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日, 안경테시장 진출해 보자
  • 트렌드
  • 일본
  • 오사카무역관 김광수
  • 2010-07-13
  • 출처 : KOTRA

 

日, 안경테시장 진출해 보자

- 가격, 품질, 회사신뢰도가 중요 –

 

 

 

안경테의 소매가격의 하락은 계속됨. '3프라이스숍'이라고 하는 프레임렌즈 세트 가격을 3개의 가격 설정으로 가격의 명확화를 내세운 안경 체인점이 젊은이를 중심으로 인기임. 프레임은 주로 중국으로부터 많이 수입되지만 개성적인 고급품질 프레임은 일본에도 많이 판매됨. 디플레이션 경향때문에 향후 잠시 동안 가격 하락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바, 가격, 품질, 회사 신뢰도의 장점을 내세워 대일 수출 공략 가능한 것으로 보임.

 

□ 시장동향

 

 ○ 2008년도의 안경테 소매시장은 금액 베이스로 약 1820억 엔이고, 시장의 약 70%을 점유하는 것으로 알려진 안경체인점의 매상은 약 1333억 엔임. 또한, 본수(本)로는 1290만 본이고, 소매점 시장 전체는 약 1600만 본임.

 

 ○ 2008년 1월부터 12월까지 안경테 시장의 월별 판매 본수는 가장 적은 달인 약 97만 본(10월)에서부터 가장 많은 달인 129만 본(3월)의 사이를 추이해 월 평균으로 하면 약 110만 본 판매하는 셈이 됨.

 

 ○ 1~12월 합계 테이터의 점포형태별 구성비를 보면 조사대상 점포형태 가운데 안경테 체인점이 약 70%, 3 프라이스 점포가 30%임. 한 때는 3월과 보너스시기의 6월,7월,12월에 판매 피크를 이룸.

 

 ○ 그러나 최근 3 프라이스 숍(가격의 명확화를 내세운 5000엔、만 엔、만5000엔)이라고 하는 3개 패턴의 가격 판매)가 대두함에 따라 세일기간 이외에도 항상 싸게 구입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춰짐.

 

 ○ 보너스로 안경을 구매하지는 않음. 3월의 판매 본수가 가장 많은 것은 신학기, 신입학, 입사의 시기인 4월을 앞두고 구매가 증가하기 때문임.

 

 ○ 최근 인기 있는 안경테의 판매가격대은 5000엔대 이하이고 다음으로 5000엔 이상 7500엔 미만이다. 3플러스 점포에서 플레임+렌즈세트 가격은 주로 5000엔대,7000엔대,9000엔대,만 엔대 전반으로 설정함.

 

 ○ 플레임만의 가격은 5000엔 미만, 5000엔 이상 7500엔 미만으로 많이 집중되었고, 이들 가격대의 시장점유율을 신장시키는 요인임.

 

 ○ 안경테는 근래 3 프라이스 점포의 대두, 가격 균일점포의 확대에 따라 판매 가격이 하락, 또는 구입 사이클의 장기화에 따라 시장이 축소되는 경향을 보임.

 

  가격의 하락은 이전부터 계속되나 소비 마인드의 냉각은 심각한 수준으로 소비자의 저 가격 지향은 계속될 전망임.

 

안경테 시장 점포 형태별 월별 본수 추이

(단위 : 천 개)

 

□ 수입 정보

  

 ○ HS Code 9003.19의 수입금액은 2009년에는 약 1억1122만 달러의 규모임.

 

 ○ 이 품목에 있어서 일본의 최대 수입대상국은 중국이며, 중국제가 수입품의 80% 이상을 차지함. 이외에 이탈리아, 독일, 한국 순으로 수입액이 많음.

 

 ○ 대한수입액을 살펴보면, 2009년에는 362만 달러에 수준으로 수입품의 3.26%의 점유율을 나타냄.

 

일본의 최근 3년간 HS Code9003.19의 수입금액

                                 (단위 : 백만 달러, %)

순위

국가명

수입금액

점유율

증감률

2007년

2008년

2009년

2007년

2008년

2009년

09/08

-

전체

116.142

125.784

111.229

100

100

100

-11.57

1

중국

83.950

95.440

89.384

72.28

75.88

80.36

-6.35

2

이탈리아

8.535

7.885

3.849

7.35

6.27

3.46

-51.18

3

독일

6.545

5.454

3.682

5.64

4.34

3.31

-32.48

4

한국

3.107

3.650

3.626

2.68

2.9

3.26

-0.66

5

프랑스

5.293

4.996

3.339

4.56

3.97

3

-33.16

6

덴마크

1.846

1.989

1.660

1.59

1.58

1.49

-16.52

7

오스트리아

1.102

1.355

1.157

0.95

1.08

1.04

-14.59

8

말레이시아

1.211

1.454

1.083

1.04

1.16

0.97

-25.5

9

베트남

1.929

1.097

1.041

1.66

0.87

0.94

-5.08

10

벨기에

1.041

0.645

0.750

0.9

0.51

0.67

16.28

자료원 : World Trade Atlas

 

□ 경쟁동향(경쟁 및 가격동향)

 

사진

내용

판매사:무인양품(無印良品)

가격 : 1만5750엔

URL : http://www.muji.net/glass/item/products/0091.html

기타사항:치탄플레임+굴절률

1.60 박형비구면렌즈세트 가격

 

판매사:안경시장(眼鏡市場)

가격 : 1만5750엔

URL : http://www.meganeichiba.jp/frame/LUCIE/function_detail.php?id=LU-4608

기타사항: 치탄플레임+굴절률1.74 박형비구면렌즈 세트 가격 중국제

판매사:ZOFF

가격 :5,250/7350/9450엔

URL : http://www.zoff.co.jp/collection/?pid=item_346

기타사항 : 일반플레임+렌즈 세트 가격

3price shop로 유명한 회사임

 

□ 유통채널 : 메이커 해외생산품·수입상 해외상품 수입

 

 ○ 해외에서 많이 수입함. 그 대부분이 중국제임. 일본 메이커가 해외 공장. 해외 협력공장을 통해 수입하거나 수입상사가 해외 상품을 수입하는 경우도 많음.

 

 ○ 한편, 일본 메이커가 고급품에 특화해 일본에서 생산하는 경우도 많음.

 

자료원 : 업종별 심사사전, 오사카KBC 작성

 

□ 수입정책 및 관세율

 

 ○ 일본의 특별한 수입 규제정책은 없음.

 

 ○ 관세율 : 3.3% or 4.7%

 

□ 일본시장 진출 포인트

 

 ○ 수입 전문업체가 수입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미 한국이나 중국에서 수입하는 바이어가 압도적으로 많아 기존에서 신규로 거래선을 변경하는 경우는 매우 드문 바, 가격, 품질, 회사신뢰도를 장점으로 내세워 바이어에게 적극 어필할 필요 있음.

 

 ○ 아울러 고 부가가치 제품이면 한국제품도 아직 경쟁력이 있고 일본 국내외의 전시회 등을 통해 일본기업에 상품을 홍보하는 것이 효과적임.

 

 

정보원 : KOTRA 오사카KBC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日, 안경테시장 진출해 보자)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