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두바이 무역환경 개선
  • 경제·무역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박정현
  • 2010-04-21
  • 출처 : KOTRA

 

두바이 무역환경 개선

- 두바이, World Bank 및 국가경쟁력보고서 발표 무역환경 순위 크게 상승 –

- 경기 회복기에 대비한 시장진출전략 수립 필요 -

 

 

 

 2009년도 두바이 무역환경 순위 상승

 

  World Bank에 따르면 UAE의 대외무역 환경 순위는 2009년 183개국 중 13위에서 2010년 5위로 8단계 상승해 크게 개선됐음. 사업 경쟁력 제고 지표에 의하면 컨테이너당 수출, 수입비용이 MENA 지역 및 OECD 평균과 비교해 보아도 50~60% 수준이며, 통관 기간이 짧아 무역업체에 유리한 환경 제공

 

사업 경쟁력제고 지표

지표

UAE

MENA

OECD평균

수출 서류

4

6.4

4.3

수출 기간(일)

8

22.5

10.5

수출 비용 (컨테이너 당 US$)

593

1,034.8

1,089.7

수입 서류

5

7.4

4.9

수입 기간(일)

9

25.9

11.0

수입 비용 (컨테이너 당 US$)

579

1,221.7

1,145

자료원 : World Bank Doing Business Report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에 의하면 UAE는 국내외 시장의 규모는 크지 않지만 관세절차 부담이 적고 효율적인 통관시스템을 유지하고 있어 대외무역 환경개선에 일조

 

시장 규모 및 관세절차 부담

지표

순위/133 경제권

내수 시장 규모

56

국외 시장 규모

35

관세절차 부담

3

자료원 :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2009~10)

 

□ 대 UAE 수출 중 두바이 수출비중 70%에 이르러

 

  Dubai Export Development Corporation(EDC)의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대 두바이 수출 23억 달러를 달성해 전체 수입국가중 9위를 기록했고, 2009년도 대UAE 전체 수출 실적은 33억 달러로 대 두바이 수출비중이 70%에 이름.

 

2010년 2월까지 우리나라의 대 UAE 수출실적

(단위 : US$ 억)

구분

중동 전체

UAE

금액(전년 대비 증가율)

중동에서 차지비중(%)

교역량(수출 증감률)

139(-8.0)

33(-2.7)

23.6

무역수지

-177

-14

8.1

            자료: KOTIS

 

 ㅇ 2009년 두바이의 대표적인 수입 품목은 귀금속 및 기계류로 나타남. 귀금속과 기계는 전체 수입규모의 28%, 12%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외 품목들은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0% 미만으로 격차가 심함.

 

2009 두바이 상위 수입 품목

HS chapter

품목

중량(천㎏)

규모(US$천)

71

귀금속

1,740

12,380,963

87

승용차

618,780

 3,543,681

84

원자력 발전 장비

460,200

 3,271,883

85

기계

253,232

 3,046,287

88

항공기

3,498

 1,148,707

54

섬유

192,619

 883,580

10

곡류

550,843

 525,729

40

고무

166,316

 486,940

73

철강제품

192,535

 386,163

62

의류

106,563

 370,375

기타

3,809,552

 5,988,069

총합

6,355,878

 32,032,379

 

  2009년 상위 수입국은 총 직접수출 비용의 36%를 차지한 인도, 중국, 그리고 미국이었으며, 그 외 상위 7개 수입국이 직접수출 비용의 27%를 차지해 수입대상국가가 편중돼 있음.

 

2009년 국가별 수입규모

                                                                                              (단위 : US$ 백만)

자료원 : dubai economic monitor

 

□ 시사점 및 진출전략

 

  World Bank에 따르면 두바이의 대외 무역환경 수치가 작년에 비해 8단계나 상승해 크게 개선됐음. 두바이는 우리나라의 UAE로의 관문이자 인근 중동국가로의 전초기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우리 무역업체들이 인근 지역에 진출할 때 타 지역에 비해 무역환경에 경쟁력이 있는 두바이를 거점으로 삼는 것이 바람직함.

 

  우리나라의 UAE 수출은 2009년도 33억 달러를 기록했고, 그 중에서 70%에 이르는 23억 달러를 두바이에 수출했음. 두바이가 2009년 금융위기로 경기가 침체했다고 하나, 여전히 우리에게 중요한 마케팅 시장임.

 

  2009년도 우리나라의 대 두바이 수출이 2008년도에 비해 40%가 감소했으나 올 해 UAE 경제가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므로 두바이 시장을 지속적으로 공략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 KOTIS, Dubai Economic Monitor, World Bank,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KOTRA 두바이KBC 자체조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두바이 무역환경 개선)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