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캐나다 육류 가공 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캐나다
- 토론토무역관 유혜리
- 2024-12-17
- 출처 : KOTRA
-
2023 캐나다 육류가공업 시장 규모 449억 캐나다 달러
돼지고기, 소고기, 가금육 중 돼지고기 수출량 최다
캐나다의 육류 가공업은 돼지고기, 소고기, 가금육 등을 포함하여 국가 식품 제조 부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2023년 시장 규모는 449억 캐나다 달러로 향후 5년간 안정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그러나 이 산업은 변화하는 소비자 선호, 건강 인식 증대, 식물성 대체식품의 인기 상승, 그리고 새로운 무역 협정의 혜택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 특히, 건강에 대한 인식이 증대하면서 소비자들은 적색육과 가공 육류의 섭취를 줄이고 생선과 가금육으로 전환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번 해외시장뉴스에서는 캐나다의 육류 가공업 시장 규모, 동향, 수출 현황 및 SWOT 분석을 통해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살펴보겠다.
시장 규모 및 동향
IBIS 산업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캐나다 육류 가공업의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2.8% 증가한 449억 캐나다 달러에 달하며, 지난 5년(2018~2022) 동안 연평균 3.0%의 성장을 이어오고 있다. 향후 5년 간 이 업계는 연평균 0.7% 성장하여 2029년에는 466억 캐나다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캐나다 육류가공업 시장 규모>
(단위: C$ 백만)
주*: 2024~2028의 값은 전망치이며 실선은 시장 규모, 점선은 증감률을 나타냄.
[자료:IBIS World]
캐나다 육류가공업의 시장 규모는 변화하는 소비자 선호, 건강 인식, 식물성 대체식품의 증가, 그리고 새로운 무역협정의 혜택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인식이 크게 변화하면서, 적색육의 섭취를 줄이는 경향이 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소비자들이 생선과 가금육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특히 헬스장에 자주 가는 소비자들은 식단에 백색육을 추가하는 추세이다. 한편,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와 CPTPP(포괄적 환태평양 파트너십)와 같은 무역 협정은 캐나다와 주요 육류 수출입국 간의 무역을 촉진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복합적인 요인들이 캐나다 육류가공업의 시장 동향을 형성하고 있다.
수출 동향
2023년 캐나다의 대표 육류인 돼지고기 수출 동향을 살펴보면, 캐나다 돼지고기(HS Code 0203.29)의 수출 규모는 12억 455만 캐나다 달러로 전년 대비 4.5% 증가했다. 또한, 지난 4년(2019~2022) 동안 평균적으로 13억 4,515만 캐나다 달러의 수출 규모를 유지해 왔다. 주요 수출국은 중국으로, 2023년 전체 수출의 22.3%를 차지하며 총 수출액은 2억 6,827만 달러에 이른다. 그 외에도 필리핀(14.1%), 일본(13.7%), 미국(12.4%), 대만(11.1%)이 주요 수출대상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한국은 2023년 기준 6위에 위치하며, 전체 수출량의 약 8.4%에 해당하는 1억 134만 캐나다 달러의 돼지고기가 수출되었다. 한국으로 수출되는 돼지고기의 수출량은 지난 5년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연도별 캐나다 돼지고기 수출 동향>
(단위: C$ 천)
2019
2020
2021
2022
2023
1
중국
422,825
1,112,887
553,046
318,518
268,265
2
필리핀
84,320
78,873
177,363
187,529
170,163
3
일본
202,553
192,212
162,708
137,173
165,554
4
미국
112,472
95,647
171,126
188,315
149,378
5
대만
85,470
41,201
40,725
47,959
134,263
6
한국
53,347
43,879
72,197
94,228
101,337
7
멕시코
29,244
12,557
50,454
68,388
47,503
8
콜롬비아
6,639
2,684
16,047
12,613
38,516
9
호주
29,901
9,519
12,691
25,015
24,008
10
뉴질랜드
19,579
8,559
7,493
10,486
14,923
전 세계
1,161,087
1,707,058
1,360,120
1,152,322
1,204,545
주: 순위는 2023년, 수치는 HS Code 0203.29 기준
[자료: 캐나다 통계청]
또한, 캐나다의 다른 대표 육류인 소고기에 대한 수출 동향을 살펴보면, 2023년 캐나다 소고기(HS Code 0202.30)의 수출 규모는 4억 2,170만 캐나다 달러로 전년 대비 29.9% 감소했으며, 지난 4년(2019~2022) 동안 평균적으로 4억 8,443만 캐나다 달러의 수출 규모를 유지해왔다. 주요 수출국은 미국으로, 2023년 전체 수출의 38.1%를 차지하며 총 수출액은 1억 6,072만 달러에 이른다. 그 다음으로는 일본(27.2%)이 있으며, 한국은 3위를 차지하고 있고 총 수출액 중 15.3%에 해당하는 6,432만 캐나다 달러의 소고기가 수출되었다.
<연도별 캐나다 소고기 수출 동향>
(단위: C$ 천)
2019
2020
2021
2022
2023
1
미국
58,816
64,285
130,299
174,236
160,720
2
일본
153,268
142,158
178,153
223,428
114,594
3
한국
14,306
13,909
55,896
71,120
64,315
4
베트남
7,501
39,165
64,664
84,131
31,292
5
홍콩
73,776
57,633
40,035
18,318
22,554
6
대만
15,263
11,946
9,613
6,602
8,766
7
사우디아라비아
5,735
15,119
8,134
13,051
7,411
8
칠레
-
193
587
307
3,972
9
우루과이
84
800
-
-
2,246
10
파나마
-
19
-
629
1,548
전 세계
433,444
451,689
686,936
600,884
421,700
주: 순위는 2023년, 수치는 HS Code 0202.30 기준
[자료: 캐나다 통계청]
돼지고기 수출 시 유념해야할 사항
육류 중 수출량이 많은 돼지고기 수출 시 유념해야할 사항에 대해 알아보았다. 캐나다에서 돼지고기를 수출할 때 유념해야 할 사항은 2가지가 있다. 첫째, 캐나다 식품 검사국(CFIA)은 수출되는 돼지고기 제품이 락토파민을 먹거나 이에 노출된 적이 없는 돼지에서 유래되었음을 인증해야 한다. 락토파민은 사료 첨가물로, 동물의 지방을 줄이고 살코기를 늘리는 데 사용된다. 이를 위해 캐나다 정부는 ‘락토파민 무함유 돼지고기 인증 프로그램(Canadian Ractopamine-Free Pork Certification Program, CRFPCP)’을 운영하고 있으며, 모든 돼지고기 수출업체는 이 프로그램에 참여가 가능하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데에 소요되는 비용 및 수수료는 없다. CRFPCP 관련 자세한 내용은 아래 정부 웹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하다.
둘째, 돼지고기 수출 시 냉동 기록부 제출이 필요하다. 캐나다의 돼지고기는 트리키넬라 관리를 위해 냉동고에서 일정 기간 보관되며, 이 냉동고는 CFIA 검사관의 감독 하에 운영된다. 제품을 꺼내거나 새로운 제품을 추가할 때에는 반드시 관리 및 보관 기록부를 작성해야 한다. 트리키넬라는 주로 돼지와 같은 육식 동물의 근육 조직에서 발견되는 기생충으로,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체이다. 정해진 냉동 과정을 마친 후에는 모든 포장 제품에 "트리키넬라 관리를 위해 냉동 처리됨"이라는 문구를 인쇄하여 붙여야 한다. 그 후에는 작성된 냉동 기록부를 수의사가 확인한 후 수출 문서에 서명하여 수출 절차를 진행한다.
유통 동향
캐나다의 육류 가공업체는 복잡한 공급망을 통해 운영되며, 직접 및 간접적으로 관련된 공급업체와 구매업체들이 있다. 2차 공급업체로는 밀 농업, 옥수수 농업, 사료 생산 및 농기계 제조업체가 있으며, 1차 공급업체로는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및 칠면조 육류 생산업체가 포함된다. 또한, 육류 가공업체는 냉동식품 생산, 소고기 및 돼지고기 도매, 그리고 식료품 도매업체와 같은 1차 구매업체에 제품을 공급하며, 슈퍼마켓 및 편의점, 패스트푸드 레스토랑, 노점상과 같은 2차 구매업체로 이어진다.
<캐나다 육류가공업 유통 동향>
[자료: IBIS World]
SWOT 분석
SWOT 분석을 통해 캐나다 육류가공산업의 강점, 약점, 기회, 위협 요소들을 알아보았다.
<캐나다 육류가공업 SWOT 분석>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 안정적인 시장 규모: 캐나다 육류 가공업은 2023년에 449억 달러로 성장했으며, 향후 5년간 안정적인 성장이 예상됨.
- 무역 협정의 혜택: USMCA 및 CPTPP와 같은 무역 협정이 캐나다의 주요 육류 수출입국과의 무역을 촉진하여 수출 기회를 확대함.
- 다양한 공급망: 밀, 옥수수, 동물 사료 등 다양한 1차 및 2차 공급업체와의 관계를 통해 안정적인 원자재 조달이 가능함.
- 소비자 건강 인식의 변화: 코로나19 이후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로 인해 적색육과 가공육의 소비가 줄어드는 추세가 나타남.
- 식물성 대체식품의 성장: 비건 및 채식주의 식단의 인기가 증가함에 따라 전통적인 육류 수요 감소의 위험이 있음.
- 락토파민 및 냉동 규정: 락토파민 사용 금지 및 트리키넬라 관리에 대한 엄격한 규정이 비용 및 운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 수출 시장 확대 가능성: 특히 아시아 및 중남미 시장으로의 수출 확대 기회가 존재하며, 한국, 중국 등 주요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큼.
- 처리 기술 및 생산성 향상: 새로운 기술 개발 및 효율적인 생산 공정 개선이 가능하여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음.
- 건강 지향 제품 개발: 소비자의 건강을 고려한 새로운 제품 라인을 개발하여 시장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기회가 존재함.
-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경제적 불안정성이 소비자 지출에 영향을 미쳐 전체 육류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
- 질병 및 안전성 문제: 돼지독감, 조류독감 등 동물 관련 질병 발생 시 도축 및 가공 과정에 영향이 있을 수 있음.
[자료: KOTRA 토론토 무역관 정리]
시사점
캐나다 육류 가공업은 안정적인 시장 규모와 다양한 무역 협정의 혜택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USMCA 및 CPTPP와 같은 협정은 수출 기회를 확대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이 점에서 관련 한국 기업이 캐나다로 진출하고자 할 경우,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이 적색육을 줄이고자 하는 트렌드를 반영한 건강 지향적인 제품 개발이 중요하다. 또한, 밀, 옥수수, 동물 사료 등 다양한 공급망을 활용하여 안정적인 원자재 조달을 이루고, 최신 가공 기술과 생산 공정 개선에 투자하여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광우병, 돼지 독감, 조류 독감과 같은 동물 관련 질병의 발생 가능성에 대비한 위험 관리 전략을 마련함으로써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준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자료: 캐나다 연방정부, 캐나다 통계청, IBIS World, KOTRA 토론토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24년 캐나다 육류 가공 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인도 석유 공급망의 이해, 정부 수출 활성화 전략을 통해
인도 2025-01-07
-
2
셀럽 뷰티·젠지 공략…최신 미국 뷰티 트렌드
미국 2025-02-17
-
3
반려동물도 ‘패밀리’가 된다! 호주 펫시장의 최신 트렌드
호주 2025-01-06
-
4
맥주의 성지 벨기에에서 무알코올이 인기?
벨기에 2025-02-05
-
5
'나만의 향'으로 개성 표현! 대만 향수 소비 트렌드
대만 2025-01-24
-
6
수입 의존도가 높은 몽골 기저귀 시장, 경쟁 속 기회
몽골 2025-02-19
-
1
2024년 캐나다 에너지 산업 정보
캐나다 2024-12-10
-
2
2024년 캐나다 대두 산업
캐나다 2024-11-21
-
3
2021년 캐나다 건설 산업 정보
캐나다 2021-12-23
-
4
2021년 캐나다 신재생 에너지 산업 정보
캐나다 2021-12-23
-
5
2021년 캐나다 에너지 산업 정보
캐나다 2021-12-22
-
6
2021년 캐나다 농림수산식품 산업 정보
캐나다 2021-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