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오만 학교 디지털화 프로젝트, 전자칠판부터 콘텐츠까지 전 분야 기회
  • 트렌드
  • 오만
  • 무스카트무역관 이슬아
  • 2024-12-20
  • 출처 : KOTRA

빠른 인구 증가와 높은 출산율에 힘입어 교육 부문의 성장과 중요성 대두

오만 경제다각화 전략 Vision 2040의 주요 개발 목표로 지속적 개발 진행 예정

오만 교육시장 개요

 

오만의 빠른 인구 증가와 높은 출산율에 힘입어 오만 교육 부문의 성장과 중요성이 대두하고 있다. 2024년 10월 기준 오만의 인구수는 525만2608명으로, 오만인이 전체 인구의 약 56.6%를 차지한다. 오만통계청의 2024년 11월 통계로는 2023년 기준 오만 학생 수는 90만6837명으로 10년 전 대비 28.3% 증가했다. 이 중 공립학교 학생은 전체 학생 수의 약 85.4%를 차지하며, 사립학교가 7.5%, 외국 학교(인도, 필리핀, 방글라데시 등 국가별 학교)를 포함한 국제학교가 5.9% 수준이다. 같은 기간 오만의 학교 수는 총 2418개로, 국립학교가 1269(52.5%)곳, 사립학교가 1103(45.6%)곳, 국제학교가 46(1.9%)곳이다. 총 7만8098명의 교사가 근무하고 있으며, 국립학교의 교사 수가 전체 교사 수의 약 77.6%(60,566명)를 차지한다. 최근 10년 사이 오만 학생 등록 증가의 주원인은 기초 교육 시스템(K-12)을 채택해 일반 교육 시스템으로 대체하며 6세~17세 사이 아동의 입학 등록이 의무화됐기 때문이다.

 

<2014년/2023년 오만 학교 통계 변화>

(단위: 개, 천 명)

[자료: 오만통계청(National Center for Statistics and Information)]

 

2023년 기준 10세 이상 총인구는 426만 명으로, 이 중 General Diploma(한국의 고등학교) 미만인 인구는 36.6% 수준이다. 또한, 읽고 쓰기만 가능한 인구의 약 89%가 외국인인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오만의 외국인 근로자 대부분이 단순 노동집약산업에 근무하고 있으며, 방글라데시, 인도, 파키스탄 출신의 저임금 저숙련 노동자가 오만 전체 외국인 노동자 인구의 81%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2023년 기준 10세 이상 인구 교육 수준별 분포>

(단위: %, 명)

교육 수준

비율

오만인

외국인

합계

문맹

2.3

88,250

10,676

98,926

읽고 쓰기 가능

17.5

84,702

662,962

747,664

일반 교육 미수료

(Under/Without General Diploma)

36.6

865,369

697,210

1,562,579

일반 교육 수료자

(General Diploma)

24.7

699,554

356,037

1,055,591

고등교육 졸업자*

(Higher Education Diploma)

3.9

114,127

53,142

167,269

학사 이상

(Bachelor and Above)

10.6

290,771

161,361

452,132

불명

4.3

9,530

172,082

181,612

총계

100

2,152,303

2,113,470

4,265,773

* 주: 한국의 전문학사와 유사(2년제 고등교육)

[자료: 오만통계청]

 

오만의 교육 담당 정부 부처는 두 곳으로, 오만 교육부(Ministry of Education)가 1~12학년의 교육 관리를, 오만 고등교육부(Ministry of Higher Education)가 고등교육의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교육부의 책임에는 교육 정책, 교과 과정 및 교과서 개발, 학생 성과 평가 메커니즘 개발, 학교의 업무 진행 감독, 기술 및 행정 지원 등이 포함된다. 모든 주 정부의 교육국(Directorates General of Education)은 교육부 계획의 실행을 담당하고 있으며, 교육부는 점차 교육국에 더 많은 재정 및 행정 권한을 부여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오만의 학교 교육 시스템

 

2023년 왕령 31/2023로 공포된 학교 교육법(The School Education Law)은 현대와 미래의 요구를 충족하는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 동시에, 혁신과 연구를 장려하기 위한 커뮤니티 참여를 촉진하도록 설계됐다. 오만의 의무교육 나이는 6세부터 17세까지며 자국민 대상 무상 국립학교 수학을 지원한다. 해당 왕령에서 오만 교육부는 국가의 정책에 따라 민간 부문이 교육과정을 지원하도록 장려하며, 학생은 국내 및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양질의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고, 학교에 출석할 수 없는 사정이 있는 학생에게 가정 학습이나 원격 학습을 허가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국립학교 교육은 일반적으로 기본교육(Basic Education), 기본교육 이후(Post-Basic Education), 평생 교육(Continuing Education)으로 나뉘고 기본교육은 다시 1~4학년까지의 1주기와 5~10학년의 2주기로 나뉜다. 기본교육의 1주기까지는 남녀 학생들이 같은 반에서 수학할 수 있으며, 여성 교사만 수업을 진행한다. 2주기부터는 남녀 분반이 이뤄지며, 남교사가 남학생을, 여교사가 여학생을 가르친다. 기본교육 이후의 교육(Post-Basic Education)은 11~12학년(한국의 고등학교 2~3학년에 해당)이 해당한다. 평생 교육은 국립학교 교육의 한 유형으로 3년 과정의 문해력 프로그램(6학년 이수와 동일)과 성인 교육(7~12학년, 정규 학교 교육 또는 무료 홈스쿨링)으로 나뉜다.

 

오만의 사립학교는 단일 언어 학교, 이중 언어 학교 및 국제 학교, 국제 인증 커리큘럼 제공 국제학교 등으로 나뉜다. 여기에는 인도 학교, 방글라데시 학교, 필리핀 학교 등 자국의 커리큘럼을 제공하는 학교가 포함된다.

 

오만 교육과 Vision 2040

 

오만 경제다각화 전략인 Vision 2040은 오만의 교육 향상을 우선 개발 순위로 지정하고 있다. 2021년 시행된 이후 교육 시스템을 현대화하고, 과학 연구, 혁신, 사회 복지 및 기본 서비스를 지원하며, 교육을 지속 가능한 발전 달성을 위한 기본 기둥으로 만드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기술응용과학대학(UTAS) 설립, 기초 교육 이후 직업 및 기술 교육 관련 왕령 발표, 교육 부문 투자 장려 이니셔티브, 학교 건설을 위한 민관 파트너십, 투자 및 경제 분야에서 요구되는 기술을 갖춘 국가 역량 개발 이니셔티브 등이 우선 개발 순위에 포함된다. 오만은 2040년까지 오만의 종합 대학인 술탄 카부스 대학을 세계 상위 300위권 대학 중 하나로 끌어올린다는 비전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 발맞춰 술탄 카부스 대학은 2025 QS 세계대학평가(2025 QS World University Rankings)에서 지난해 454위에서 92위 상승한 362위를 기록했다.

 

오만 정부의 오랜 난제 중 하나는 높은 청장년 실업률이다. 정부는 이러한 문제 해결 방안이 교육에 있다고 보고 있다. Vision 2040 후속조치기관의 보고서를 보면, 오만 정부는 고용 시장에서 기술 및 직업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해당 분야에서 가능한 기회를 홍보한다. 이와 동시에 노동시장 수요에 부합하는 커리큘럼을 개발하고 새로운 전문 분야를 도입하며, 기술 및 직업 전문화에 대한 노동시장의 수요를 평가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교육 및 훈련 시설을 업그레이드하고, 최신 기술과 장비를 도입하는 것도 여기에 해당한다. 오만 교육부는 교육과 첨단기술을 접목하기 위해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가상 학습 플랫폼과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의 보급으로 학생들의 교육 접근성이 상승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기간 원격 학습을 위한 에듀테크(EduTech) 사용이 75% 증가했으며, 오만 교육 국가센터의 연구로는 에듀테크 도입에 따라 오만 학생들의 STEM(과학, 기술, 공학, 수학) 과목에 대한 동기 부여와 관심이 20% 증가했다.

 

오만의 에듀테크 트렌드

 

오만 교육부는 교육과정 개발국(Directorate-General of Curriculum Development)을 대표해 iSpring Suite 프로그램을 사용한 대화형 디지털 수업 설계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교육 프로그램 동안 선별된 25인의 이러닝 전문가는 대화형 디지털 수업 제작 계획, 대화형 디지털 수업 템플릿 제작, 대화형 디지털 수업 제작과 관련된 일련의 지식, 학습 전략 및 교사와 학생에게 주는 이점, 교육 콘텐츠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지식, 이러닝 콘텐츠 디자인 시 고려해야 할 원칙에 대해 배운다. 이 교육 프로그램은 흥미롭고 역동적인 학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디지털 프로그램, 도구 및 대화형 기술을 사용해 디지털 수업을 설계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대화형 디지털 수업을 설계하고 정보를 제시하는 방법을 다양화해 학습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하고 콘텐츠에 대한 깊은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그 외 오만의 주요 에듀테크 기업으로는 교사가 유치원생부터 5학년까지의 학생을 대상으로 교육용 콘텐츠를 제작하고 공유할 수 있는 Adeep Studio, 학교 버스에 IoT를 도입해 학교와 학부모가 학생 위치 탐지 및 등하교 안전 확인을 지원하는 어플 개발업체 eMushrif, 가상현실과 메타버스 솔루션을 통해 교육 및 훈련 환경을 제공하는 PencilVR 등이 있다.

 

오만 디지털 교육 전환에 따른 수출 기회

 

4차 산업혁명인 신기술과 정보 혁명 등으로 세계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이러한 변화에 적응할 수 있게 도와주는 교육의 역할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발맞춰 오만 교육부는 2018년 4월 「미래 기술을 위한 국가 프레임워크 개발」을 위한 위원회를 설립했다. 해당 프레임워크는 오만의 교육 시스템이 경쟁력을 갖추고 지속 가능한 개발 및 미래의 요구사항에 부합하도록 요구하는 오만 Vision 2040과 방향성을 같이하고 있다.

 

오만 교육부의 IT 담당자인 Fatma는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오만이 이러한 Vision 2040 목표에 집중하고 있고, 목표 달성을 위해 학교의 디지털화를 진행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또한, 오만 전역의 학교에 전자 칠판 보급 계획이 있으며, 그 외 CCTV 제품 및 관련 교육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한국과의 협력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오만 교육부의 관련 기자재 조달은 크게 직접 구매(Direct Purchase), 입찰 구매(Purchasing devices through tenders), 민간 기관을 통한 제공(Providing through private entities, Initiatives)의 세 종류로 구분된다. 직접 구매는 교육 기관의 구매 필요성 또는 기기 문제 관련 내용이 교육부 총무처 기술지원과와 기기관리부나 교육국 정보기술부에 전달되면 관련 부서에서 요청 검토 후 유지보수 또는 신규 기기 구매 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입찰 구매 방식은 각 주의 교육국과 협력해 기기 필요 여부를 취합한 뒤 요청을 검토하고 기기의 수와 유형을 결정한 뒤 기술 지원 및 장치 관리 부서에서 필요 기술 사양을 결정한다. 이후 해당 요청을 구매 부서로 이관해 예상 비용을 준비한 뒤 교육부 예산 부서로 요청을 이관해 진행하는 방식이다. 민간 기관을 통한 이니셔티브는 학교와 주 정부 교육국 간의 조율을 통해 결정된다.

 

시사점

 

오만의 교육 부문 디지털 전환에 따라 스마트 러닝 플랫폼, AI 기반 학습 솔루션, 원격교육 인프라 솔루션 제공 등의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단, 기술 도입 시 현지 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솔루션이 필요한 점 참고가 필요하다. 오만의 국립학교 교육은 아랍어로 진행돼, 현지 문화와 언어 요구를 반영한 현지화 전략을 수립한다면 시장 진입이 더 수월할 것으로 전망한다.

 

오만은 상대적으로 인구 밀도가 낮아 농촌 및 산간 지역의 디지털 인프라 구축 수준은 오만 수도가 위치한 북부 지역과 큰 격차를 보인다. 또한, 오만 정부의 과제인 청년 실업률 해결을 위한 인재 양성 프로그램의 중요도가 매해 강조되고 있다. 이에 현지 기업인지도 제고와 브랜드 신뢰도 강화를 위해 해당 디지털 격차 해소 및 인프라 구축, 디지털 인재 양성 등을 위한 CSR 활동 등이 요구될 수 있다. 일례로 화웨이는 오만 대학들의 협력하에 ICT 아카데미를 설립, 5000명 이상의 졸업생을 배출하며 포괄적인 인재 공급망을 구축하는 등 오만의 ICT 인재 개발 전략에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또한, 오만 교통통신정보기술부와 협력해 2017년 최초 개최된 중동과 중앙아시아 최대 규모 화웨이 ICT 경진 대회(Huawei ICT Competition — Middle East and Central Asia)는 2023년에는 오만 전역에서 4만5000명 이상의 대학생이 참여하는 주요 대형 행사로 자리매김했다.

 

오만 교육과 디지털 전환 관련 주요 행사는 GHEDEX와 COMEX가 있다.


<오만 고등교육 전시회> 

전시회명

제24회 오만 고등교육 전시회

GHEDEX(The Global Higher Education Exhibition)

개최기간

2025년 4월 7~9일

개최장소

오만 컨벤션 & 전시센터(Oma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re)

참가국가

오만, UAE, 영국,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미국, 일본 등 17개국

전시분야

국제 및 국내 대학, 교육 기관, 기술교육 및 직업 훈련 등

주최/후원

OITE(Oman International Trade and Exhibition)/ARB(Arabian Research Bureau)

Vision 2040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Higher Education, Research and Innovation

Ministry of Labour

* 주최 측의 사정에 따라 개최 일자 또는 여부가 변동될 수 있으므로

전시회 참관 전 반드시 주최자 또는 전시장으로 사전 문의 필요.

[자료: https://ghedex.global/oman]

 

<코멕스 국제 테크놀로지 쇼>

전시회명

제34회 코멕스 국제 테크놀로지 쇼

COMEX Global Technology Show

개최기간

2025년 9월 7~10일

개최장소

오만 컨벤션 & 전시센터(Oma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re)

주요참가기업

오만 주요 은행, 오만 주요 통신사, 정부부처,

전시분야

전자정부, 엔터프라이즈, 핀테크와 뱅킹, 기술 스타트업, 기술 투자, 기술 부문 교육 및 채용, 

우주기술, B2B 미팅, 드론 및 미래 모빌리티, MR/VR, 전자상거래, 게임 및 e-스포츠

주최/후원

OITE(Oman International Trade and Exhibition)/ARB(Arabian Research Bureau)

Vision 2040

Ministry of Transport,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Technology

Central Bank of Oman

* 주최 측의 사정에 따라 개최 일자 또는 여부가 변동될 수 있으므로

전시회 참관 전 반드시 주최자 또는 전시장으로 사전 문의 필요.

[자료: https://www.comex-global.com/]

 

무스카트 무역관에서는 무역투자24 서비스를 통해 전시회 대리참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오만 디지털 교육 전환 관련 진출 희망 한국기업은 해당 서비스를 통해 현지 시장 조사 및 관련 바이어 네트워킹이 가능한 점 참고가 필요하다. 원활한 업무 지원을 위해 상기 기재된 전시회 개회일 최소 2주 전 신청서 작성이 필요하며, 아래 링크에서 사업 신청이 가능하다.

(수출24) 전시회 대리 참관 서비스(클릭)

 


자료: 오만 교육부, 오만 통계청, 현지언론, 각 전시회 홈페이지, KOTRA 무스카트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오만 학교 디지털화 프로젝트, 전자칠판부터 콘텐츠까지 전 분야 기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