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신성장상품] 카자흐스탄 심장질환 의료기기 진출 고려해볼만
  • 트렌드
  • 카자흐스탄
  • 알마티무역관 최진형
  • 2010-07-15
  • 출처 : KOTRA

 

카자흐스탄 심장질환 관련 의료기기 진출 고려해볼만

- 카자흐스탄 심장질환 사망률 매우 높아 -

 

 

 

□ 카자흐스탄 심장질환 및 의료기기 지원정책

 

 ○ 카자흐스탄의 질병 사망률 중 심장질환(Cardiovasular Disease) 사망률이 52%나 이르는데, 이는 유전적 요소, 환경적 요소, 식습관에 의한 것으로 조사됨.

  - 카자흐스탄은 연간 8만 명 이상이 심장질환에 의해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지난 10년간 170%가 증가했음.

  - 2009년 한해 동안 약 150만 명이 심장질환을 앓는다고 집계됐는데, 이는 카자흐스탄 인구의 10%에 해당되는 수치임. 특히 허혈성 심장질환(Ischemic Heart Disease)이 일반적이며 선천성 유아 심장질환 환자수는 연간 3000명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됨.

 

 ○ 카자흐스탄 정부는 이미 심장질환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하는 상황이며 2005~10년 국민건강복지 프로그램을 수행함. 이 프로그램의 주 목표는 2010년까지 GDP의 4%에 해당되는 예산을 건강복지에 지출하겠다는 것이며 2008년 한해동안 약 12억달러의 예산을 소요한 것으로 조사됨.

  - 카자흐스탄의 의료 시스템은 85%이상이 국립병원이라는 점이 특징이며, 의료기기 구매 또한 대부분 중앙정부, 주정부, 시정부를 통해 입찰로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남.

 

카자흐스탄 정부의 건강복지 예산 지출 현황

                                                                                                              (단위 : 백만 달러)

연도

총 예산지출규모

중앙정부

지방정부

2007

45

45

0

2008

67

53

14

2009

98

84

14

총 계

210

182

28

 

 ○ 카자흐스탄 의료기기 특징은, ① 진단기기, 레이져, 내시경, 치과용 의료기기가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는 것, ② 현지 생산이 전체 시장의 1.7%에 불과해 수입에 전적으로 의존한다는 것임.

  - 최근 한국산 X-ray 촬영기, 초음파기기 시장점유율도 높아지는 상황이며 2009년부터 한국산 MRI 수입이 처음으로 이뤄짐.

 

최근 카자흐스탄 의료기기 시장현황

                                                           (단위 : 백만 달러)

 

2007년

2008년

2009년

 의료기기 시장규모

490    

811   

1010   

 의료기기 현지생산규모

13.4   

14.1   

14   

 수출 규모

3.5   

3.1   

3   

 수입 규모

480   

800   

1000   

                     자료원 : 알마티KBC 시장조사

 

□ 카자흐스탄 심장질환 관련 의료기기 시장현황

 

 ○ 심장질환 관련 의료기기는 심장박동기록기(Cardiographs), 인공심장조율기(Pacemakers), 혈관 회복기(재소통), 스텐트(혈관폐쇄 방기 주입기) 등이며 전자심장박동기록기와 인공심장조율기가 가장 대표적이라 할 수 있음.

  - 전자 심장박동기록기와 인공심장조율기 시장 또한 수입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으며 주요 수입국은 일본, 미국, 독일, 영국, 한국, 러시아 등임.

  - 주요 심장질환 의료기기 브랜드는 GE Medical Systems, Medtronic, Terumo, Abbott, Siemens 등임.

 

카자흐스탄 심장박동기록기 및 인공심장조율기 수입규모

                                                           (단위 : 백만 달러)

 

2007

2008

2009

심장박동기록기

0.03

0.42

0.55

인공심박조율기

2.20

3.30

4.30

                     자료원 : WTA

 

전자심장박동기록기 주요 수입국 시장점유율

자료원 : WTA

 

인공심장조율기 주요 수입국 시장    점유율

자료원 : WTA

 

□ 진출 전략

 

 ○ 2007~09년 사이 카자흐스탄 의료기기 시장은 66% 이상 성장했다는 것과 전반적인 의료산업이 발달하고 있는 과정 중, 카자흐스탄의 가장 고질적인 질환이 되는 심장질환 관련 의료기기 진출은 크게 고려해 볼 만한 상황임.

  - 카자흐스탄 의료기기 산업은 정부 구매 입찰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현지 판매법인 진출이나 규모 있는 의료기기 유통사를 통한 입찰 참여가 관건일 것임.

  - 현재 카자흐스탄의 경험있는 의료기기 유통사는 약 5개 정도로 파악되는데, 알마티KBC 마케팅 사업 참여(바이어 발굴조사, 지사화 사업)와 전시회(KIHE)를 통한 시장개척도 시장진출 방법 중의 하나임.

 

 ○ 진출전략 중 현지 유통사 발굴이 우선적인 이유는 의료기기 특성상 광고, 입찰참여, 등록, 라이선스 취득, AS망 구축이 매우 어렵다는 점임.

  - 알마티KBC 조사에 따르면, 카자흐스탄 의료기기 시장진출의 가장 어려운 점은 카자흐스탄 건강부 산하 의료기기 연구센터에의 등록절차와 카자흐스탄 계측학 연구소에서 발행하는 Certificate 취득임.

 

 

정보원 : 카자흐스탄 통계청 사이트(www.stat.kz) WTA, KOTRA 알마티KBC 보유자료 및 시장분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신성장상품] 카자흐스탄 심장질환 의료기기 진출 고려해볼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