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말레이시아 Cyber DSA 전시 참관기
  • 현장·인터뷰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무역관 신승옥
  • 2023-09-01
  • 출처 : KOTRA

Cyber DSA 참관을 통해 바라본 말레이시아 사이버 안보 동향

Cyber DSA 2023 공식 홈페이지에 따르면, 동남아시아의 디지털 경제 규모는 2025년까지 약 3,63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나날이 증가하는 디지털 경제 규모와 함께 사이버 보안 관련 수요도 덩달아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듯 현재 말레이시아에서는 사이버 보안 관련 정부 주관 행사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코트라 쿠알라룸푸르 무역관에서는 현지 사이버 안보 분야 동향 등을 점검하기 위하여 Cyber DSA 2023 전시회에 참관하였다. 올해부터 말레이시아 통신 멀티미디어부와 국방부 주관 하에 진행된 제1회 사이버 방어 및 보안 아시아 엑스포 및 컨퍼런스(Cyber DSA2023)는 총 사흘간 운영이 되었고 디지털 안보를 중점으로 약 100 여개의 업체가 온 오프라인으로 참가하였으며 총 7,892명의 참관객을 기록하며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 CYBER DSA 2023 전시회 개요>

행사명

Cyber DSA 2023

전시회 로고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64pixel, 세로 278pixel

개최 기간

2023.8.15() ~ 2023.8.17.()

장소

Kuala Lumpur Convention Centre(KLCC)

규모

- 전시면적: 12만 제곱미터

- 참가 기업: 105개사, 11개국

- 참관객: 7,892 명 이상 (50명 이상의 각 국의 VIP관계자)

전시 품목

국방 및 치안 유지용 무기, 운송, 장비 체계 전반, 대테러 장비 등

공식 홈페이지

https://cyberdsa.com/

주최기관

Aerosea Exhibitions Sdn Bhd

한국관

3개의 한국 기업인 넷앤드, 시큐레터, 소만사 TechCreate 싱가포르 IT 기업과 MOU 체결 후 통합부스 운영


[자료 : CYBER DSA 2023 홈페이지,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재작성]


< 전시회 현장 사진 >

[자료 : CYBER DSA 2023 홈페이지,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촬영]


해당 전시회가 개최되는 기간 동안 국가안보 분야 및 정부 소속 VIP 대표단을 포함하여 말레이시아 통신 멀티미디어부, 국립 사이버 보안 기관, 국방부, 국가 안보 협의회 등 고위 관계자들이 전시회를 방문하여 현지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 이번 CYBER DSA 2023에는 총 50여개의 사이버 보안 분야 관련 업체가 참석하여 B2B 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현장에서 직접 바이어를 만나는 비즈니스 미팅이 이뤄졌으며 별도의 부스를 활용한 스타트업 업체들이 자사의 기술을 선보이는 홍보활동 역시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전시회의 일환으로 진행된 비공식 브리핑 세션으로는 사이버 보안 관련 주제별 전문가들이 사이버 안보 위협에 관한 이슈를 논의할 수 있는 원탁 회의가 열렸다. 3일간 각국의 사이버 보안 실무자 및 전문가들이 Executive Tracks & Technical Labs 컨퍼런스에 참가하여 현지 산업 동향 점검, 전문가가 제시하는 문제점과 그에 대응할 수 있는 대응책들을 전달하기도 하였다. 또 사이버 보안과 관련하여 다양한 주제에 대해서 전문가들이 의견을 나누는 Flash Talks 세션도 함께 진행되었다. 한국 기업으로는 사이버보안 관련 업체인 소만사와 넷앤드가 함께 참여하여 K-Cybersecurity solutions 역량 강화의 주제로 세션을 진행했다.

 

< 전시회 현장 사진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0.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24pixel, 세로 768pixel


[자료: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촬영]


이어서 또 다른 프로그램으로는 전시회 행사 간 동남아시아 최대 규모의 해킹 대회를 개최하여 수많은 대학생과 스타트업 관계자들이 참가하는 등 행사가 성황리에 진행이 되었으며 이를 통해 사이버 안보 관련 현지의 높은 관심도를 피부로 직접 느낄 수 있었다.


< 전시회 현장 사진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2.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24pixel, 세로 768pixel


[자료 :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촬영]


한편 올해 Cyber DSA 행사에는 말레이시아 사이버 보안 어워드(MALAYSIA CYBERSECURITY AWARDS & GALA DINNER)도 함께 개최되었다. 올해의 사이버 보안 제품 혁신상으로는 LGMS Bhd가 수상하였다. 이 상은 중소기업(SME)이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LGMS 스타센트리 사이버 보안 솔루션의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하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Fong Choong Fook LGMS 회장은 중소기업 소유주들이 스마트하고 효율적인 네트워크 보안을 통해 탁월한 사용 편의성을 누릴 수 있도록 사용자 친화적으로 개발되었다고 전했다. 사용자의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의 취약점을 자동으로 분석하는 플러그 앤 플레이 장치로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말레이시아 통신 멀티미디어부 장관 Fahmi Fadzil은 행사 내 연설을 사이버 안보 분야 내 정부와 민간기업 간의 긴밀한 협력을 강조하였다. 민간 파트너십은 사이버 보안 업계 종사자와 정부가 긴밀히 협력할 수 있는 장으로 중립적인 플랫폼을 통해 사이버 공격에 더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임을 강조하였다. 현재 말레이시아 내 사이버 보안 전문가로 확인되는 근로자는 15,248명에 불과하여 사이버 보안 인력 부족에 직면해 2025년까지 27,000명의 업계 전문가가 필요하다고 밝히며 앞으로의 사이버 안보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예상할 수 있었다. 또한 말레이시아 내 최근 늘어나는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하여 정부는 내년초 사이버 보안 관련 법안이 조만간 의회에 상정될 것이라 예고하였다.


이번 어워드의 수상자인 Fong Choong Fook LGMS 회장은 수상 소감을 밝히면서 점점 더 디지털화되는 사회와 증가하는 사이버 위협 속에서 사이버 보안에 대한 정부의 관심이 높아진 것 환영하며 높이 평가한다고 말하였다. 디지털 경제가 2025년까지 말레이시아의 국내총생산(GDP)에 약 25.5%를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사이버 보안 자원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것은 적절할 뿐만 아니라 필수적임을 강조하였다.


시사점


현지 일간지 TECH WIRE ASIA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에서 작년 4분기에 발생한 사이버 공격은 약 8,400만 건으로 집계되었다. 또한 말레이시아의 국영 통신 회사인 TM 또한 Unifi 사용자들의 개인 데이터가 유출되는 등의 심각한 사이버 범죄로부터 상시 노출되고 있음을 경고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사이버 위기가 지속되자 말레이시아 정부는 사이버 보안 프레임 워크 강화를 위한 법안을 곧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혀 이번 Cyber Security 전시회에 많은 이목이 집중되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매년 사이버 보안 분야 투입 예산을 늘리고 있으며 정부와 기업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기에 시장가치가 높은 분야라고 생각된다. 한국은 아시아 내의 강력하고 체계적인 사이버 보안 기술력을 갖추고 있기에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현지의 수요를 공략하는 등 관련업계 우리기업들의 진출이 이뤄질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자료원: 현지 일간지(The Star Malaysia, Techwire, Strait Times), 말레이시아 통신 멀티미디어부, Cyber DSA 2023 홈페이지 및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말레이시아 Cyber DSA 전시 참관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