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트남, 한국투자기업 노사관계 아직까지 호의적
- 투자진출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박근형
- 2009-10-15
- 출처 : KOTRA
-
베트남, 한국투자기업 노사관계 아직까지 호의적
- 현지진출 267개사 조사결과 과반수 이상이 노조가 설립되지 않은 상태 –
- 응답기업의 2/3 이상이 호의적인 노사관계, 전체의 15%만 노사분규 경험 -
보고일자 : 2009. 10. 15
하노이 코리아비즈니스센터
박근형keunhyungp@gmail.com
ㅇ 2009년 6월말 현재, 베트남에 진출하여 경영활동을 하고 있는 한국기업의 수는 2,078개사로 베트남 전체 외국인투자기업 중 약 23%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 중 267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노조가 “설립되어 있다”는 응답이 43%이며, “설립 전이다”라는 응답이 56%로 아직까지 베트남에서의 노조는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임
ㅇ 지역별로는 하노이 중심의 북부지역에서의 노조 설립 비율이 52%이고 호치민 중심의 남부지역의 노조 설립은 38.2%로 중앙정부가 가까운 북부지역에서의 노조 설립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ㅇ 업종별로는 제조업의 노조 설립 비율이 59.2%에 이르는 반면, 서비스업에서의 노조 설립은 10.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음. 세부업종별로는 숙박 및 요식업(75%), 섬유의류(74%), 전기전자 및 통신(73.3%)업에서의 노조 설립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2/3 이상이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 전체의 15%가 노사분규 발생 경험
ㅇ 노조가 설립되어 있는 기업들 중 노조와의 관계가 “우호적‘이라는 기업이 67.2%, 보통이 31.9%로 대부분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비우호적”인 기업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남
주) 두 개의 응답율 합이 100%와 차이를 보이는 것은 무응답이 있기 때문임
ㅇ 전체적으로는 15%의 기업이 노사분규를 경험하였으며,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19%, 서비스업이 6.9%의 발생률을 보임
ㅇ 지역별로는 호치민 중심의 남부지역에서의 노사분규 발생률(18.2%) 이 높아 하노이 중심의 북부지역 발생률(9.8%) 보다 약 2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주) 두 개의 응답율 합이 100%와 차이를 보이는 것은 무응답이 있기 때문임
ㅇ 업종별로는 고용 노동력이 가장 많은 업종인 섬유의류업에서의 노사분규 발생률이 24.7%로 1/4 정도의 기업에서 노사분규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됨
ㅇ 파업회수는 2/3 정도가 1회이었으나 2회인 경우도 20%나 되었고 3회도 7.5%나 되었으며, 파업기간은75%가 1달 미만이었으며, 파업 원인 중 최대 원인은 급여 인상으로 전체의 85%인 것으로 나타남
주) 두 개의 응답율 합이 100%와 차이를 보이는 것은 무응답이 있기 때문임
□ 전망 및 시사점
ㅇ 베트남 진출 한국기업에서의 노조 설립 비율은 중앙정부에 가까운 북부지역에서의 설립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하지만 우호적인 노조의 비율이 남부지역 보다 높고 노사분규 발생률도 남부지역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나 북부지역의 노사관계가 남부지역 보다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남
ㅇ 노사분규 발생률은 전체의 15%에 불과하지만 파업이 발생한 기업의 경우 파업회수가 2회 이상인 비율이 27.5%이며 파업기간도 1달 이상인 비율이 12.5%의 작지 않은 수치로 조사되어 파업이 발생한 일부 한국 기업들의 경우 피해가 큰 것으로 파악됨
ㅇ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내 한국 기업의 노사관계는 남부의 일부 기업을 제외하고는 아직까지 문제가 될만한 상황은 아닌 것으로 보임. 다만, 2008년과 같이 물가상승률이 너무 높아 실질 임금이 감소되는 상황이 재연될 때는 많은 기업들이 노사분규를 겪게 될 가능성이 상존함
정보원: 하노이 KTC (설문조사 결과 분석자료), 베트남 통계청, 베트남 기획투자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베트남, 한국투자기업 노사관계 아직까지 호의적)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1년 베트남 관광산업 정보
베트남 2021-10-25
-
2
베트남, 파업과 임금 상승으로 고비용・저효율 생산구조 우려
베트남 2011-04-28
-
3
[정책] 멕시코시티, 생분해성 플라스틱봉투 사용 의무화
멕시코 2009-08-22
-
4
한-EU FTA가 우리나라의 스위스 수출에 미치는 영향
스위스 2009-08-22
-
5
美 경제회복, 소비자 손에 달렸다
미국 2009-08-22
-
6
인니 담배시장, 외국투자기업이 주도
인도네시아 2009-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