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브라질, 철강수입 폭증으로 생산업체와 유통업체 간 갈등
  • 경제·무역
  • 브라질
  • 상파울루무역관 최선욱
  • 2010-08-18
  • 출처 : KOTRA

 

브라질, 철강수입 폭증으로 생산업체와 유통업체 간 갈등

- 브라질 철강연구소, 유통업체들의 “투기성 수입”에 대해 비난 -

 

 

 

□ 개요

 

 ○ 브라질에서 최근 철강 수입량이 폭증하고 있어 철강 생산업체와 수입업체 간의 갈등을 더욱 부추김. 브라질 철강연구소(IABr)는 철강 수입이 “투기성이 짙은 수입”에 해당한다며 수입업체를 비난함.

 

□ 세부 내용

 

 ○ 브라질에서 최근 철강제품 수입이 많이 늘어나고 있어 IABr과 철강제품 유통업체들 사이에 갈등이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남.

  - 현재 브라질 철강제품 재고물량은 약 3.6개월 간 분량으로 평소 재고량인 2.6개월치보다 1개월분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철강연구소는 “유통업체들이 투기를 위해 지나치게 많은 양을 수입하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함.

 

 ○ 이같이 철강제품의 수입이 증가하는 이유는 “정부가 철강제품에 조세 감면 혜택을 부여한 결과”라고 주장하는데, 이에 대해 철강 유통업체들은 “현재 수입산 철강제품은 국산보다 10~15% 저렴한 가격에 거래되기 때문에 수입업체들은 환차손 및 배송기간 등 위험 요인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해외에서 저렴한 철강제품을 수입하는 것”이라 반박함.

  - 상파울루 주가 아닌 타 지역의 항만을 이용할 경우 주정부가 부여하는 조세 감면 인센티브를 받을 수도 있음. 하지만 이 인센티브는 제품가격의 10~13%를 차지하는 높은 물류비용으로 인해 상쇄되는 경우가 많아 별다른 효과가 없다는 것이 철강연구소의 의견임.

 

 ○ 철강연구소 관계자는 Petrobras의 운송업체인 Transpetro를 비난하며 “최근 Transperto는 중국에서 약 1만9000톤의 철강을 수입했는데, 브라질 국산 제품들은 값싼 중국산 수입제품보다 가격 면에 경쟁력이 떨어진다. 게다가 Transpetro는 정부의 조선산업 발전 프로그램이 주는 관세 혜택으로 수입세를 면제받아 더욱 낮은 가격으로 철강제품을 수입할 수 있다”고 언급함.

  - 관세 혜택이 없을 경우 철강제품의 수입관세는 12~14%임.

  - Transpetro는 Petrobras가 발주한 49척의 선박 건조에 필요한 68만 톤 상당의 후판을 수입해야 하므로 후판 확보가 시급한 상황임. 이 회사는 최근 조선장비 및 후판 공급업체를 위해 한국을 방문한 바 있음.

 

□ 시사점

 

 ○ 브라질을 대표하는 철강기업 중 하나인 Usiminas의 현재 철강 가공 비중은 전체 생산량의 20% 안팎을 차지함. 이 회사는 2015년까지 전체 생산량의 50% 이상을 국내에서 가공작업까지 마친다는 목표를 가짐.

  - 이 회사는 2012년까지 약 100억 헤알을 투자계획이 있으며, 특히 이중 40억 헤알은 석유 및 천연가스 생산분야에 투입될 예정임.

 

 ○ Usiminas를 비롯한 브라질 주요 철강 업체들은 현재 갈수록 늘고 있는 철강 수요에 대비해 생산량 및 가공량을 확대함. 하지만 각종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와 유전개발, 조선 프로젝트로 철강제품 수요 대비 공급량이 현저히 부족한 상황인데다 수입산 철강제품 가격이 국산보다 낮아 향후에도 철강제품 수입 증가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자료원 : 일간지 Folha de São Paulo, KOTRA 상파울루 KBC 보유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브라질, 철강수입 폭증으로 생산업체와 유통업체 간 갈등)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