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자원] 中, 에너지 산업 발전현황
  • 투자진출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09-10-28
  • 출처 : KOTRA

中, 에너지 산업 발전현황

- 中, 세계 1위 에너지 생산대국, 2위 소비대국으로 성장 -

 

□ 中, 건국 60년간 에너지 생산량 약110배에 달함

 

○ 건국시기 에너지 산업 현황

- 건국 당시 중국의 에너지 생산시설, 설비 및 과학기술 수준이 극히 낮았고, 생산, 가공, 공급능력도 많이 떨어졌음.

- 1949년 1차 에너지 생산량은 0.237억톤 꼴이었음. 에너지 제품은 주로 소량의 석탄과 석유이며, 에너지 주 소비품은 석탄으로 에너지 총 소비의 95%이상을 차지 하였음.

- 석유제품은 품종, 품질 등이 모두 수요를 만족하지 못하여 90%이상을 수입에 의거하였음.

 

○ 에너지산업 발전현황

- 2000년과 2001년 中石油(CNPC), 中石化(CPCC), 中海油(CNOOC) 3대그룹이 상장하고 해외시장에 진출하면서 중국의 석유화학산업이 새로운 발전시기에 들어서게 되었음. 최근 500강 기업 중 中石油(CNPC), 中石化(CPCC), 中海油(CNOOC), 國家電罔(SGCC), 南方電罔(CSG)..... 등과 같은 중국의 에너지 기업을 쉽게 찾아볼 수 있음.

- 중국은 현재 전 세계 40여개 국가와 화공 탐사개발, 제련, 수송관로 프로젝트를 협력하여 진행하고 있음.

 

○ 최근 에너지 산업 현황

- 60년간의 노력, 건설, 발전을 거쳐 에너지 산업은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왔으며, 에너지 품종, 품질, 공급 등 면에서 많은 발전을 가져 왔음.

- 2008년 중국 1차 에너지 생산량은 26억톤으로 1949년의 109.5배에 달하는 어마한 수치를 기록하면서 세제 2위를 차지하였음. 2009년 1~9월 에너지 생산량은 20.1억톤으로 동기대비 9%상승하였음.

- 석탄 생산량은 27.9억톤으로 세계 1위를 기록하였음.

 

<1949~2008년 1차 에너지 생산량 현황(다위: 만톤)>


 

<1949년, 1978년, 2008년, 2009년(1월~9월) 주요 에너지 제품 생산량 현황>

내용

단위

1949년

1978년

2008년

2009년(1월~9월)

생산량

생산량

1949년대비

증가(배)

생산량

1978년대비

증가(배)

생산량

2008년대비

증가(배)

석탄

억톤

0.32

6.18

18

27.93

3.5

21.4

0.103

석유

만톤

12

10,405

866

19,000

0.8

14,000

-0.005

휘발유

만톤

2.7

991

366

6,347.54

5.4

5,300

0.136

디젤유

만톤

1.5

1,825.7

1216

13,300

6.3

10,300

0.024

발전량

억kwh

43

2,566

59

34,668.8

12.5

26,511

0.019

 

○ 현재 중국은 이미 세계 제1위 에너지 생산국과 세계 제2위 에너지 소비대국으로 성장하였음. 현재 중국 에너지 총 자급율은 90%에 달하여 경제사회발전수요를 기본적으로 만족하고 있음.

 

○ 에너지 사용량 대폭 증가

- 주민생활주순의 제고와 더불어 자가용 차량 수요량이 증가하였음. 통계에 의하면 중국 자동차 사용량은 1949년말의 5.09만대에서 2008년말 5,099.61만대로 증가하였음. 그중 자가용 차량은3,501.39만대에 달함.

 

○ 1차 에너지 생산총량 증가

 

- 석탄생산량은 몇 년간 세계 1위를 기록함. 2008년 석탄 생산량은 27.9억톤으로 1949년의 87.2배와 1979년의 4.6배에 달함.

- 석유 생산량은 세계 5위를 기록함. 2008년 석유 생산량은 1.9억톤으로 1949년의 1,627배와 1979년의 1.8배에 달함.

- 천연가스 생산량은 세계 9위를 기록함. 2008년 천연가스 생산량은 760.8억m3로 1949년의 6,849.1배, 1978년의 5.6배에 달함.

 

□ 中, 에너지 소비현황

 

○ 1952년 중국 에너지 총 소비량은 0.47억톤(석탄)꼴임, 1978년에 5.71억톤으로 증가하였고, 2008년은 28.5억톤을 기록하면서 1952년~2008년 연간 평균증가율은 7.6%에 달함.

○ 석탄 소비량은 에너지 총 소비량 중 차지하는 비중은 1952년의 95.0%에서 2008년은 68.7%로 인하하였는데 이는 우량한 에너지 소비량이 증가되었음을 의미함.

 

<1952년, 1978년, 2008년 에너지 소비현황>

연도

에너지소비총량

(만톤-석탄)

에너지 소비구조(%)

석탄

석유

천연가스

수력발전, 핵발전, 풍력발전

1952년

4,695.0

95.00

3.37

0.02

1.61

1978년

57,144.0

70.67

22.73

3.20

3.40

2008년

28,5000.0

68.70

18.00

3.80

9.50

 

□ 中, 에너지 향후 발전전망

 

○ 건국 60년간 에너지 산업이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왔지만 향후 중국 에너지 산업발전은 보다 뚜렷할 것임.

 

○ 13개 대형 억톤급 석탄기지 건설

- 2006년 基地建設規劃)>에 근거 중국은 神東, 晋北, 晋東, 蒙東(東北), 雲貴, 河南, 魯西, 晋中, 黃隴(華亭), 冀中, 寧東, 陝北 13개 대형 억톤급 석탄기지 건설을 2010년 준공할 것이며, 건설 후 석탄 생산량이 17억톤에 달할 것으로 에상됨.

- 대형석탄생산기지의 건설은 중국 석탄산업 발전의 기회가 될 것이며, 에너지 발전과 공급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경제발전수요를 만족하고 석탄자원 조정에 중요한 작용을 할 것임.

 

○ 핵발전 산업의 발전

- 중국 핵발전 산업의 계획에 근거, 연해지역인 광동, 절강, 복건에서부터 내류의 호북, 호남, 강서지역에 기십개 해발전소를 건설할 것임. 2020까지 13개 핵발전소를 건설하고, 58대 100만kw 핵발전기, 견간 핵발전량이 2,600억 KWH로 전국 발전총량의 6%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됨.

 

○ 특별 고압전력계통 건설

- 현재 기본적으로 화북-화중-화동지역에 특별고압 전력계통을 형성하였으며, 서북 750KV 전력계통을 건설하였으며, 다국적 전력협력 사업은 많은 발전을 가져 왔음.

- “12.5(2006년~2010년)”, “13.5(2011년~2015년)”기간 특별고압 전력계통을 전면적으로 발전하여 화북, 화중, 화동 지역을 중심으로 한 각 지역 전력계통, 대형 석탄발전소, 대형수력발전소 와 주요 부하센터의 전력계통을 이어주어야 함.

- 2020년까지 53개 특별고압 교류발전소를 건설해야 함.

 

□ 중국 에너지 향후 발전의 걸림돌

 

○ 에너지자원, 기후환경, 기술설비 및 국제적인 환경 등 요소의 영향으로 중국에너지 산업의 발전은 향후 도전이 필요함.

- 자원 환경의 규제와 에너지 수요의 모순이 증가 됨. 석탄이 많고, 기름이 적고, 천연가스가 부족한 중국의 에너지 자원현황으로 장기적으로 석탄을 주로사요하게 될 것임. 석탄의 과도한 사용으로 환경오염이 심해져서 경제발전, 에너지소비와 환경보호, 기후변화의 모순이 갈수록 심화될 것이며,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라는 국제적인 압력이 강화될 것임.

- 에너지 이용효율을 높여야 함. 중국은 공업발전을 강화해야하는 시기이지만 현재 공업기술은 국제수준과는 차이가 있어 에너지 이용효율이 보편적으로 낮음. 산업구조구종, 설비갱신은 장기적이고 어려운 임무임.

- 에너지 관리체제가 완비하지 않음. 사회주의 시장경제수요에 적응하려면 에너지 경제체제는 끊임없는 개혁이 필요하며, 법률법규, 에너지 비축체제도 완비해야 함.

 

자료원: 中國能源罔, 中國資源罔 및 현지 언론보도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자원] 中, 에너지 산업 발전현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