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美 블루투스기술, 원격의료기기시장의 최대 화두
  • 경제·무역
  • 미국
  • 마이애미무역관 슈퍼관리자
  • 2010-02-19
  • 출처 : KOTRA

 

美 블루투스기술, 원격의료기기시장의 최대 화두로 떠올라

- 블루투스 4.0규격 발표에 따라 활용범위 확대 -

 

 

 

□ 저에너지 기술 기반의 블루투스 4.0규격 발표

 

 ○ 작년 말 블루투스 표준규격 선정기관인 블루투스 SIG(Special Interest Group)에서 저에너지 기술로 4.0규격을 채택한 것을 발표하면서, 새로운 시장 형성을 예고

  - 블루투스 저에너지 기술은 개인 의료, 건강, 스포츠, 피트니스, 보안, 홈 엔터테인먼트와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적용 가능

  - 뿐만 아니라 이 기술로 초저전력 성능은 물론 매우 낮은 비용으로 무선 커넥티비티 기능 구현이 가능해짐에 따라 더 새롭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광범위하게 채택될 것으로 보임.

 

 ○ 블루투스SIG의 전무이사인 Michael Foley 박사는 블루투스 저에너지 기술은 현재 존재하는 모든 에코시스템으로 그 사용범위가 확장될 것이며, 소비자들 또한 다양한 영역에서 쉽게 이 기술을 경험할 수 있는 신흥시장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예측함.

  - 규격 채택 발표에 맞춰 개인용 무선통신 및 블루투스 기술 개발업체인 CSR사의 무선 블루투스 솔루션 BlueCore7의 블루투스 저에너지 지원 제품에 관한 인증이 이뤄짐.

  - 확장성이 뛰어난 CSR의 블루코어는 싱글 및 듀얼모드 블루투스 저에너지 디바이스를 모두 지원하도록 설계

  - 듀얼-모드 블루투스 기술이란 예를 들어,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가 기존의 블루투스기술(현재 3Mbps EDR 기술)뿐만 아니라 새로운 저에너지 스펙 역시 동시에 지원하는 것을 의미

  - CSR의 듀얼-모드 블루투스 저에너지 기술이 탑재된 제품은 모두 기존의 블루투스기술과 함께 블루투스 저에너지 기술 제공이 가능해짐. 더불어 한층 향상된 블루투스 하이스피드 기술의 활용도 가능해짐.

 

 ○ 향후 CSR은 블루코어가 내장된 제품을 사용하는 엔지니어들에게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 수명과 50m 이상의 동작거리를 제공하는 등 완전히 달라진 무선통신기술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블루투스 4.0규격 특징

 

 ○ 저에너지 블루투스기술은 기존 제품에 비해 10~50%의 극히 적은 전력소모에, 다수 업체 간의 상호 호환성 등과 같은 특징이 있음.

 

 ○ 1Mbps의 속도로 전송되는 매우 짧은 데이터 패킷을 지원함으로써 더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짐.

 

 ○ 동전 모양의 작은 배터리로 수년간 작동할 수 있는 역량을 지니게 됨.

 

 ○ 최소 3m 이내에 블루투스 기기 간의 상호 확인 및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지연시간을 최소화

 

 ○ 패킷의 강력한 암호화로 한층 강화된 보안성을 지님.

 

 ○ 듀얼모드의 경우 저에너지 블루투스 기능이 기존 블루투스의 많은 기능들을 공유하므로 저에너지 블루투스 기술 개발비용이 크게 들지 않음.
 

□ 원격의료기기시장

 

 ○ 블루투스 4.0규격 발표로 인해 원격의료기기시장의 발전이 예상됨.

 

 ○ Continua Health Alliance에서 저에너지 블루투스 기술을 Continua 생태계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향후 버전에서 건강의료기기 규격으로 채택함.

 

 ○ 2006년에 결성된 Continua Health Alliance는 IT 의료기술 표준화를 목적으로 하는 비영리 국제협의회. 삼성전자, LG전자, 구글, IBM, 인텔, 노키아, 파나소닉 등 200여 개의 글로벌 기업들이 단체에 소속돼 있고 의료분야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통신 등의 표준화에 대해 논의함.

 

 ○ 엄격한 10개월의 검토기간 후, 여러 기술 가운데 선택된 블루투스 기술은 사용자의 건강 및 피트니스 레벨의 측정에 사용되는 심장박동센서나, 측정에 사용되는 저전력 모바일 기기에 적합한 것으로 선택됨.

 

 ○ 병원을 예약하거나 방문하기에 불편한 노인 혹은 의료서비스를 받기 어려운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 병원진료와 관련한 기본사항인 혈압, 맥박, 혈당 등을 스스로 측정한 후 무선통신기술인 블루투스를 이용해 휴대폰으로 전송이 가능해짐.
 

 ○ 시장조사기관인 IMS 리서치에서 발표한 원격진료시장 전망치 및 의료기기 예상 보고서에 따르면 원격진료는 매년 약 70%의 성장을 통해, 2016년에는 가입자 수가 약 55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 2016년에 혈당측정기, 혈압측정기 등 가정에서 사용되는 의료기기에 대한 시장치는 매년 평균 7.5% 성장하며, 규모로는 58억 달러가 넘을 것으로 예측

 

 ○ 기존 의료기기가 신뢰성, 보안성, 배터리 수명 등의 이유로 무선기술과의 접목이 어려웠던 반면 저에너지 기술이 주된 특징인 블루투스 4.0규격은 기존의 무선의료서비스에 앞서 제기됐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의료기기시장에서 새로운 디바이스와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경쟁이 뜨거워질 것으로 예상됨.

 

블루투스 기술 사용의 예시

NONIN사의 Onyx II, Model 9560

(원격 산소포화도 측정장치)

A &D Medical사 UC-321PBT-C

(원격 체중계)

A &D Medical사 UA-767PBT-C

(원격 혈압 측정장치)

자료원 : Continua Health Alliance

 

□ 전망

 

 ○ 현 의료산업이 고급화·개별화되면서 의사와 환자가 직접 만나는 진료에서 컴퓨터를 통한 원격진료로 변모해감. 이에 따라 개인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분화된 주기적인 자료가 필요해짐에 따라 저에너지 블루투스 기술의 이용은 무궁무진해질 것으로 기대됨.

 

 ○ 국내 의료기기업체들 또한 세계적으로 우수한 국내 전자업체들과 적극적인 교류를 통해 원격의료기기시장에 더 빨리 뛰어들어야 함.

 

 ○ 특히 전 세계 의료기시장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미국시장에서의 활약은 향후 전 세계 원격의료기기시장의 주도권을 장악할 가능성을 높일 것임.

 

 

자료원 : 블루투스 SIG, Continua Health Alliance, KOTRA 마이애미KBC 자체자료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美 블루투스기술, 원격의료기기시장의 최대 화두)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