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사요나라 갈라파고스’ 日 스마트폰의 출항전 한마디
  • 경제·무역
  • 일본
  • 도쿄무역관 최정락
  • 2010-06-09
  • 출처 : KOTRA

     

’사요나라 갈라파고스’ 日 스마트폰의 출항 전 한마디

- 일본 ‘갈라파고스 휴대폰’ 세계 시장 진출 러시 -

- 일본 국내시장은 포화상태 -

     

     

     

□ 일본 휴대폰 메이커 세계 시장 진출 러시

     

 ○ 일본 휴대폰 단말기 메이커들이 잇따라 세계시장 진출 계획을 표명함. 배경에는 이미 포화상태이면서도 경쟁이 치열한 국내 시장만 가지고는 살아남기 어렵다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해석됨. 더욱 더 해외에서 활로를 모색하고자 하는 업계의 움직임은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됨.

     

 ○ 일본 휴대폰 메이커 대기업인 NEC, 카시오, 히타치는 휴대폰 사업을 통합해 6월 1일 ‘NEC-CASIO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을 탄생시킴. 이 회사는 세계 규격까지 고려한 제품을 통해 앞으로 미국 및 유럽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예정이며, 2013년에는 해외 출하대수를 전체의 40%까지 끌어올릴 목표를 가짐.

 

2009년 말 기자회견 장

 

 ○ 아울러 일본 국내 휴대폰 점유율 1위인 샤프는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와 공동개발한 스마트폰 ‘킨’을 최근 미국에서 출시, 올 가을에는 영국 등 유럽시장에도 투입할 예정임. 한편 도시바는 액정TV ‘레그자’의 고화질 기술을 도입한 스마트폰 ‘TG01’을 작년 유럽에서 출시, 영국이나 프랑스 등 주요 5개국에서 현재 판매 중임.

 

샤프 ‘KIN’, 도시바 ‘TG01’

     

 

□ 정점을 지난 일본 핸드폰 시장

     

 ○ 일련의 업체들의 움직임의 배경에는 일본 국내 휴대폰 시장의 심각한 침체가 있음. 현재 일본 휴대폰 보급률은 90%를 초과하며, 2009년도 휴대폰 출하대수는 3142만 대로 최고수준을 기록했던 2000년도의 60% 수준까지 축소된 바 있음.

     

 ○ 일본 휴대폰 시장 침체의 원인으로서는 시장이 포화상태라는 점 외에도 경기불황에 따른 개인소비의 침체, 단말기 가격의 급등, 일정기간 해약을 금지하는 요금체계 신설, 단말기 기능 제고에 따른 장기사용 가능 등 여러 가지를 들 수 있으며 앞으로도 시장의 위축세는 지속될 것이 예상됨.

 

 

□ 과거의 실패를 경험삼아 세계시장 재도약 시도

 

 ○ 일본 휴대폰 메이커들은 1990년대에도 잇따라 해외시장에 진출한 바가 있음. 업체들은 각각 유럽이나 중국에서 생산거점을 확립함과 동시에 많은 자금을 투입해서 연구개발센터나 판매망 구축을 시도했으나, 대부분의 메이커가 해외시장에서 큰 활약을 할 수 없었으며 2002년 IT버블 붕괴 이후 유럽시장에서 사실상 철수를 한 바 있음.

 

 ○ 2005년 이후에는 중국 시장으로부터의 철수가 잇따랐는데, 미쓰비시, 도시바에 이어 2006년까지 파나소닉, NEC도 중국에서 큰 이익을 내지 못한 바 있음. 세계시장에서 큰 약진을 기록한 노키아, 모토로라, 삼성, LG 등과는 대조적으로 일본 메이커들은 세계 시장에서 사실상 큰 빛을 받지 못한 바 있음.

     

 ○ 최근 들어서는 일본 휴대폰 업계가 과거의 ‘갈라파고스 폰’에서 벗어나 세계 휴대폰 업계의 선도할 기술을 보유하기 시작했다는 견해도 일각에선 존재함. 단, 아직까지는 세계시장에서 크게 부각돼지 않은 실정임.

 

세계 스마트폰 시장 규모(2010년 1~3월)

 

□ 시사점

     

 ○ 일본 메이커 중 특히 대기업 3사의 사업부문을 통합한 ‘NEC-CASIO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은 각 브랜드의 뛰어난 기술 영역을 철저하게 통합해 전략적으로 세계시장에 접근할 것을 예고하며, 앞으로 존재감을 드러낼 가능성이 높음.

     

 ○ 한편 세계 주요 휴대폰 메이커들의 경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일본 메이커들이 해외조달 비율을 늘릴 가능성이 높으며, 우리나라 통신기기 관련 부품 메이커들에 있어서 납품 기회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자료원 : Fuji Sankei Business I, 아사히 신문, 요미우리신문, 전자정보기술협회, KOTRA 도쿄 KBC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사요나라 갈라파고스’ 日 스마트폰의 출항전 한마디)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