게 줄면서 카자흐스탄 생산 또한 감소한 것으로 보임.

  - 카자흐스탄에서 생산되는 페로실리콘은 현지 수요가 적어 전 매출을 수입에 의존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세계 수요 감소가 카자흐스탄 생산 감소와 직결되는 것은 당연한 결과임.

     

카자흐스탄 페로실리콘 생산규모(연도별)

연도

2005

2006

2007

2008

2009

생산규모(톤)

104,186

85,924

59,886

59,964

33,100

자료원 : 카자흐스탄 통계청

     

 ○ 카자흐스탄 페로실리콘의 현지 수요가 증가할 것임. 그 근거로는 페로실로콘 자체가 철강산업과 밀접하게 관계되며, 카자흐스탄의 철강산업 생산이 지속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임.

  - 1996년부터 2009년까지의 카자흐스탄 철강 생산규모는 총 4억6610만 톤으로 90년대 대비 2000년도의 연간 생산량은 두 배가량 증가했음.

  - 카자흐스탄의 철광 확인 매장량에 의하면 현재 철강 생산능력 기준으로 해서 80년 동안 철강을 생산할 수 있다고 함.

  - 철강산업에 대한 투자도 지속되는데 1996년부터 2009년까지의 투자금액은 45억2100만 달러임.  

     

 ○ 철강 생산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페로실리콘 중 페로실리콘 알루미늄의 현지 생산 투자 증가 또한 가시화되고 있음.

  - 페로실리콘 알루미늄을 부자재로 하는 제조법은 현재까지 신기술이라고 할 수 있음. 페로실리콘 알루미늄은 부식을 막고 강도를 높이지만, 중량이 적어 산업재의 소형화에 크게 쓰일 것이라고 함. 특히 셋톱박스, 3G 폰, 모바일 PC 등의 신기술 산업 발달과 관련해 페로실리콘 알루미늄의 생산 증가를 예상해 볼 만함.

  - 현재 세계 페로실리콘 알루미늄 연간 생산량은 1만3000톤에 불과하며 카자흐스탄에서만 3000톤 정도 생산하고 있음. 조사에 따르면 2010년부터 카자흐스탄은 연간 6500톤을 생산할 예정임.

     

 ○ 지난 11월 첫째 주의 페로실리콘 국제가격이 전 주보다 45달러 상승했으며 현재도 지속적으로 상승 추세임.

  - 지난 달 페로실리콘 국제가격은 톤당 1291~1381달러였지만 현재 천진항 FOB 기준으로 톤당 1800~1900달러까지 이름.

  - 카자흐스탄 페로실리콘 수출 가격은 2010년 상반기 기준, 톤당 1145달러 정도로 국제가격보다는 낮은 것으로 조사됨.

 

페로실리콘 국제가격 추이(2009~10년10월)

자료원 : MetalTorg

 

2005~10년 상반기 페로실리콘 국제가격 변동추이

자료원 : MetalTorg

     

카자흐스탄 페로실리콘 수출가격

연도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상반기

평균가격

(달러/ 톤당)

640.8

651.6

912.7

1461.9

977.7

1145.8

 자료원 : WTA

     

카자흐스탄 페로실리콘 수출동향(HS Code 720221)

(단위: 백만 달러, 톤)

     

2007

2008

2009

2010 상반기

금액

수량

금액

수량

금액

수량

금액

수량

총계

28.15

30,846

39.61

27,097

18.48

18,901

4.14

3,616

러시아

24.29

26,006

37.86

26,109

17.42

17,964

4.14

3,616

우크라이나

0

0

0

0

0.53

425

0

0

일본

0

0

0

0

0.52

512

0

0

우즈베키스탄

0

0

0.08

58

0

0

0

0

아제르바이잔

0.53

524

0.87

594

0

0

0

0

몰도바

0

0

0.79

334

0

0

0

0

네덜란드

3.33

4,316

0

0

0

0

0

0

            자료원: WTA

     

□ 시사점

     

 ○ 전문기관에 따르면, 페로실리콘 알루미늄의 세계 가소비량은 200만~500만 톤일 것이며, 카자흐스탄의 생산 가능 능력은 연간 10만 톤 정도임. 최근 포스코의 페로실리콘 알루미늄의 현지생산 투자 가능성에 대한 검토는 이러한 세계 추세를 고려한 것으로 추정해 볼 만함.

     

 ○ 신기술 제품의 핵심은 환경, 효율, 에너지 절감을 고려한 소형화, 중량감소, 기동력 등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실리콘 및 페로실리콘을 사용한 제품군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임. 이에 따라 세계 수요와 동시에 카자흐스탄과 같은 광물자원이 풍부한 국가들이 중국을 대체한 생산국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함.

 

 

정보원 : 카자흐스탄 통계청, WTA, 각종 광물 관련사이트(www.mininginfo.kz, www.metalbulletin.ru, www.ferroalloys.com, MetalTorg.ru), www.enrc.com, www.profit.kz, 알마티KBC 시장조사 및 자료분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신성장산업기술] 카자흐스탄, 페로실리콘(규소철) 산업 발달 가능성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