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24년 슬로바키아 철강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슬로바키아
  • 브라티슬라바무역관 이재승
  • 2024-07-29
  • 출처 : KOTRA

슬로바키아 철강산업의 특성, 수급현황, 진출전략 분석

슬로바키아 철강산업은 18~19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슬로바키아는 지난 20세기에 계획 경제의 조건 하에서 상당한 산업화를 겪었으며중공업 분야특히 철강 및 관련 무기 생산 분야에 중점을 두었다슬로바키아가 체코슬로바키아에 속해 있던 사회주의 시대에 산업 발전이 가속화 되었으며,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슬로바키아 코시체(Košice) 지역의 제련소지아르 나트 흐롬(Žiar nad Hronom) 지역의 알루미늄 공장포드브레조바(Podbrezová) 지역의 제철소 등 금속류 생산공장 건설이 시작되었다당시 철강산업은 주로 탱크대포 또는 수송기 생산 용도에 초점이 맞추어져있었는데이는 주로 구소련 국가들로 향하는 것들이었다*경제상호원조회의가 몰락한 이후슬로바키아의 철강산업은 자동차 및 전자제품 생산을 위한 중간재 생산에 초점이 맞추어지게 되었다.

경제상호원조회의소련을 중심으로 한 동유럽공산권의 경제협력기구

 

산업특성

 

1) 철강산업 개요


금속산업은 현재 슬로바키아 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 중 하나이며총 GDP의 약 4%를 기여하며 약 25000명의 노동자가 종사하고 있다슬로바키아 철강산업은 강판파이프프로파일 등 다양한 금속 제품을 생산하며생산량의 약 3/4 정도가 해외로 수출된다. 2024년 기준슬로바키아 내에서 62개 기업이 금속 생산 및 가공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457개 기업이 기계 및 장비를 제외한 금속 구조물 생산에 종사하고 있다.

 

2) 관련 정책 및 규정


EU 철강 세이프가드

유럽 위원회(European Commission)는 2018년 7월 특정 철강제품의 수입에 대한 잠정적인 세이프가드 조치를 도입했었다이 조치는 특히 미국의 철강 제품에 대한 무역 제한 조치(무역확장법 232조 조치)와 관련된 수출감소의 위험을 고려하여 EU의 철강 생산업체들의 경제적 피해를 방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이후 연장 검토를 거쳐 2024년 6월 30일까지로 연장되었으나, 2024년 6월에 철강제품 관련 수입 증가와 글로벌 과잉 생산 등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로부터 EU의 철강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위원회는 2026년 6월까지로 해당 조치를 다시 한번 연장하였다. EU의 철강 세이프가드 조치는 관세율할당(TRQ)의 형태를 취하며최대 25%의 관세가 수입 철강제품에 부과된다.

 

탄소국경제도(CBAM)

탄소국경제도(CBAM)는 탄소 배출을 줄이고 탄소 누출을 방지하기위한 EU 그린딜의 일환이 되는 제도이다이 제도는 EU로의 수입 제품에 EU 내 생산 탄소 가격에 상응하는 탄소 가격을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26년에 전면 시행될 예정이다따라서수입업체는 탄소 인증서를 구매하고 배출량을 보고해야한다따라서, EU 역외 국가에서 생산되는 철강제품에 탄소 가격을 책정할 예정이기에, EU로 철강제품을 수출하기를 희망하는 외국기업들은 탄소국경제도에 대한 준비를 해야할 것이다.

 

배출권 거래제(ETS)

EU 배출권 거래제(ETS)는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EU정책의 초석이며비용 효율적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핵심 제도이다. EU 배출권 거래제는 EU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40%를 관할하며, 31개국의 11000개 이상의 발전소와 산업 공장이 영향 받을 것으로 관측된다철강 생산업체는 배출량을 충당할 수 있는 충분한 탄소 허용량을 보유해야하며이를 통해 철강업체들의 탄소 감축 및 청정 기술 채택을 장려한다.

 

폐기물 프레임워크 지침

폐기물 프레임워크 지침은 폐기물 발생 및 관리로 인한 유해한 영향을 방지하여 환경과 인간의 건강을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금속(철강)산업의 경우폐기물 관리에 대한 엄격한 조건과철 스크랩의 재활용 및 회수 촉진그리고 폐기물의 안전한 처리 보장 등이 포함된다.

 

3) 주요기업 현황


유에스 스틸 코시체(U.S. Steel Košice)

유에스 스틸 코시체(U.S. Steel Košice)는 U.S. Steel Corporation의 주요 자회사로서 슬로바키아 동부 코시체에 위치한 중부 유럽 최대 철강 생산업체이다약 800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으며연간 450만 톤의 철강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열연냉연아연도금강판 등 다양한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건설가전 등의 분야에 공급하고 있다열연제품은 자동차건설 등의 분야에 사용되며냉연제품은 더 얇고 강한 강철이 필요한 응용분야인 가전제품자동차 부품과 같은 분야에 이용되고아연 도금 강철은 내식성이 필요한 건설자동차 및 가전제품 분야에 사용된다.

 

젤레지아르네 포드브레조바(Železiarne Podrezová)

젤레지아르네 포드브레조바(Železiarne Podrezová)는 슬로바키아 중부 포드브레조바 지역에 본사를 둔 주요 슬로바키아 철강기업이며, 1840년에 설립되어 현재 연간 16만 톤의 철강 생산량을 자랑한다해당 기업은 이음매가 없는 강관 및 파이프 생산을 전문으로 하며기계 공학용 강관에너지 및 건설 부문용 튜브자동차용 정밀 튜브보일러 튜브석유화학 산업용 튜브 등의 제품에 사용된다.

 

4)최신기술 동향


슬로바키아 철강기업들은 현재 1)저탄소, 2)재활용, 3)자동화공정 및 디지털화에 초점을 맞추어 생산기술 개발을 집중하고 있다슬로바키아와 더불어 유럽 철강 업계는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수소 및 재생 에너지원을 사용하는 친환경 철강 생산에 더욱 집중하고 있다특히 수소에너지를 기반으로한 제철 혁신과 생산 효율성 향상을 위한 디지털 기술과의 통합이 활발하다또한재활용 자재를 활용한 생산기술 혁신을 추진하고 있으며생산공정 내 로봇을 활용한 자동화 및 디지털화를 도입하여 생산 및 운영절차 간소화와 숙련공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5) 주요이슈


유럽 철강산업은 환경보호사회적 조건산업안전 관련 요구사항 등을 충족할 필요가 없는 제3국으로부터의 값싼 수입품으로 인해 심각한 문제에 직면해왔다. 2023년 자동차 산업건설 및 기타산업 부문의 수요 감소로 인해 유럽의 철강 생산량은 최대 30%까지 크게 감소하였다단기적으로 유럽의 철강 생산 능력이 최대 50%까지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또한, 2009년 이래 장기적으로 철강 생산량이 감소하면서 유럽 철강산업은 약 2600만 톤의 생산 능력과 8만 개의 일자리(전체 유럽 철강 인력의 약 25%)를 잃었다.


이에 더불어 유럽 철강 협회(EUROFER)에 따르면유럽 철강 산업의 탈탄소화 비용은 자본 비용 측면에서 310억 유로운영 비용 측면에서는 540억 유로로 추정된다이는 에너지 가격 상승에 의한 비용도 포함되어있는 수치이다또한, 전 세계 철강 생산 지속적으로 과잉 생산되는 등 유럽 철강업계에 적잖은 시련이 예상된다.


다만독일의 경영 컨설턴트인 Bronk & Company사의 예측에 따르면, 2030년 유럽 내 주요지역의 철강 수요는 약 39500만 톤으로 2020년 31200만 톤에 비해 약 27% 증가할 것이며동유럽의 경우 지속적인 철강 수요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어 2030년까지 약 1억 톤 이상의 철강 수요가 동유럽 내에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따라서슬로바키아 금속산업에 여러 어려움이 있을 수 있지만지속적인 수요 증가로 인해 긍정적인 전망 또한 관측된다.


산업 수급현황

 

1) 설비투자 현황


슬로바키아 철강기업들은 제품 생산을 위해 다양한 설비에 투자하고 있다특히 주요설비인 1)용광로, 2)기본 산소 용광로, 3)전기 아크로, 4)압연기, 5) 마감 라인, 6)연속 주조 기계, 7)연기 추출 장비 등에 투자하고 있다또한현 추세인 탈탄소화에 맞추어 슬로바키아 철강기업들은 친환경 제조기술에 대폭 투자를 늘리고 있으며일례로 슬로바키아 문화부는 유에스스틸 코시체(U.S. Steel Košice)사에 제조 시스템 친환경화를 지원하기 위해 6억 달러 규모의 지원을 약속하였었다다만, EU 집행위원회는 2024년 5월 6일 일본제철의 유에스스틸사의 단독인수를 승인한다고 발표하였다.

 

2) 주요통계


슬로바키아 철강산업은 강한 수출지향성을 보이며, 2023년 기준 총 생산의 약 3/4은 해외로 수출되고약 1/4 정도가 국내에서 소비되고 있는 양상을 보인다.


<2023년 슬로바키아 철강제품 수출·수입액>

 

 

 

(단위천 유로)

산업군

연도

수출액

수입액

철강

2023

297,887

77,651.4

[자료슬로바키아 통계청]

 

슬로바키아 철강산업의 2023년 기준 주요 수출국은 폴란드체코이탈리아 등이 있으며주요 수입국으로는 체코독일스웨덴 등이 있다주요 수출·수입국의 대부분이 EU 역내 국가들임을 확인할 수 있다.

 

<슬로바키아 철강제품 주요 수출국>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수출액

비중

2023년 증감률

2021

2022

2023

2021

2022

2023

1

폴란드

48,081

65,352

58,438

17.1

17.2

17.8

-10.6

2

체코

36,216

49,016

56,751

12.9

12.9

17.2

15.8

3

이탈리아

37,209

44,397

33,734

13.2

11.7

10.2

-24.0

4

독일

27,564

32,781

33,522

9.8

8.6

10.2

2.3

5

헝가리

21,807

30,683

20,256

7.8

8.1

6.2

-34.0

6

스페인

16,543

21,710

15,309

5.9

5.7

4.7

-29.5

7

미국

6,620

16,840

14,359

2.4

4.4

4.4

-14.7

8

튀르키예

12,886

13,033

12,845

4.6

3.4

3.9

-1.5

9

오스트리아

11,374

17,747

11,678

4.0

4.7

3.5

-34.2

10

크로아티아

6,683

12,096

9,801

2.4

3.2

3.0

-19.0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4.07.15.]

 

<슬로바키아 철강제품 주요 수입국>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수입액

비중

2023년 증감률

2021

2022

2023

2021

2022

2023

1

체코

20,768

25,926

24,867

22.5

25.8

26.5

-4.1

2

독일

28,139

24,895

11,756

30.5

24.7

12.5

-52.8

3

스웨덴

6,794

7,462

9,766

7.4

7.4

10.4

30.9

4

스페인

6,267

8,825

9,147

6.8

8.8

9.7

3.6

5

우크라이나

5,381

4,551

8,919

5.8

4.5

9.5

96.0

6

오스트리아

4,787

6,214

6,969

5.2

6.2

7.4

12.1

7

프랑스

1,013

2,818

4,787

1.1

2.8

5.1

69.8

8

이탈리아

4,965

3,670

4,436

5.4

3.6

4.7

20.9

9

폴란드

4,315

5,218

3,941

4.7

5.2

4.2

-24.5

10

네덜란드

275

967

1,894

0.3

1.0

2.0

95.9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4.07.15.]

 

또한한국과 슬로바키아 간 철강 제품군의 수출입은 22~23년의 기간 동안 모두 하락하였다다만한국의 슬로바키아 철강 제품군의 수입 감소폭이 수출 감소폭 보다 훨씬 컸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슬 철강제품 군 수출·수입액 동향>

(단위: US$ 천, %)

HS
코드

구분

금액

2023년 증감률

2021

2022

2023

7304

슬 수출

94

77

24

-68.5

슬→한 수출

668

3,749

544

-85.5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4.07.15.]

 

3) 대표품목


대표품목

주요 생산기업

설명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s3_2_img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00pixel, 세로 270pixel
열연 코일

U.S. Steel Košice

열연 코일은 강판을 가열하여 고온에서 얇은 판재 또는 코일로 압연하여 생산하며주로 건축자동차 프레임 및 대형 기계에 사용됨유연성이 뛰어나 시트나 스트립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추가 가공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 필수적으로 사용됨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OIP.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00pixel, 세로 240pixel

냉연 강판

냉연 강판은 열연 코일을 상온에서 추가 가공하여 생산함이러한 추가 가공을 통해 강판은 매끄럽고 광택이 나며 치수가 정밀하여 가전제품자동차 패널 및 가구 제작과 같은 분야에 사용됨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steel-tube-5528518_1280.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675pixel

심리스 스틸 튜브

Železiarne Podrezová

심리스 스틸 튜브(Seamless Steel Tubes)는 용접 이음새 없이 생산되어 뛰어난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고 있음이 튜브는 석유 및 가스 추출보일러화학 처리와 같은 고압 장치에 사용됨


 

다. 진출 전략


1) SWOT 분석


강점 (Strength)

약점 (Weakness)

높은 생산 능력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R&D

고유한 판매 제안

안정적인 자본을 보유한 외국인 지분

숙련된 노동자 부족

높은 에너지 집약도

높은 초기 투자 비용

슬로바키아 기업의 경쟁력 약화

기회 (Opportunities)

위협 (Threats)

새로운 잠재 부문에 대한 철강 제품 수출

현대적 기술 및 혁신에 대한 투자

철강 수요 증가

철강 및 철 제품 가격 상승

경제 불확실성

철강 산업의 변동성

3국으로부터의 저가제품 수입

- EU 규정 및 정책

[자료: KOTRA 브라티슬라바 무역관 종합]

 

2) 유망분야


① 교정 금속(Surgical steel)

의료산업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교정 금속이 패션 산업에서도 사용되기 시작하며그 수요가 점진적으로 커지고 있다교정 금속이 부식과 산화에 매우 강하며, 피부에 접촉되어도 알러지 반응이 없기 때문이다또한아연 합금으로 가공된 저렴한 장신구와 달리 교정 금속을 활용한 장신구는 표면의 품질과 색상이 쉽게 변질되지 않는다이에 따라교정 금속의 수요가 날로 커지고 있다.

 

② 방산·우주 분야

슬로바키아 내 방산 및 우주산업 분야가 정부의 지원 하에 크게 성장하며 관련 중간재에 대한 수요도 상승하고 있다특히방산 및 우주산업 분야는 제품의 높은 강도내구성 및 다용도성이 중요하므로 고품질의 특수 강철과 합금 사용이 중요하다따라서해당 산업의 발전이 예상되는 바관련 특수 강철 및 합금 제품 분야가 유망하다고 할 수 있다.

 

 

자료슬로바키아 무역투자청(SARIO), 슬로바키아 통계청, Finstat, 유럽위원회(European Commission), 유럽 철강 협회(EUROFER), GTA, 현지 언론 및 KOTRA 브라티슬라바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4년 슬로바키아 철강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