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태국 버스(승합차 포함) 시장 동향
  • 상품DB
  • 태국
  • 방콕무역관 이태형
  • 2024-07-18
  • 출처 : KOTRA

2023년 태국 내 버스(승합 차, 미니버스 포함) 생산량은 전년 대비 28.4% 증가하여 8,768대를 기록

태국의 버스(승합 차, 미니버스 포함) 최대 수입국은 한국으로 2023년 기준 1억 6만 달러를 기록

태국 정부는 국내 버스 및 트럭 사업자들에게 전기차(EV)로의 전환을 장려하기 위해 인센티브를 본격적으로 제공

상품명 및 HS 코드

 

HS 코드

품명

8702

10인 이상(운전자를 포함한다) 수송용 자동차

8702.10

압축점화식 피스톤 내연기관[디젤이나 세미디젤(semi-diesel)만을 갖춘 것

 

<HS Code 8702.10 세부 상품 코드>

HS 코드

품명

8702.10.10

자동차(스트레치 리무진 포함, 코치, 버스, 미니버스 또는 밴 제외)

8702.10.41

모터 코치, 버스 또는 미니버스 :

총중량 6t 이상 18t 이하인 경우

8702.10.42

모터 코치, 버스 또는 미니버스 :

총중량 24t을 초과하는 경우

8702.10.49

기타

8702.10.71

기타, 30인 이상 운송용이며 공항에서 사용하도록 특별히 설계된 :

총중량 6t 이상 18t 이하인 경우

8702.10.72

기타, 30인 이상 운송용이며 공항에서 사용하도록 특별히 설계된 :

총중량 24t을 초과하는 경우

8702.10.79

기타

[자료: Thai Customs, Integrated Tariff Database]

 

시장동향


태국산업연맹(Federation of Thai Industries) 데이터에 따르면,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2020년의 태국 ( ) 생산량은 전년 대비 46.1% 급감하여 5,041대를 기록했으나 이후 점차 회복하여 2023년의 생산량은 전년 대비 28.4% 증가하여 8,768대를 기록했다. 그중 ‘승합 차 및 미니버스’의 생산량이 90% 이상을 차지했다.

 

<태국 버스(승합 차 및 미니버스 포함) 생산 규모>

(단위: 대)

[자료: Federation of Thai Industries]

 

한편, 조사 기관 YCP Solidiance 에 따르면, 2023년 1~9월 누적 기준 태국 내 전기 버스의 등록이 전년 대비 17% 이상 증가하여 1,145대를 기록했다. 친환경 대중교통 솔루션에 대한 정부의 이니셔티브로 인해 버스 관련 기업의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전기 버스 도입률이 크게 높아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각 브랜드별 전기(EV) 버스 점유율 및 연간 등록 대수>

(단위: 대, %)

[자료: YCP Solidiance]

 

수입 규모 및 동향

 

조사 기관 Global Trade Atlas 데이터에 따르면, 태국의 승합 차, 미니버스를 포함한 버스(HS Code 8702.10) 수입은 2019년~2023년 평균 약 2억 4654만 달러 규모이며, 2023년에는 전년 대비 40.6% 증가한, 평균보다 1388만 달러 높은 2억 6042만 달러 규모의 수입량을 기록했다.

 

<태국의 버스(승합 차, 미니버스 포함) 총 수입동향(2019~2023년)>
(
단위: US$ 천)

HS Code

2019

2020

2021

2022

2023

8702.10

357,527

255,868

173,661

185,230

260,416

[자료: Global Trade Atlas(’24.07.11.)]

 

태국의 버스(승합 차, 미니버스 포함) 최대 수입국은 한국으로 2023년 기준 1억 6만 달러를 기록했다. 또한, 한국을 포함한 상위 1~3위(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국가의 점유율이 72% 이상을 차지했다.

 

<대태국 국가별 버스(승합 차, 미니버스 포함) 수입액 규모(2019~2023)>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2019

2020

2021

2022

2023

증감률
('23/22)

전체

357,527

(100.0)

255,868

(100.0)

173,661

(100.0)

185,230

(100.0)

260,416

(100.0)

40.6

1

한국

103,322

(28.9)

36,714

(14.3)

112,362

(64.7)

138,317

(74.7)

100,060

(38.4)

-27.7

2

인도네시아

120,589

(33.7)

22,206

(8.7)

27,981

(16.1)

19,007

(10.3)

60,393

(23.2)

217.7

3

말레이시아

5,292

(1.5)

3,741

(1.5)

59

(0.0)

-

28,819

(11.1)

-

4

싱가포르

-

20,041

(7.8)

7,815

(4.5)

12,787

(6.9)

22,134

(8.5)

73.1

5

일본

80,971

(22.6)

150,321

(58.7)

12,814

(7.4)

11,390

(6.1)

19,915

(7.6)

74.8

6

스페인

-

-

-

281

(0.2)

17,591

(6.8)

6160.1

7

독일

18,807

(5.3)

10,313

(4.0)

4,402

(2.5)

2,318

(1.3)

8,220

(3.2)

254.6

8

중국

23,220

(6.5)

4,278

(1.7)

1,006

(0.6)

62

(0.0)

2,386

(0.9)

3748.4

9

터키

5,001

(1.4)

184

(0.1)

56

(0.0)

1,035

(0.6)

770

(0.3)

-25.6

10

미국

-

-

-

-

82

(0.0)

-

주: 괄호 안 수입점유율

[자료: Global Trade Atlas(’24.07.11.)]

 

자동차 조사 기관 AutolifeThailand의 판매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1월부터 1~11월 누적 기준 태국 내 11인승 밴(Van) 판매량의 대부분이 우리나라 기업이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모델별 통계를 보면, 현대 스타리아(Staria) 모델이 2,077대로 1위, 현대 H-1 모델이 1,150대로 2위, 기아 카니발(Canival)이 1,088대로 3위, 쌍용 로디우스(Rodius) 모델이 38대로 4위를 차지했다. 

 

<태국 내 모델별 11인승 밴(Van) 판매량(2023년 1~11월)>

[자료: AutolifeThailand]

 

경쟁동향


<태국 내 버스 산업 주요 기업 현황(2023)>

기업명/기업로고

기업정보

THAI SMILE BUS COMPANY LIMITED

본사: 태국

- 지분: 태국 100%
- 자본금: 9억 5000만 바트(약 361억 원)
- 매출액(2023): 8억 900만 바트(약 308억 원)

SMART BUS CO.,LTD.

본사: 태국

- 지분: 태국 100%
- 자본금: 10억 바트(약 380억 원)
- 매출액(2023): 6억 6129만 바트(약 252억 원)

K-MAN DISTRIBUTION COMPANY LIMITED

본사: 태국

- 지분: 태국 100%

- 자본금: 1000만 바트(약 4억 원)
- 매출액(2022): 1억 7306만 바트(약 66억 원)

[자료: Department of Business Development, Corpus X, 각 기업 홈페이지]

 

유통구조

 

조사 기관 Krungsri Research에 따르면, 태국의 모든 차량 유형에 대한 연간 생산량은 2019년 410만 대를 기록했으며, 2022년에는 390만 대를 생산했다. 승용차와 상용차 간에 거의 균등하게 나뉘었다. 또한, 태국 내 일본 제조업체는 국가 생산 용량의 80%로 아직까지 유통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태국 내 기업별 차량 생산 능력 점유율(2022)>

[자료: Krungsri Research]

 

<태국 내 버스(승합 차, 미니버스 포함) 수입 유통구조>

[자료: Krungsri Research, KOTRA방콕무역관 정리]

 

관세율

 

태국의 승합 차, 미니버스를 포함한 버스(HS Code 8702.10)의 경우 일반 세율은 40~200%이다. 한-아세안 FTA 협정세율(AK1)의 관세율은 32%,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의 관세율은 40%이다.

 

<태국 버스(승합차, 미니버스 포함) (HS Code 8702.10) 수입관세>

HS 코드

8702.10

품목명

10인 이상(운전자를 포함한다) 수송용 자동차

압축점화식 피스톤 내연기관[디젤이나 세미디젤(semi-diesel)만을 갖춘 것

수입관세

일반세율: 40~200%

한-아세안(AK1): 32%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40%

부가가치세

7%

[자료: Thai Customs, Integrated Tariff Database]

 

필요 인증

 

태국에서 승합 차, 미니버스를 포함한 버스(HS Code 8702.10) 차량을 수입할 때 필요한 인증은 차량의 안전, 환경 규제, 품질 관리 등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가 있지만 태국 산업표준원, 교통부, 관세청, 환경부, 상무부 등 관련 기관에 직접 문의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

 

1) 태국산업표준원(Thai Industrial Standards Institute): 제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인증 발행


차량과 관련된 안전 표준을 준수해야 하며, 모든 수입 차량은 TISI의 인증을 받아야 한다. 필요 서류로는 제품 시험 보고서, 제품 설명서, 제조업체의 품질 관리 시스템 문서 등이 있다.

 

2) 태국 교통부(Department of Land Transport): 차량의 안전 및 환경 규제 준수를 확인


차량의 등록을 위해 교통부에서 발행하는 인증이 필요하다. 필요 서류로는 차량의 기술 사양서, 안전 검사 보고서, 환경 규제 준수 증명서 등이 있다.

 

3) 환경 규제 준수: 태국은 차량의 배출 가스 규제를 엄격히 적용


디젤 차량은 태국의 배출 가스 규제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필요 서류로는 배출 가스 시험 보고서, 환경 규제 준수 증명서 등이 있다.

 

4) 수입 면허: 태국에서 차량을 수입하려면 수입 면허 요구


태국 상무부에서 발행하는 수입 면허를 받아야 한다. 필요 서류로는 상업 송장, 포장 명세서, 원산지 증명서 등이 있다.

 

5) 세관 통관: 차량을 수입할 때는 세관을 통해 통관 절차 진행


태국 세관에서 발행하는 통관 인증을 받아야 한다. 필요 서류로는 수입 신고서, 관세 납부 증명서, 통관 서류 등이 있다.

 

시사점

 

2023년 기준 태국은 연간 390만 대 이상의 차량을 생산했으며 이는 세계 10위, 아시아 5위, ASEAN 지역 1위를 기록했다. 승합 차, 미니버스를 포함한 버스의 경우, 과거 팬데믹으로 인해 급감했던 생산량은 2023년에 들어서면서 크게 회복되었다. 


한편, 태국 정부는 전기차로의 전환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어 향후 몇 년간 태국의 전기 버스 시장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외에도, 버스 수입을 위     것은 시장 진입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작성: KOTRA 방콕무역관 이태형

자료: Thai Customs, Federation of Thai Industries, Global Trade Atlas, YCP Solidiance, AutolifeThailand, Krungsri Research, Department of Business Development, Corpus X, 각 기업 홈페이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태국 버스(승합차 포함)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