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소비자 불경기에 이런 품목 온라인 구매 늘렸다
- 경제·무역
- 미국
- 시카고무역관 황선창
- 2009-09-26
- 출처 : KOTRA
-
美, 소비자 불경기에 이런 품목 온라인 구매 늘렸다
- 온라인 구매행태 분석 –
- 불경기에 스포츠 관련용품과 게임 관련 제품 판매 급증 -
□ 온라인 시장동향
- 지난2008년 여행산업을 제외한 미국 온라인 시장규모는 약 1300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2007년까지 매년 20% 이상의 고속 성장을 기록한 것에 비해 다소 부진한 6%정도 성장에 그침.
- 2009년 1분기에는 상황이 더욱 악화돼 310억 달러 매출액으로 전년 동기대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미국 온라인 시장규모
자료원 : comScore e-Commerce Measurement
- 올 1/4분기 온라인 시장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비슷한 시장 규모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 소매산업의 시장 규모가 전년 동기 대비 약10% 감소한 것에 비해 호조를 보이는 것으로 평가됨.
온라인과 일반 소매 판매성장률 비교
자료원 : comScore e-Commerce Measurement
○ 올해 1/4분기 별 온라인 판매 동향
- 미국의 올해 1/4분기 온라인 판매 월별 증가율을 보면, 1월과 2월에는 연말 재고 정리 등과 같은 파격적인 가격 할인 판매전략으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약 2% 증가했으나 3월 들어 온라인 판매가 다소 주춤했고 4월에는 다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음.
2009년 1/4분기 온라인 판매 증감률
자료원 : comScore e-Commerce Measurement
□ 불경기에 온라인 소비자 이런 제품 구매 증가
○ 주요 온라인판매 품목별 판매 현황
- 지난 ¼분기 온라인 판매 품목 중 가장 높은 판매 증가율을 기록한 품목은 스포츠 관련용품으로 전년동기대비 약 23%의 높은 판매 증가율을 기록했음. 그리고 책과 잡지 판매도 두 번째로 높은 판매 증가율인 약 19%의 높은 판매 증가를 기록했음.
- 그리고 비디오 및 컴퓨터 게임 소프트웨어 판매도 높은 판매 증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음.
- 반면, 경기 침체로 인해 많은 업체들이 감원을 실시해 사무용품의 판매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꽃 및 선물 용품의 온라인 판매도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음.
주요 온라인 판매 품목별 증감 추이
자료원 : comScore e-Commerce Measurement
- 주요 품목별 온라인 판매와 일반 소매를 비교해 보면 온라인을 통해 판매된 스포츠, 서적, 음악, 비디오 관련 제품의 판매는 약 8% 증가했으나 일반 소매 매장에서는 약2% 정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음.
- 그리고 온라인에서 의류 판매는 약 1% 정도 감소에 그친 반면, 소매 매장에서 의류 및 액세서리 판매는 6% 정도 감소해 감소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품목별 온라인 판매와 일반소매판매 비교
자료원 : comScore e-Commerce Measurement
○ 제품 구매 결정시 인터넷 중요성 증가
- 소비자들은 제품 구매시 인터넷 활용도가 지속적으로 높아짐. comScore가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제품 구매를 결정하는데 온라인의 중요성에 대한 질문한 결과 아주 중요하다고 응답한 사람이 39% 그리고 약간 중요하다고 응답한 사람은 31%로 나타났으며, 약 70%가 인터넷이 제품 구매에 중요한 정보 입수 도구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 이러한 제품 구매시 인터넷 중요성은 전체 응답자 중 48%가 지난 1년 전보다 인터넷의 중요성이 증가했다고 밝혀 소비자들이 제품 구매를 위해 정보 입수 및 가격 비교 등을 위해 인터넷 역할이 크게 강화되고 있을 알 수 있음.
제품 구매 결정시 인터넷 중요성 변화
자료원 : comScore e-Commerce Measurement
○ 검색 사이트 중요성 크게 부각
- 소비자들은 제품 구매를 위해 가장 중요한 인터넷 기능은 전체 응답자의 72%가 검색 기능이라고 응답함. 그리고 두 번째로 중요한 인터넷 사이트는 온라인 쿠폰 사이트이며, 그리고 가격비교 사이트와 경매 사이트 순으로 나타났음.
자료원 : comScore e-Commerce Measurement
- 소비자가 온라인에서 제품 구매 결정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정보원은 검색 사이트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이메일과 가격 비교 사이트도 제품 구매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제품 구매시 활용하는 정보원
자료원 : comScore e-Commerce Measurement
○ 경기 침체로 쿠폰 활용도 높아져
- 경기 침체로 인해 소비자들은 저렴한 가격에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 쿠폰을 활용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난해보다 약 4%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음.
-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쿠폰은 일요일 신문과 같이 배달되는 쿠폰을 나타났으며 전년 동기 대비 약 4% 활용도가 증가했음. 그리고 업체에서 온라인에 올려 높은 쿠폰을 사용하거나 온라인 쿠폰 웹사이트를 활용하는 비율을 크게 증가했음.
쇼핑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사용하는 쿠폰
자료원 : comScore e-Commerce Measurement
○ 온라인 판매업체 중 온라인 전문업체의 판매가 우위를 보여
- 온라인 소매판매업체들은 크게 온라인 전문매장과 소매매장을 보유하며 온라인 판매를 겸하는 업체로 크게 구별할 수 있음.
- 전체 온라인 판매에서 온라인 전문매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56% 정도를 차지하며 소매 매장을 보유하며 온라인 판매를 겸하는 업체 판매비중은 44%를 차지하고 있어 전문 온라인 판매업체의 비중이 높은 편임.
온라인 소매 판매업체 유형
자료원 : comScore e-Commerce Measurement
□ 시사점
○ 소매 판매에서 온라인 판매비중 지속 상승
- 미국 경기침체로 인해 전체 소매 판매가 부진한 가운데 온라인 판매는 쇼핑의 편리성, 다양한 제품 정보 제공, 저렴한 가격 등과 같은 장점으로 인해 온라인 판매 성장률은 낮지만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임.
- 지난 2008년 미국 전체 소매 판매에서 온라인 판매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5%를 정도의 낮은 비중을 기록했으나 오는 2012년까지 약 8%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경기 침체에도 증가한 온라인 판매품목
-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스포츠 및 운동 관련용품의 온라인 판매는 크게 증가했고, 게임 관련 제품도 온라인에서 큰 인기를 끌었음. 반면 가구나 대형 가전제품, 그리고 의류 판매는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음.
- 온라인 판매가 증가한 품목의 특징은 소비자들이 불경기로 인해 여행보다는 건강에 대한 관심과 저렴한 비용으로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됨.
자료원 : comScore e-Commerce Measurement, WorkLight, 시카고 KBC 종합 및 의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美, 소비자 불경기에 이런 품목 온라인 구매 늘렸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미국 온라인시장 동향과 전망
미국 2015-09-15
-
2
캐나다, 6월 경기부양책 집행현황 중간점검
캐나다 2009-06-16
-
3
달라진 중국 화장품 시장, 한국 화장품의 경쟁 상대는
중국 2022-10-17
-
4
미국인들, 저렴한 의료서비스 찾아 아시아로 몰려든다
미국 2009-03-28
-
5
美, 피아트 파산보호신청 40일만에 크라이슬러 인수 확정
미국 2009-06-16
-
6
싱가포르, 올 7월 수출실적 및 경제전망
싱가포르 2009-08-22
-
1
2025년 미국 화장품 산업정보
미국 2025-07-01
-
2
2025년 미국 조선업 정보
미국 2025-05-08
-
3
2024년 미국 반도체 제조 산업 정보
미국 2024-12-18
-
4
2024년 미국 의류 산업 정보
미국 2024-11-08
-
5
2024년 미국 가전산업 정보
미국 2024-10-14
-
6
2024년 미국 리튬 배터리 산업 정보
미국 2024-09-04